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 make, let, have
각각의 사역동사의 간단 차이점은?
□ 먼저, 사역 동사란?
다른 사람을 뭔가 하게끔 만드는 동사 (용어가 좀 어렵죠?)
따라서, 기본적으로 뜻이 '..하게 하다'란 뜻이 됩니다.
영어 사역동사의 종류로는 make, have, let 이 있으며..
오늘은 각각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 준사역동사 help는 맨 아래 참고 바람
사역동사 make, have, let 차이는?
각각의 사역동사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답니다.
네 개의 같은 예문을 들어서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1) make : 시켰어 (강요의 느낌이 듬)
- 만들다로 해도 해석은 되지만, 시켯어의 뜻임
My mom made me study. : 엄마는 날 공부하게 만들었어. (시켰어)
I made Tom get the paper. : 난 탐한테 신문 가져오게 만들었어 (시켰어)
Tom made me do the dishes. : 탐은 날 설거지하게 만들었어. (시켰어)
I made Tom turn off his phone. : 난 탐 전화기 꺼놓게 만들었어 (시켰어)
(2) have : ..하게 했어 (핵심 : 강요는 아님)
- 사역동사 have는 잘 분간을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My mom had me study. : 엄마는 날 공부하게 했어
I had Tom get the paper. : 난 탐한테 신문 가져오게 했어
Tom had me do the dishes. : 탐은 나한테 설거지하게 했어
I had Tom turn off his phone. : 난 탐한테 전화기 꺼놓게 했어
(3) let : 허락했어 (본인이 원한다면 허락한다는 의미)
- 강제적인 사역동사인 make와 완전 다름
- 때문에, let을 소극적인 사역동사라고 하기도 함
My mom let me study. : 엄마는 내가 공부하는 걸 허락했어
I let Tom get the paper. : 난 탐이 신문 가져오는 걸 허락했어
Tom let me do the dishes. : 탐은 내가 설거지하는 걸 허락했어
I let Tom turn off his phone. : 난 탐 전화기 꺼놓는 걸 허락했어
말의 느낌의 강도를 보면..
make > have > let 순서
지금까지 사역동사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니, 확실히 알아두자고요 (^.^)
[참고]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