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DEX 코스닥 150 ETF 정리 구성종목, 지수, 과세, 분배금 KODEX 코스닥 150 ETF는 '코스닥 150 지수'의 등락률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 (ETF)입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 따라서, 이를 통해 개별 종목이 아닌 코스닥 시장을 대표하는 150개 종목에 간편하게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냄 다만, 코스닥 시장은 주가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며, '개별 종목'의 변동성은 더 크기 때문에, 짧은 기간 동안 급등하거나 급락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따라서, 단기 차익을 노리기보다는 특정 산업의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해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편이 더 안전한 전략이 될 수도 있음 ■ 참고 : 코스닥 150 지수란?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 중, 시..
ETF 세금 간단 정리 (수수료, 거래세) 무엇보다 ETF (상장지수 펀드)의 큰 장점은 현재 증권 거래세가 없다는 점입니다. 반면 일반주식의 경우는 매도할 때, 매도금액의 0.3%를 거래세로 내야 함 꽤 오래전부터 ETF에 대해 거래세 부과를 추진 중이라는 말은 있지만, 그 시가가 언제가 될 지는 모릅니다. (언젠가는 부과될 것 같기는 함) 만약 거래세가 부과된다면, 주식형 ETF 에만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다른 유형의 ETF의 경우 거래세 마저 부과된다면 이중과세의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 주식형 ETF vs. 나머지 ETF의 구분 ① 주식형 ETF : 대부분의 자산을 주식 현물에 투자 ② 나머지 ETF : 주식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상품 - 해외지수, 상품, 외환, 채권, 인버스, 레버리지..
코스닥 ETF 4인방 비교 요즘 특히, 코스피랑 코스닥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코스닥 ETF를 활용하면 분산 투자 측면에서 약간의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코스닥 주식은 간혹 가다 상장폐지의 위험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코스닥 ETF 네 가지 모두 코스닥 시장의 대형주, 우량주 중심으로.. 종목을 편입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정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코스닥 ETF: 총 4개 FIRST 스타우량 (동양 자산운용) KStar 코스닥엘리트30 (KB 자산운용) TIGER 코스닥프리미어 (미래에셋 자산운용) KINDEX 코스닥스타 (한국투자 운용) 1. FIRST 스타우량 설정일: 2009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