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 say와 tell 뜻과 차이점 말하다, ~라고 하다 영어로? 영어 동사 say와 tell은 모두 '말하다'의 뜻이지만, 실제 문장에서 쓰는 방식은 많이 다릅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비슷해 보이지만, '강조하는 초점'과 '문장 구조' 면에서 차이가 큼 따라서, 두 단어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 tell과 say 뜻과 차이 정리 (1) tell : (누구에게) 말하다, 말해주다, 알려주다 - tell은 누구에게 말했는지에 초점을 둠 - 보통 4형식 또는 5형식 문장으로 쓰임 tell은 '누구에게 말하다'라'는 뜻이라서, 뒤에 반드시 말을 들은 대상 (사람 목적어)이 오며, tell은 타동사이므로, 전치사 없이 바로 '사람 목적어'를 씁니다. 예..
sometime, some time, sometimes 철자는 비슷하지만, 뜻은 완전 다름 영어에는 모양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표현들이 있는 데, 그중 많이들 헷갈려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sometime, sometimes, some time에 대한 내용입니다. 철저와 발음이 비슷해서, 얼핏 보면 같은 단어처럼 느껴질 수 있음 특히, sometimes의 경우,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표현이라, 나머지 두 단어까지 의미가 비슷할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sometime, somtimes, some time은 각각 전혀 상관없는 뜻을 지님 [참고] 품사 관련 내용 sometime과 sometime는 '부사'이며, 'some time'의 경우는 some과 time이 결합한 ..
영어 's (어퍼스트로피) 간단 정리 영어 's는 무조건 '소유격'이 아님 영어 문장에서 자주 접하는 's를 많은 분들이 '소유격' ('~의')으로만 알고 계실 수도 있지만, 사실 영어의 's는 총 4가지의 다른 '문법적 의미'로 쓰입니다. 특히, 회화나 듣기에서 네 가지 경우의 '뜻'을 잘 구분하지 못하면, 의미가 잘못 전달될 수 있어서, 잘 구분해 알아두어야 함 이 글에서는 영어 's의 네 가지 뜻과 용법에 대해, 예문을 통해 쉽게 정리하려고 하며, 영어 공부할 때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의외로 쉽지만은 않은 그런 부분입니다. □ 영어 's는 총 4가지 용법이 있다 (1) 첫 번째 뜻 : '~의' - 명사의 소유격 표현 - 's의 가장 기본적인 뜻 중, 하나 누군가의 소유나 관계를 나타낼 때, '명..
전치사 to 뜻과 예문 정리 전치사 to의 핵심 개념은? 영어 사전에서 전치사 to를 찾아보면 뜻이 정말 많습니다 (다른 전치사들도 그렇지만), 뜻이 너무나 많고, 또 복잡해 보여서, 공부할 엄두가 나지 않을 때가 많음 다만, 전치사 to의 핵심 개념 ('~에 도달')을 알고 있으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의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뜻을 파악하는 데 혼동이 없어짐) 전치사 to의 핵심 개념은 '도달' (방향)이며, 이때 도달하는 '대상'은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사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영어 사전에 나오는 전치사 to의 여러 의미들은 '도달'이라는 기본 개념으로부터 나온 경우가 많으며 (물론, 예외도 있겠지만), 전치사 to의 기본 개념을 잘 알아두면, 문장의 의미 파악에 훨..
전치사 for 뜻과 개념 정리 방향성과 목적으로 구분됨 전치사 for는 다양한 뜻으로 쓰이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방향성'과 '목적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for가 '방향'일 때는 '~를 향해', '목적'일 때는 '~를 위해'라고 해석이 되며, 그 외 나머지 뜻도 방향과 목적을 기본바탕으로 해석하면 됨 for의 기본 개념을 잘 알고 있으면, 영어회화나 독해에서 for의 뜻이 좀 애매하게 느껴질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즉, 문맥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 ■ 한 가지 알아둘 점 다만, for 뒤에 '시간' 관련 표현이 올 경우에는 '~동안'으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방향 (→)' 또는 '목적 [목표]'과는 좀 다른 느낌이지만, 이때는 for 뒤에 '시간 표현'이..
영어단어 go 기본개념 정리 나아가다, 되다, 진행하다 등 영어에서 go는 가장 기본적인 동사 중 하나이지만, 단순히 '가다'보다는 '가다'와 '나아가다' 둘 다로 알아두면, 활용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동사 go는 '가다' 외에도 대표적인 뜻으로 '진행하다', '~가 되다' 등의 의미가 있으며, 참고로 '~가 되다 (변화)'의 뜻일 때는 대개 'go+형용사'의 형태일 때가 많음 영어 go는 '가다', '진행하다', '~가 되다' 등의 여러 뜻이 있지만, 전부 go의 기본개념인 '나아가다'에서 유래한 뜻입니다. 영어로 말할 때나 독해를 할 때 go의 '기본개념'을 잘 활용하면, 의미 파악이 쉽고 자연스러워지며,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음 (※ 본문에서 예문을 들어 자세히 설명) □ 동사 go 기본개념..
be to 용법 제대로 알기! 5가지로 구분해 쉽게 정리 be to 용법이란 'be동사+ to부정사' 형태로 쓰이며, '주어'의 상태나 상황을 보충 설명하는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인 문장에서의 be to do는 '~하는 것'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해석되지만, be to 용법으로 쓰일 때는 이러한 방식으로로 해석되지 않음 또한,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지만,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만 한정해 말하기 때문에, be to 용법은 여기에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문법 표현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쉽고, 적절함 be to 용법은 상황에 따라 5가지로 나뉘며, 문장 내에서 '미래', '의무', '가능', '의도..
I hope와 I wish 뜻과 차이 바라다, 기대하다 영어로? 동사 hope와 wish 모두 무언가를 바라거나 희망할 때 쓰는 말이지만, 두 단어는 쓰임의 차이가 있습니다. ※ 두 동사는 뜻이 비슷해서 헷갈릴 때가 많음 hope가 (일반적인) 바램을 나타낸다면, 반면 wish는 단지 '희망사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둘을 구별하여 적절하게 써줘야 합니다. ■ 두 단어의 기본개념 정리 - 공통점 : 무언가를 바랄 때 쓴다는 점 @ 주어가 I 또는 We일 때 위주로 정리 (1) I wish : '~면 좋을 텐데..' -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일을 바랄 때 쓰는 말 - 단지 '희망사항' 정도라고 알아두면 쉬움 - 물론, wish는 빌다, 기원하다의 뜻도 있습니다. - 명사로 쓰일 때는 '..
should have pp 간단히 정리 둘로 구분해 알아두면 쉬움 영어 should have pp는 지난 일을 후회하거나 남을 탓할 때 자주 쓰는 영어표현입니다. 뜻은 '~했어야 했어' 또는 '~했어야 했는데' 정도가 됨 ■ 중요 : 둘로 구별해 알아두기 문장의 주어가 'I (나)' 또는 'We (우리)'라면 지난 일을 후회하는 표현이 되며, 주어가 남일 때는 지난 일을 탓하는 듯한 느낌이 됩니다. 다만, 두 가지 경우 모두 우리말 뜻만 보면 '~했어야 했어' 또는 '~했어야 했는데'로 같음 [참고] 부정형태 관련 부정형인 shouldn't have pp는 뜻이 반대가 되어 지난 일에 대해 '~하지 않았어야 했어..' 정도가 됩니다.마찬가지로 문장의 주어가 I 또는 We라면 지난 일을 후회하는 표..
의문사 to부정사 종류와 해석 간접의문문과 비교 내용 포함 (1)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함 '의문사+ to부정사'는 '명사구'가 되어 (이때의 to부정사는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특히, '목적어' 자리에 많이 쓰임) ■ 의문사절과 비교하면 영어 '의문사절' (의문사+주어+동사)은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 중 '명사 역할'을 할 때가 '의문사 to부정사'와 비교 대상이 됩니다.문장 내에서 둘 다 '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의문사절' (의문사+주어+동사)이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할 때를 가리켜 문법용어로 '간접의문문'이라고 함※ 간접의문문 관련해 정리한 글은 맨 하단 참고 (2) 의문사 to부정..
can과 be able to 쉽게 비교 공통점과 차이점 알아보기 영어 can과 be able to는 뜻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 건 맞지만, 차이점도 있기 때문에, 둘은 언제든 바꿔 쓸 수 있는 말은 아닙니다. 따라서, 똑같은 말이 아니므로, 둘의 차이를 알고서, 구별해 쓸 줄 알아야 함 [참고사항]우리가 영어를 배우면서, can과 be able to 차이 만큼이나, will과 be going to 차이도 중요한데 (차이가 꽤 큼), 관련 내용은 맨 하단 추천글을 참고 바랍니다. (1) 조동사 can의 뜻부터 -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1. ~할 수 있어 (능력) : 가장 일반적인 의미 [예문]* No thanks. I can do it myself. 아니, 됐어. 나 혼자 할 수 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