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ETF 종류& 특징 정리 국내, 중국, 일본, 채권 레버리지 ETF (상장지수펀드)는 일반 펀드와 비교하여, 수수료가 많이 저렴하면서, 일반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다는 여러 장점이 있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상품입니다. ※ 인덱스 펀드 보다도 수수료가 절반 이하 또한, 한 종목에 투자하는게 아니라, 여러 종목들로 구성이 된, 특정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이므로, 분산투자 효과도 있습니다. (1주 만으로도 시장 전체 또는 업종 전체에 투자할 수 있음) ▶ 상장지수 펀드의 단점은 뭘까? 실시간 매매가 가능해서 편리하긴 하지만, 자칫하면 그로 인해, 매매가 잦아져, 장기투자가 안 되고, 비용이 더 들 수도 있음 [관련글] ETF 특징 더 자세히 보기 ETF란? 특징 및 종류 간단히 정리 □ 오늘..
코덱스 ETF 간단 정리 코덱스(KODEX)는 삼성자산운용의 ETF 브랜드이며, ETF란 상장지수펀드의 영어 약자로 주식과 같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펀드입니다 (또 다른 장점은 일반 펀드에 비해 수수료도 상당히 저렴함) 현재 ETF는 일반 주식과 달리 거래세 (매도 시, 매도금액의 0.3%)를 내지 않는 이점이 있지만, 앞으로는 어떤 방식으로 거래세가 부과될 지는 알 수 없어요^^: 몇 년 전부터 ETF 거래세와 관련된 법안이 꾸준히 추진돼 왔지만, 증권사나 투자자의 반대에 밀려 아직 시행되고 있지는 않음 ■ ETF의 대표격인 코덱스 ETF를 종류별 정리 일단 코덱스를 대표하는 ETF인 KODEX 200, 레버리지, 인버스, 삼성그룹 ETF와 함께 업종 (섹터)별 ETF 11가지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립..
레버리지, 인버스 ETF 수수료 레버리지 ETF란? KOSPI 200 지수와 연동하여 일간변동률의 +2배수와 유사하도록 운용하는 ETF 인버스 ETF란? KOSPI 200 선물지수와 연동하여 일간변동률의 -1배수와 유사하도록 운용하는 ETF @ ETF 브랜드명과 자산운용사 KODEX : 삼성자산운용 Kstar : KB자산운용TIGER : 미래에셋 자산운용KOSEF : 우리자산운용 KINDEX : 한국투자 신탁운용 * 레버리지 ETF는 총 4개 - 괄호 안의 숫자는 일 평균 거래량 (기간 : 9/1일- 9/20일) KODEX 레버리지: 0.79% (2,600만주) TIGER 레버리지: 0.7% (53만주) KINDEX 레버리지: 0.3% (25만주) - 최근 보수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