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h와 arrive 뜻과 쓰임, 뉘앙스 차이 (도착 영어로?)
동사 arrive와 reach 차이 정리
'도착', '도착하다' 영어로 하면?
영어에서 '도착하다'라고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단어로 arrive와 reach가 있습니다.
다만, 두 단어는 뉘앙스의 차이가 있으며, 문장에서 쓰이는 방식도 많이 다름
어떤 장소에 도착하다는 말을 할 때, arrive는 '자동사'라서 뒤에 전치사 (in, at 등)가 필요하며, reach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 없이 바로 목적어 (장소)가 옵니다.
두 단어의 의미 차이를 보면, arrive는 '도착하다'의 뜻으로만 거의 쓰이는 반면, reach는 '도달하다'라는 더 폭넓은 개념의 단어입니다 (→'도달'이라는 개념 안에는 '도착'도 포함)
따라서, reach는 단순히 장소에 도착하는 것 외에도 합의에 도달, 목표에 도달, 손이 닿다 (→ 손에 도달), 연락이 닿다 (→ 연락에 도달)와 같은 보다 다양한 상황에 쓸 수 있음
다만, 단순히 장소에 도착했다는 의미일 때는 arrive와 reach를 사로 바꿔 써도 괜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 동사 arrive와 reach 차이
▶ 다시 강조하면 [중요]
일단 '자동사' arrive는 'arrive+ 전치사 (in, at)+ 장소'의 형태로 쓰이며 (예. arrive at the station), 반면 reach는 '타동사'로 뒤에 바로 장소가 온다는 점을 (예. reach the station) 꼭!! 구분해 알아두어야 헷갈리지 않습니다.
즉, 두 동사는 문법 구조 면에서 차이가 있음
(1) arrive (자동사) : 도착하다
- 단순히 어디에 도착했다는 의미
- 자동사이므로, 전치사가 필요함
자동사라서 '어디에 도착하다'라고 할 때, '전치사'와 함께 쓰이여, 이때 장소 앞에 쓰이는 전치사인 in 또는 at과 주로 쓰입니다.
'국가'나 '도시'와 큰 장소라면 in을 쓰면 되며 (예. arrive in England, arrive in Seoul), 국가나 도시보다 더 작은 장소라면, at을 쓰면, 보통 적절합니다 (예. arrive at the office, arrive at the airport) ※ 단, 상황에 따라서는 전치사를 유연하게 쓰이기도 함
(2) reach (타동사): 도착하다, 도달하다
- 단, 기본 개념은 '도달하다'
- 타동사이므로, 전치사가 필요 없음
단, reach는 도착하다뿐 아니라, 보다 폭넓게 쓰여, 목표에 도달, 합의에 도달, 손이 닿다 (손에 도달), 연락하다 (연락에 도달) 등의 의미로도 쓸 수 있습니다 (즉, 장소에 도달에만 쓰이는 건 아님)
[참고사항]
또한, '도달'의 의미상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애써서 도달하다' 또는 '힘든 여정 끝에 도달하다' 등의 느낌을 포함하기도 함 |
■ 다음은 예문으로 간단히 정리
(1) arrive : 도착하다 (단순한 도착)
▷ 한 가지 알아둘 점
동사 arrive는 자동사라서, '어디에' 도착하다라고 말할 때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하지만, '도착 장소'를 따로 특정해서 말할 필요가 없다면, 전치사를 쓰지 않습니다.
예) The package hasn't arrived yet. 택배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어
따라서, 도착 장소를 딱 집어 표현할 때는 전치사를 써야 하지만, 장소를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다면 (예. 말을 안 해도 상대방이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는 상황) 전치사 없어도 말이 됩니다.
@ 예문을 통해 간단히 정리
1. The train arrived at the station on time. 기차는 정시에 역에 도착했어
* on time : 정시에, 제 시간에
2. We arrived in Tokyo late at night. 우리는 늦은 밤에 도쿄에 도착했어
- 보통 국가나 도시 앞에는 전치사 in
3. I arrived at the office earlier than usual. 평소보다 일찍 사무실에 도착했어
4. I'll text you as soon as I arrive. 도착하면, 바로 문자 할게
- 도착하자마자 문자 한다는 말
- 장소를 굳이 말 안 해도,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는 상황
5. I'll wait here until you arrive. 네가 도착할 때까지 여기서 기다릴게
- 여기서 (here)란 부사가 있으므로, 장소를 또 쓸 필요는 없음
(2) reach : 도달하다 (→도착하다), 닿다
- 장소에 도착할 때만 쓰는 건 아님
1. Call me when you reach the airport. 공항에 도착하면 전화해
- 공항에 도달하면
2. We reached the top at last. 우리는 마침내 정상에 도착했어
- 정상에 도달
3. We finally reached an agreement. 우리는 결국 합의에 도달했어
- 합의에 도달
4. The water reached my knees. 물이 내 무릎까지 찼어
- 물이 내 무릎에 도달
5. I finally reached my goal. 마침내 내 목표에 도달했어
- 목표에 도달
다음은 위의 글과 정반대 의미인 start와 begin의 뜻과 느낌의 차이를 간단히 정리한 글입니다 (* 같이 알아두면 좋음)
■ start와 begin 간단 비교
* 두 단어의 느낌의 차이는?
begin과 start 차이는? (비긴어게인 뜻)
동사 begin과 start 차이는? 영화 '비긴어게인' 뜻 포함 영어로 '시작하다 (출발하다)'라는 단어하면, 동사 begin과 start 대표적인 데, 두 단어는 의미가 대부분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따라서, 두
ilikeen.tistory.com
End와 Finish의 뉘앙스 차이
동사 end와 finish 차이는? (간단 정리)
동사 end와 finish 차이는? (간단 정리) 끝내다, 끝나다, 마무리하다는 영어로? 영어 단어 end와 finish는 우리말로 하면 둘 다 '끝내다', '끝나다'란 말로 표현이 되며, 또한 영어사전을 찾아봐도 둘
ilikeen.tistory.com
incident vs. accident 비교
accident와 incident 차이는? (사고/사건 영어로)
accident와 incident 차이는? 우리말 사건, 사고는 영어로? 영어 단어 accident와 incident는 사전을 찾아 보면, 둘 다 '사건', '사고'라는 뜻이 있지만 (* 모양부터 많이 비슷함), 두 단어는는 쓰임에서 차
ilikeen.tistory.com
참조 : 네이버 영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