영어 현재시제 알기 쉽게 정리 현재진행형과 간단한 비교 포함 영어 현재시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시제이지만, 현재시제는 너무 쉽다고 생각하고, 그냥 가볍게 넘기는 경우가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단, 현재시제의 쓰임을 제대로 알고 있다면, 특히 말을 할 때 '현재진행형 (be+ ing)'을 써야할 때와, 헷갈릴 일이 거의 없어져, 많은 도움이 됨 참고로,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우리는 영어로 말할 때, 보통 '현재시제'보다는 '현재진행형'을 쓸 일이 더 많습니다. 현재시제의 쓰임은 크게 두 가지만 알아두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으며, 본문 하단에는 현재형과 현재진행형에 대해서도 간단히 비교해 보려고 함 □ 영어 현재시제 알기 쉽게 정리 ▣ 먼저, 알아둘 점 현재시제 문장을 만들 때는 한 가지는 꼭..
부사 away 뜻과 관련 숙어표현들 take away, get away, go away 등 부사 away는 정말 익숙한 단어이기는 하지만, 워낙 자주 쓰이는 단어라서, 확실히 알아두면 좋습니다. 먼저, away의 기본 의미부터 정리한 후, 관련 숙어표현을 통해, 간단히 정리하려고 함 부사 away는 '저리' 또는 '저쪽으로'란 뜻을 지니며, '동사+부사'의 형태로 자주 쓰이고, 그 의미상 전치사 from (-로부터)과 잘 어울려 쓰입니다 ('-로부터 저리로', '-로부터 저쪽으로') 정리하면, away는 무언가에서 저리 떨어져 있거나 또는 저리 떨어뜨려져 있는 느낌 ■ 다양한 표현을 통해 쉽게 정리 * away 뜻 : 저리 또는 저쪽으로 (1) get away : 저리 가다, 달아나다, 도피하다 - 이 ..
동사 regret, try, stop 용법 정리 일부 동사는 뒤에, to부정사 (to do 형태)가 오는지 또는 동명사 (-ing 형태)가 오는지에 따라, 뜻이 많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동사로는 forget, remember, regret, stop try가 대표적 동사 forget과 remember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정리한 적 있고, 오늘은 그 외 regret, stop, try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관련글] forget과 remember 정리한 글 forget이나 remember 뒤에 to do와 ing 올 때 차이 헷갈리는 forget, remember 간단 정리 목적어로 to do와 -ing 올 때 차이는? 영어 준동사 중, to부정사와 동명사는 둘 다 '명사' 역할을 할 수 있어..
영어 had to + 동사원형 쉽게 정리 특히, 우리말 뜻을 정확히 알아두기 영어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는 have to에 비해, 우리한테 덜 익숙해서, 좀 헷갈릴 때가 있는데, 오늘은 'had to 표현'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잘 알다시피, have to+ 동사원형은 '뭐뭐해야 돼' (의무)란 뜻이며, had to+ 동사원형은 have to의 과거형이므로, 그대로 뜻을 살리면, '뭐뭐해야 됐어' (의무)가 됨 한 가지 주의할 점은 'had to+ 동사원형'의 우리말 의미가 '-해야 됐어'여서, 과거에 대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단지, 과거에 '뭐뭐를 해야 됐어'고 하는 말 (후회가 아님) - 예) 우리는 비 때문에 경기를 취소해야 됐어..
영어 복합관계사 뜻과 종류는?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영어 문법내용 중, '관계사' (즉, 관계대명사, 관계부사)는 우리한테 보다 익숙하지만, '복합관계사'는 용어도 어렵고,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복합관계사는 무엇보다 해석이 가장 중요하며, 복합관계사별 해석하는 요령만 잘 알고 있다면, 그리 어렵지 않음 ■ 먼저, 영어 복합관계사란? - 종류 :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복합관계사는 관계사와 같이, 주로 뒤에 문장 (주어+ 동사)이 오며, 관계사와 다른 점은, 복합관계사는 그 자체에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 ※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어, 명칭이 '복합' (?) 따라서, 복합관계사는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와 달리, '선행사'가 따로 필요 없습니다. 단 관계대명사 중, what의 경우는 예외적..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영어 준동사 알기 쉽게 정리 영어 공부하면서, '준동사'를 제대로 정리해두지 않으면, 영어가 계속해서 어렵게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준동사는 영어 문장을 해석하고, 또 영어 문장을 만드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그러함.. @ 먼저, 준동사란? 준동사는 실제 동사는 아니지만, 공통적으로 '동사원형'을 기본으로 하여, 형태를 만들며, 문장 내에서 동사의 성질 (서술어)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는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구분: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말합니다. 준동사란 동사에 준한다는 의미라고 보면 될 것 같음 @ 준동사의 형태 to 부정사 : to+ 동사원형, 동명사 : 동사원형+ ing, 현재분사 : 동사원형 +ing, 과거분사 : 동사원형 ..
영어 기초문법 쉽게 정리 (의문사편) 의문사 how, what, which 쉽게 풀이 영어 의문사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특히 how, what, which는 뜻을 정확히 알아두면, 일상대화에서 우리말을 영어로 옮길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보통 의문사는 쉽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평소에 말할 때, 의문사를 무척 많이 쓰기 때문에, 한 번쯤 제대로 알아둘 필요가 있음 ■ 우리말 뜻을 정확히 알아두기 1. how : '어떻게' 또는 '얼마나' 2. what : '무엇 (줄여서, 뭐)' 또는 '무슨' 3. which : '어느' 또는 '어느 것' - 기본개념은 선택 - 무한한 범위 내에서 고르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선택지 내에서만 고를 때 쓰는 말 ▣ 참고로 알아두기 which를 '어느'라고만 알고 있는..
How 감탄문, What 감탄문 정리 영어 감탄문 간단 정리 [영문법] @ 영어 감탄문이란? 우리말 감탄문과 마찬가지로, 자기의 느낌을 감탄의 의미로 표현하는 문장으로, 보통 문장 맨 끝에 '느낌표 (!)'를 붙입니다. 영어 감탄문은 의문사 How와 What을 이용해 주로 만들며 (어순이 중요), 우리말은 표현이 다양해, 여러가지로 표현이 가능하겠지만, '정말 뭐뭐인데!' 정도로 알아두면 될 것 같음 감탄문은 문장에 really, so, very 등의 강조하는 표현이 꼭 들어가지 않아도, 이러한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 뜻을 더 강조하려고 할 때는 이러한 부사를 같이 써 주면 됨 ▣ 영어 감탄문의 두 가지 형태 - 구분 : How 감탄문, What 감탄문 @ 감탄문의 문장형태를 잘 ..
영어 직독직해할 때, 유용한 방법 영어의 문장 만드는 방법을 활용 우리말과 다른 영어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장을 만들 때, 주어+ 동사를 먼저 말하고, 뒤에서 앞으로 '보충설명' (부연설명)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우리말은 영어와 달리, 보통 주어가 나오고, 부연설명하는 말인 다 나온 후, 동사가 문장 맨 끝에 옴, 영어는 문장형식이 5가지 형태이지만, 우리말은 문장을 만드는 방식이 보다 자유로운 편 영어독해를 할 때는 직독직해를 해야 한다고 다들 강조는 하지만, 영어는 우리말과 말하는 방식 (문장을 만드는 방식)이 다른 만큼, 직독직해가 생각만큼 쉬운 건 아닙니다. 다만, 직독직해를 하려면, 영어는 주어, 동사를 먼저 말한 후, 뒤에서 앞으로 부연설명해 나간다는 걸 꼭! 알고 있어야, 이를 활용할 수 있..
have gone to, have been to 차이 두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 우린 일반적으로 ① have gone to+ 장소명사는 '-에 가버렸어' (그래서, 지금 여기 없어)란 말이 되며, ② have been to+ 장소명사는 '-에 가본 적 있어', '-에 다녀 왔어' - 즉, 경험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 일상회화에서는 have gone to 역시 '가본 적 있어'나 '다녀 왔어' 등의 '경험'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나중에 헷갈리지 않음 (have been to와 마찬가지로) 다만, have gone to의 경우, '주어가 3인칭'일 때는 '-에 가버렸어' (그래서, 여기 없어, 아직 돌아오지 않았어)란 표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주어가 3인칭일 때라고..
헷갈리는 두 가지 표현 비교 정리 as well as와 not only but also 두 표현은 영어 공부하면서, 나올 때마다 헷갈리기 쉬운 표현이며, 우리말로 하면 '-뿐(만) 아니라'로 둘 다 의미가 같지만, 둘은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말씀드리면, A as well as B 형태는 A와 B 둘 중, A를 보다 강조하는 표현이며, not only A but also B는 B를 보다 강조하는 표현이라는 점 따라서, 두 표현은 '강조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느낌의 차이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참고사항] 이 때, A와 B의 자리에는 명사, 형용사, 동사가 올 수 있고 단, A와 B는 '병치관계'이기 때문에, A가 명사일 땐, B도 명사, A가 형용..
영어 과거완료 쉽게 정리 영어 과거완료라고 하면, 일단 어렵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텐 데, 과거완료는 우리한테 좀 더 익숙한 현재완료와 개념이 같으며, 다만 시간만 한 시제 과거로 옮겨온 걸로 보면 됩니다. 따라서, 현재완료의 기본적인 내용을 먼저 알고 난 후, 과거완료는 거기에 응용만 하면 되므로, 생각만큼 그리 어렵지 않음 ▶ 현재완료부터 간단히 보면 현재완료 (형태 : have pp)는 기본적으로는 과거의 일이긴 하지만, 현재와 뭔가 연관성이 있음을 강조하려 할 때, 일반적인 과거시제 대신 쓰는 표현입니다. 현재완료형의 의미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뭐뭐한 적 있어' (경험)와 '뭐뭐해왔어' (계속)가 됨 (※ 더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맨 하단 관련글 참고) ▶ 과거완료의 가장 핵심개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