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다, 빌려주다 영어로 하면? lend, borrow, loan, rent 비교 '빌리다' 또는 '빌려주다'를 영어로 표현할 때, 가끔 헷갈릴 때가 있는데, 두 단어의 뜻만 정확히 알고 있으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빌리다, 빌려주다의 가장 대표적인 단어는 lend와 borrow이며, lend는 '빌려주다', borrow는 '빌리다'의 뜻입니다. 특히, borrow를 단순히 '빌리다' 보다는 '빌리다', '빌려오다' 둘 다로 알고 있으면, 쉽게 구별해 쓸 수 있습니다 ('빌리다'라고만 알고 있으면, 구별이 헷갈릴 때가 있음) 먼저, lend와 borrow의 뜻과 차이에 대해 정리한 후, 이와 성격이 다른 loan (론)과 rent (렌트)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 lend와 bor..
see, watch, look 차이 알아보기 보이다, 쳐다보다, 보다 영어로? 영어에는 우리말 '보다' 또는 '보이다'에 해당하는 동사가 여러 개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동사는 see, look, watch이며, 모두 '보다'로 해석될 수 있지만, 실제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느낌의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보는 방식'에 따라 구분해 쓰면 됨 우리말에서도 '보다라는 표현은 쳐다보다, 지켜보다 등과 같이 상황에 따라 여러 느낌이 드는 것처럼, 영어도 보는 방식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달라집니다. [참고사항]look과 watch는 '규칙형 동사'로 '과거형'과 '과거분사'는 끝에 -ed를 붙이면 되며, see는 '불규칙 동사'로 동사의 3단 변화는 see- saw (과거형)- seen (과거분사)이 ..
동사 arrive와 reach 차이 정리 '도착', '도착하다' 영어로 하면? 영어에서 '도착하다'라고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단어로 arrive와 reach가 있습니다.다만, 두 단어는 뉘앙스의 차이가 있으며, 문장에서 쓰이는 방식도 많이 다름 어떤 장소에 도착하다는 말을 할 때, arrive는 '자동사'라서 뒤에 전치사 (in, at 등)가 필요하며, reach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전치사 없이 바로 목적어 (장소)가 옵니다. 두 단어의 의미 차이를 보면, arrive는 '도착하다'의 뜻으로만 거의 쓰이는 반면, reach는 '도달하다'라는 더 폭넓은 개념의 단어입니다 (→'도달'이라는 개념 안에는 '도착'도 포함) 따라서, reach는 단순히 장소에 도착하는 것 외에도 합의에 도달, 목표에..
cloth, clothng, clothes 비교 '의류', '천', '옷' 영어로 하면? 영어에서 ‘옷’과 관련된 단어 중, 특히 cloth, clothing, clothes는 철자와 뜻이 비슷해서 많이 헷갈립니다.전부 '옷'과 관련이 있지만, 뜻과 쓰임은 분명히 다름 특히, 더 헷갈리는 건 clothing과 clothes인 데, 우리말로 모두 '옷'이라고 해석되지만, 실제 차이가 크기 때문에, 더 잘 구별해서 알아두기 바랍니다 (※ 우리가 일상 회화에서 가장 자주 쓰는 단어는 clothes) 또한, 단어들의 발음이 헷갈릴 수 있는 데, cloth는 [클로쓰], clothing은 [클로우딩], clothes는 [클로우z]로 발음됩니다 (발음도 꼭 함께 알아두기!) □ cloth, clothing..
Mr., Mrs., Miss, Ms. 간단 정리 무난하고, 쓰기 안전한 호칭은? 영어에서 누군가를 정중하게(?) 부를 때는 이름 앞에 Mr., Mrs., Miss, Ms. 같은 호칭을 붙입니다. 모두 우리말의 ‘~씨’ 또는 ‘~님’ 정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음 다만, 단순히 '성별'뿐 아니라, '결혼 여부'에 따라 호칭이 달라지기도 하여, 괜히 실례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어, 주의기가 필요합니다. 더욱이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상대방을 존중하면서도, 의도치 않은 실례를 피할 수 있는 (즉, 무난하게 두루 쓸 수 있는) 호칭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의 네 가지 호칭별 뜻과 차이, 사용법, 주의해야 할 점 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려고 함 □ 영어 호칭 네 가지 정리 (1)..
empty와 vacant의 뜻과 차이 빈, 텅 빈, 비어 있는 영어로? 영어로 '비어 있다'라는 표현을 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empty와 vacant일 것 같습니다. 두 단어 모두 비어 있는 걸을 뜻하는 표현이지만, 실제 둘은 개념 및 초점을 맞추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 둘 다 '형용사'로 '빈', '비어 있는'의 뜻이며, 참고로 empty는 동사로 '비우다'의 뜻으로 쓰일 때도 있습니다. ■ 먼저, 간단히만 정리하면 - 공통된 뜻 : '빈', '비어 있는' ① empty는 완전 '텅' 비어 있다는 말 (=즉, 아무것도 없음을 강조)이라면, ② vacant은 (사용되지 않고) 비어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비어서 사용할 수 있음을 내포) ※ 따라서, 두 단어는 초점을 맞추는 부분이..
change와 exchange 비교 바꾸다, 교환하다 영어로? 영어에서 change와 exchange는 모두 '바꾸다'는 의미로 쓰여서, 가끔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단, 두 동사는 뉘앙스와 쓰임에서 분명 차이가 있음 두 동사의 개념을 간단히만 비교하면, change는 '혼자서 바꾸는 느낌'이 들며, exchange는 '서로 주고받는 느낌'이 듭니다. 참고로, exchange는 접두사 ex-(밖으로)+ change가 결합한 형태로, 무언가를 '밖으로' 내어 교환하거나 주고받는다는 의미가 됨 이번 글에서는 두 단어의 기본 뜻과 차이를 알아본 후,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 change와 exchange 뜻과 차이 (1) change : 바꾸다, 바뀌다, 갈아..
marry와 get married의 차이 정리 결혼하다, 결혼식을 올리다 영어로? 영어로 '결혼하다'를 말을 할 때, 우리는 가장 먼저 marry라는 단어가 떠오를 겁니다. 하지만 실제 회화에서 더 자주 쓰는 표현은 get married이며, 두 표현은 말의 뉘앙스가 다르며, 쓰임도 차이가 있습니다. 두 표현 모두 우리말로 옮기면, 똑같이 '결혼하다'로 해석이 되기 때문에, 영어로 말할 때, 둘 중 뭐를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음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느낌의 차이와 문장에서 쓰임에 대해 비교해 보고, 예문을 통해 간단히 적용해 보겠습니다. 또, 헷갈릴 수 있는 be married 표현에 대해서도 마지막 부분에 간단히 알아보려고 함 □ 두 단어의 뜻과 개념 정리 * marry vs. get mar..
영어 단어 extra 쉽게 정리~ 엑스트라 개념& 예문 정리 영어 extra는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단어입니다. 단, 뜻은 대충은 알겠지만, 정확한 뜻과 어떤 경우에 쓰이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단어 extra의 핵심 개념은 한 마디로 표현하면 '기본보다 더!'가 되며, 이 개념만 잘 알아두면, 의미 파악과 영어로 말을 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발음은 보통 우리는 '엑스트라'라고 많이들 하지만, [엑스트러]가 보다 적절함 [참고] extra와 more 차이 헷갈릴 수 있어서 정리하면, more는 그냥 양이 많은 걸 뜻한다면, extra는 '기본보다 더'라는 개념이므로, 기본보다 추가적인 걸 뜻합니다. □ extra 뜻과 쓰임 알아보기 * 핵심 개념 : '기본보다 더!' @ 먼저, 알아둘..
hear of와 hear about 차이 들어보다, 듣다 영어로 하면?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hear of와 hear about라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둘 다 우리말로 하면 보통 '~에 대해 들었어' '~에 대해 들어봤어’라고 해석이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보기에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나, 실제로는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두 표현의 차이를 제대로 알아두면, 영어 표현력이 보다 자연스러워짐 ■ 먼저, 두 단어의 뉘앙스 비교 * hear of vs hear about 차이 * hear- heard (과거형)- heard (과거분사) @ 먼저, 알아둘 점 - 두 전치사의 개념을 알면 보다 이해하기 쉬움 hear는 기본적으로 ‘듣다’, ‘들리다’라는 뜻이며, 여기에 전치사 of 또는 전..
알다, 알고 있다 영어로 하면? know, know about, know of know는 목적어 (사람/사물)가 뒤에 오는 타동사이지만, know about 또는 know of처럼 전치사와 함께 '한 덩어리'로 쓰이기도 합니다. 우리말로 하면, 전부 '알다' 또는 '알고 있다'의 뜻이지만, 각각의 뉘앙스 차이가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 잘못 쓰면 오해를 살 수 있음)[참고사항]동사 know의 뜻을 '알다'뿐 아니라 '알고 있다'도 같이 알아두면, 의미 파악이나 의미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됨 □ '누군가를 안다'는 표현 정리 * know 뜻 : '알다' 또는 '알고 있다' * 과거형 knew, 과거분사 known 먼저, know, know about, know of ..
break와 rest 비교 정리 쉬다, 휴식 영어로 하면? break와 rest는 공통적으로 '휴식'의 의미를 지니지만, 쓰이는 방식과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break와 rest 모두 '동사'와 '명사'로 다 쓸 수 있으며, 명사일 때는 둘 다 '휴식'이라는 의미 @ 유의사항 '동사'일 때는 rest는 '쉬다', '휴식하다'의 뜻으로 쓰이지만, break는 주로 '부수다', '깨뜨리다'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break로 '휴식하다'라는 표현을 할 때는 동사 take와 결합해 take a break 형태로 주로 쓰임 (※ 이때 break는 명사)반면, rest는 동사로 ‘쉬다’, 명사로 ‘휴식’의 의미로 쓰입니다. □ break와 rest 기본개념 비교 - 둘 다 우리말로 하면 '휴식'이 됨 ..
try to부정사, try 동명사 (ing) 비교 노력하다, 해보다, 애쓰다는 영어로? 동사 Try는 ① '노력하다' (=애쓰다)와 ② '(한 번) 해보다' (=즉, 시도하다)의 뜻이 있습니다. ■ 단, 주의할 점 Try 뒤의 목적어 자리에 'to부정사'가 올 때는 노력하다 (애쓰다)의 뜻이 되며, Try 뒤에 '명사' 또는 '동명사 (-ing)' 형태가 오면, (한 번) 해보다 (=시도하다)의 뜻이 된다는 점 따라서, '목적어 자리'에 어떤 형태가 오는 지에 따라 뜻이 달라져, 잘 구별해 알아두어야, 영어로 말을 할 때, 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try가 '명사'로 쓰일 때는 '시도'라는 뜻이며, 회화에서는 give it a try (한 번 해보다,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