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비 할인카드 중, 혜택이 가장 좋은 건? KT Super DC7 KB국민비씨카드가 KT 통신비 (유/무선) 할인카드 중, 현재 혜택이 최고로 좋은 데, 내용을 보면 전월 이용실적 30만원만 되면 월 1만 5천원 할인이 됩니다 (물론, 장단점은 있음) BC카드와 국민카드가 제휴해 만든 카드인 데 이런 카드를 '국민 BC카드'라고 하며, 카드사 이벤트 등에 참여할 때는 KB 국민카드가 아닌 비씨카드 이벤트에 참여 가능합니다. ■ 참고로 알아두기 원래 KT Super DC7 KB국민비씨카드는 '16년 말에 출시된 카드인 데, 현재는 혜택이 리뉴얼되어 그 당시보다 혜택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제가 그 당시 혜택을 찾아 보니, 그 때는 KT 휴대폰 요금 (단말기 할부금 포함)이 월 7만원 이상 나오는 경..
현대카드 슈퍼클럽 혜택 간단히 정리 현대 제로카드 중, '모바일 타입' 관련 팁 현대카드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현대카드 슈퍼클럽' 혜택을 제공하는 데, 기간은 올해 12월 31일까지로 1년 내내 진행되어 기간이 매~우 넉넉합니다. 단, 지난해와 달라진 점은 지난해는 총 22군데 제휴처에서 본인이 갖고 있는 카드 기본혜택의 1.5배를 제공했다면, 올해는 총 10군데 제휴처에서 기본 혜택의 2배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즉, 제휴처는 절반으로 줄어든 대신, 혜택은 두 배로 늘어남 지금부터 현대카드 SUPER CLUB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슈퍼클럽에서 현대 제로 (모바일형)으로 결제 시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 합니다. (1) 먼저, 대상이 되는 카드는? M포인트가 적립되는 M, M2, M3..
신한 SK행복카드 장단점 및 활용법 전월 실적 관계 없이 쇼핑 5% 적립 신한 SK 행복카드는 한참 전에 출시된 카드이며, 전형적인 '포인트 적립형'의 카드입니다. 특징이라면 포인트는 OK 캐시백 포인트로 적립이 됨 연회비는 URS 7천원, 해외겸용 1만 2천원 (비자, 마스터), 플래티넘은 2만 2천원인 데, 플래티넘으로 발급받으면 연회비가 일반카드 대비 1만원 정도 비싼 대신, 몇 가지 혜택이 추가되며, 비자 플래티넘과 마스터 플래티넘 간의 혜택이 약간 차이가 납니다. 참고로, URS란 신한카드의 고유 브랜드로 국내 및 해외 JCB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한 브랜드를 말함 플래티넘 혜택을 잠시 보면, 공통적으로 인천공항 무료 발렛파킹, 면세점 5%- 15% 할인 (단, 일부품목 제외), 국내 특급호텔 ..
탄탄대로 미즈앤미스터는 티타늄 타입이 낫다? KB 국민 탄탄대로 미즈 앤 미스터카드 혜택 얼마전에 KB 국민 탄탄대로 Miz&Mr카드가 출시되었는 데, 특징은 본인의 생활패턴이나 성별에 따라 원하는 혜택으로 변경하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월 1회, 연 4회까지) 좀 더 자세히 보면 남성팩, 여성팩, 웨딩팩 3가지 혜택 중, 하나를 골라서 라이프 스타일이 변할 경우, 혜택을 변경해서 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음 (저만 그런지 라이프 스타일은 생각보다 꽤 자주 변함) '남성팩'은 골프와 스포츠센터, 음식점, 주유, 편의점, 약국에서 할인되며, '여성팩'은 미용, 화장품, SPA 패션,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 할인됩니다. 그리고, '웨딩팩'은 예비 신혼부부에게 적합한 혜택들로 구성돼 있는 데, 결혼서..
현대카드 M포인트 50% 사용처 현재, 현대카드 1월 M포인트데이 이벤트가 진행중인 데, 'M포인트데이'에 참여하는 제휴사에서는 결제금액의 50%를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m포인트 제휴사에서 포인트 사용 가능한 비율이 평균 잡아 결제금액의 20% 정도쯤 되는 데, 매달 진행되는 엠포인트데이 때는 포인트 사용비율이 50%로 두 배 이상 높아집니다 m포인트 1.5점은 1원으로 환산되지만, 제휴사에서 사용할 때는 1점이 1원의 가치를 지님 단, 제휴사별 1월 1일~ 1월 31일까지 매일같이 50%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제휴사별로 정해진 요일이나 정해진 날짜에 한해서만 가능합니다. (단, 빕스, 파파존스, 에버랜드 등의 경우는 한 달 내내 가능) 참고로, 말씀드리면 ..
씨티 클리어카드 특징 및 장·단점은?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혜택들이 대부분 포함 오늘은 씨티 클리어카드의 혜택 및 장·단점에 대해 최대한 꼼꼼히 정리하려고 하는 데, 클리어카드는 독특한 이력이 있습니다. 독특한 이력이란 17년 3월 발급 중단되었다가, 다시 올해 10월부터 발급을 재개했다는 점이며, 카드 혜택이나 디자인 등 그 전과 달라진 점은 없습니다. 참고로, 씨티은행 신용카드 중, 혜택이 좋은 걸로는 시티 클리어카드와 리워드 카드, 프리미어 마일카드가 있는 데, 이 중 프리미어 마일은 항공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카드입니다. 따라서, 항공 마일리지 적립카드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 씨티 신용카드는 바로 '클리어카드'와 '리워드카드'라고 할 수 있음 ▣ 클리어 vs 리워드 공통..
SC 리워드11카드 혜택 및 활용법 360도 리워드 포인트 사용법 포함 현재 기준으로 SC 제일은행의 정말 괜찮은 카드 중, 하나가 바로 'SC 리워드 11카드'인 데, 특징은 11번가에서 '진짜' 집중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제 생각에는 11번가와 제휴된 모든 카드 중에서 혜택이 가장 클 거라고 보는 데, 그 만큼 11번가에서의 혜택이 정말 압도적 만약, 자신이 11번가를 선호하고, 한 달에 2번이나 3번 정도 구매를 한다면, 꽤 적합한 카드이며 11번가 외에도 나머지 모든 가맹점에서 0.7% 적립이 됩니다. 단, 11번가에서의 혜택은 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이면 받을 수 있으며, 나머지 전 가맹점에서 0.7% 적립되는 부분은 전월 실적과 관계 없이 포인트 적립 이 때, 전월 실적이란 전월 1일~ 말..
코스트코와 제휴된 삼성카드 비교 먼저, 코스트코 (COSTCO) 멤버쉽 종류, 결제수단, 유의사항 등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본 후, 제휴카드인 코스트코 리워드 삼성카드와 삼성 아멕스 그린카드 혜택에 대해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 코스트코는 연회비를 내고 이용하는 대표적인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이며, 다른 국내 창고형 할인점인 롯데 빅마켓이나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과 비교할 때 특히, 해외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 코스트코 매장 관련 전국 매장 공통적으로 월 2회씩 의무 휴무일이 있으며, 그 외 매년 1월 1일과 설 당일, 추석 당일은 모든 매장이 쉬는 날입니다. 현재 전국 매장은 총 13군데가 있는 데 양재점, 상봉점, 양평점, 광명점, 일산점, 송도점, 공세점, 천..
리브메이트 바코드 결제 vs. 바로쓰기 비교 현재 진행중인 꽤 괜찮은 이벤트 내용 포함 먼저, 국민 리브메이트 (Liiv Mate)에 대해 간단히 보면, KB 국민카드, 국민은행 등의 KB 금융그룹의 통합 멤버십을 말하며, KB 금융그룹 계열사에서의 거래실적이나 각종 이벤트를 통해 통합 포인트인 '포인트리'가 적립됩니다. 리브메이트는 모바일앱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함 적립된 포인트리는 KB 국민은행 계좌로 입금을 하거나 ATM에서 1만원 단위로 인출할 수도 있으며, SSG 머니나 항공사 마일리지, PAYCO 포인트로 전환도 가능합니다 (또, 필요할 경우 포인트를 충전해서 이용할 수도 있음) 또한, 리브메이트 앱에서 할인된 가격에 쿠폰을 구매하거나, LG U+ 통신사 고객은 통신비 결제나 비디오포털 이용요금..
해외직구, 해외여행 신용카드 3가지 비교 해외 온·오프라인 모든 가맹점에서 (해외직구 포함)에서 결제할 때, 다른 카드에 비해 뭔가 특별한 (?) 혜택이 있는 (즉, 해외 이용에 특화된) 대표적인 신용카드 3가지를 비교하려 하는데, 편의상 본문에서는 해외 가맹점 혜택만 다루고, '국내 가맹점'에서의 혜택은 따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보다 자세한 카드 혜택은 각 카드사별 홈페이지 참고 바랍니다. 오늘 비교할 3가지 카드들은 공통적으로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 시, 일반적인 카드에 비해 할인율이 높고, 월 할인한도가 큰 편이며.. 또한, 할인 뿐 아니라 각 카드별로 해외 이용 수수료 면제, 해외직구 배송비 쿠폰, 인천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 혜택 등을 제공합니다 (블랙 프라이데이를 위한 용도로도 적합) 본문에서는..
현대카드 제로 모바일 포인트형이란? 현대 제로카드 라인업에 대한 내용 포함 저는 현재 맨 처음 출시된 기존 현대카드 제로 (할인형)을 쓰고 있는 데, 온라인 쇼핑에 더 유리한 제로카드 모바일 (특히, 포인트형)으로 교체 발급받을까 고민 중에 있습니다. 다만 그러러면, 현재 기존 할인형과 연계하여 쓰고 있는 후불 하이패스 카드도 다시 교체 발급받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은 있음^^:: 현재, 현대 ZERO카드의 라인업을 보면 일단 일반형과 모바일형으로 구분되며 또, 각각은 또 할인형과 포인트형으로 나뉩니다. (얼마전에 3종이 추가되어, 현재는 네 종류가 됨) 현대카드 ZERO는 공통적으로 다른 카드에 비해, 할인률 (적립률)이 괜찮고, 무엇보다 장점은 일단 국내/외 어디서나 할인이나 적립을 받을 수 있다는 점과..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