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집합명사란? (단수/복수 수일치) @ 먼저, 집합명사 (collective nouns)란? 집합이란 용어를 쓰기 때문에, 말이 어렵게 느껴지는데, '집단'을 나타내는 명사라고 알아두면 쉬움 (집단명사) 집합명사의 예를 들면 : family, group, team, crew, police, board, jury, committee 등 ■ 집합명사의 단수, 복수 수일치 집합명사는 단수형과 복수형 동사 모두 취할 수 있습니다. 보통, 그룹을 '하나의' 단위로 볼 때는 단수 취급을 하며, 그룹 내의 개개인에 초점을 둘 때는 복수 취급을 함.. 단, 미국 영어에서 집합 명사는 대부분 단수 취급을 하며, 영국 영어에서는 단/복수 모두 취할 수 있음 (참조: oxford dictionary) ■ 단, 예외적인 ..
헷갈리는 영어 수일치 관련 총 3가지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someone/somebody, anyone/anybody 뒤에 단수, 복수? something, anything, nothing 뒤에 단수, 복수? everyone/everybody, no-one, nobody 뒤에 단수, 복수? some-, any-, every-, no- 로 시작되는 명사는 부정 대명사 (indefinite pronouns)라고 하는데, 우리말로, '어떤 이, 어떤 사람, 아무개, 모든 사람'처럼, 불특정인을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그런데, 이들 단어 뒤에 단수형 동사를 쓰는지, 아니면 복수형 동사를 쓰는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 그래서, 오늘 간단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 먼저, 단수형 명사입니다 someone, ..
혼동되는 영어 수일치에 대해 정리 특히, 영어에서 '수일치' 부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하는 데, 예를 들면 어떤 명사 앞에 a few나 a couple of, a pair of 등이 붙는 경우, 뒤에 오는 명사나 동사는 단수형이 와야 하는 지, 복수형이 와야 되는 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1) 먼저, pair부터 알아보면 단어 pair의 뜻은 '한 쌍'으로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복수형은 pair나 pairs 둘 다 가능하지만 보통 글을 쓸 때는 복수형으로 pairs를 많이 씁니다. 단어 pair는 '집합명사' 중 하나로 로 동사를 쓸 때 단수, 복수 모두 가능한 데 특히, 영국 영어에서는 복수를 쓰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일반적으로 The pair is playi..
영어 명사의 종류 및 개념 정리 명사에 관해, 지금까지 쓴 글을 모아 정리했어요! 이 글을 죽 훑어본 후에, 각각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명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 1. 명사의 개념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로, 책상, 꽃, 문, 의자 등이 모두 명사에 해당이 돼요. 문장 안에서는 주어나,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지요 (영어의 어순 관련해서 명사의 수일치 3.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셀 수 있는 명사는 뭐고, 또 셀 수 없는 명사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영어 명사의 종류 간단히 정리 셀 수 없는 명사만 따로 정리 명사와 관련해서는 관사 (a, the)와 함께 알아두면, 개념 정리가 더 확실히 될 거예요. 부정관사 a의 자세한 쓰임 정관사 the의 자세한 쓰임 영어는 하..
영어 명사의 수일치! 단수, 복수 구별은 깐깐하게 영어 공부하면서, 늘 우릴 귀찮게 따라 다니는 것이, 단/복수 구별 이른바 영어의 수일치인 데, 영어는 수에 대해 아주 민감하기 때문.. 영어는 명사를 쓸 때, 이것이 단수인지, 복수인지.. 또, 동사를 쓸 때도,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깐깐하게 따져서, 꼭~ 무언가 표시를 해줍니다. 즉, 우리는 명사의 수일치와 동사의 수일치 두 가지를 잘 알고 있으면 됨 반면, 우리말은 딱딱 맞춰서 쓰지 않고, 두리뭉실하게 말하는 편 다시 말하면, 영어에 비해 수일치에 보다 자유롭습니다. 이런 두 언어의 차이로 인해, 우린 영어를 처음 배울 때, 또한 아직까지도 수일치 문제는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이와 같이 우리말과 영어가 '크게' 차이나는 부분이 가장 ..
영어의 특징 중 하나 (단수, 복수 수일치) 우리는 단수, 복수를 일일이 따지면서 쓰지는 않고, 보통 이것도 말이 되고, 저것도 말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영어는 '주어'가 단수이냐, 복수이냐 또는 '명사'가 단수이냐, 복수이냐를 분명히 따져 표시를 해줍니다. 바로 이 부분이 우리가 영어를 배우면서 처음 맞딱뜨리는 난관인 데, 왜냐하면 우리말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영어를 배울 때 특히, 우리말과 확실히 차이 나는 부분들 (대표적으로 말의 어순)은 우리 입장에서는 많이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음 원래 시험에는 헷갈리는 부분을 내기 마련이므로, 영어 수일치 문제는 수능이나 토익 시험 등에서 언제나 단골 출제됨 보통 출제 패턴을 보면 주어 부분을 길게 해서 주어, 동사의 간격을 벌려 뭐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