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분사, 과거분사 뜻과 차이 영어 '분사'는 다양하게 쓰임 분사의 종류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있으며, 분사는 to부정사, 동명사와 같이, 영어 준동사 중 하나로,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준동사는 공통적으로 '동사원형'을 기본으로 각각의 형태를 만들며, 실제 동사는 아니지만, '동사의 성격' (서술어)을 일부 지니고 있음 '동사'에 준한다는 뜻에서, '준동사'라고 생각하면 되며, 단 to부정사, 동명사, 분사는 문장 내에서 쓰임이 각기 다릅니다. '동명사'는 '명사'의 역할만, 분사는 '형용사'의 역할만 하지만, 'to부정사'의 경우, 부사적, 형용사적, 명사적 역할을 다 할 수 있어서, 문장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쓰임 (1) 분사의 종류는 둘로 구분 분사는 '현재분사 (ing)..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영어 준동사 알기 쉽게 정리 영어 공부하면서, '준동사'를 제대로 정리해두지 않으면, 영어가 계속해서 어렵게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준동사는 영어 문장을 해석하고, 또 영어 문장을 만드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그러함.. @ 먼저, 준동사란? 준동사는 실제 동사는 아니지만, 공통적으로 '동사원형'을 기본으로 하여, 형태를 만들며, 문장 내에서 동사의 성질 (서술어)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는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구분: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말합니다. 준동사란 동사에 준한다는 의미라고 보면 될 것 같음@ 준동사의 형태to 부정사 : to+ 동사원형, 동명사 : 동사원형+ ing, 현재분사 : 동사원형 +ing, 과거분사 : 동사원형 +..
현재분사, 동명사 참 쉬운 구분법은? 동명사, 현재분사 구분은 블로그에 3년 전에 작성한 적 있는데, 오늘은 기본 개념과 예문을 업그레이드 한 버전이 되겠습니다. 두 가지를 구분하는 방법이 많이 헷갈려 보일 수는 있는데, 실제는 생각보다 간단하며, 한 번만 제대로 알아두면 됩니다.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형태가 같기 때문에 (동사원형+ ing),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것인데, 사실 둘을 구분을 안하고, 뭉뚱그려 -ing 로 알아두는 게 젤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학교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고 또, 공부하다 보면, 둘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도 생길 수 있긴 합니다. □ 영어 동명사와 현재분사 구분하기 (1) 먼저, 동명사, 현재분사의 공통점 1. 둘은 형태가 같습니다 (동사원형 뒤에 in..
'분사'는 팔방미인 (현재분사, 과거분사) 영어 준동사 중, 하나인 '분사' 간단 정리 또 다른 준동사인 to 부정사, 동명사 관련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놓은 글은 본문 맨 하단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분사는 준동사 중의 하나로,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는데, to 부정사처럼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서, 오히려 공부하기 편할 수도 있지만,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둘로 나눠지기 때문에 그리 수월하지는 않음ㅠ ■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분사는 둘로 구분이 됨 -> 1. 현재분사, 2. 과거분사 (둘 다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됩니다.) * 각각의 형태를 보면.. 현재분사 : 동사원형 + ing (능동의 느낌을 지님) 관거분사 : 동사원형 + ed (수동의 느낌을 지님) 분사는 위와..
영어 동명사 쉽게 정리~ to부정사와 비교를 통해 준동사 중, 하나인 동명사에 대해 쉽게 정리하려 합니다. 동명사는 다른 준동사인 to 부정사, 분사와 마찬가지로, 동사에서 나온 '동사출신' 이기에, 동사의 성격도 띕니다 @ 각각의 형태를 봐도 다들 동사원형이 들어감 동명사 : 동사원형 + ing, to 부정사 : to + 동사원형 현재분사 : 동사원형+ ing, 과거분사 : 동사원형+ ed ■ 준동사별 문장 내에서 하는 역할 1. 동명사 : 오직 명사 역할만 함 2. to부정사 :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 (팔방미인) 3. 분사 : 오직 형용사 역할 (현재분사, 과거분사) 먼저, 동명사의 기본개념에 대해 알아본 후, 동명사를 to 부정사 및 분사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본문 중간에 ..
동명사, 현재분사 (ing) 만드는 법 영어에서 ing는 동명사와 현재분사가 있는데, 물론 둘 다 -ing 만드는 법은 똑같습니다. '동명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 역할을 하는 반면, '현재분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며, 또한 현재분사는 be+ ing의 형태로 진행형 문장을 만들기도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본문 맨 아래 추천글 참고 @ ing 만드는 법은 s/es 붙이는 법보다 쉬움참고로, 영어에서 s 또는 es 붙이는 건, 두 가지.. 1. 복수명사에 붙이는 경우 (apple -> apples)2. 동사에 붙이는 경우 (3인칭 단수 현재일 때만) 또, 뒤에 뭔가 붙여야 하는 영어의 남은 한 가지는 바로 과거형 동사 '규칙'에 붙이는 -ed가 있습니다. ※ 과거분사도 규칙형은 -ed를 붙임.. ..
Do you mind my (me) opening the window? 차이먼저, 다음의 두 문장을 볼게요! 1. Would you mind my opening the window? 2. Would you mind me opening the window? 위와 같은 문장에서 대부분 my가 옳은 문장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두 문장은 모두 맞는 문장입니다. 다만 뜻에서 약간 차이가 있음 @ 다음의 두 문장을 비교 Do you mind my opening the window? -> '나의 창문 여는 행위'가 괜찮냐고 묻는 문장- 여기서 opening은 동명사 Do you mind me opening the window?-> 창문 여는 '내가' 괜찮냐는 문장- opening은 me를 수식하는..
영어 준동사 : 넘 간단 정리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또, 많이 헷갈려하는 분사구문 포함 @ 먼저, 준동사의 중요성 동사부터 보면, 영어에서 동사는 무진장 중요합니다. 들을 때도 잘 들어야 되고, 말할 때, 역시 매우 중요함 말하는 중요 내용을 담고 있어서, 동사를 허투로 들어버리면, 결국, 뭔 말인지, 못 알아들음 물론, 우리말도 서술어가 중요한 건 마찬가지입니다. @ 이제, 준동사를 보면.. 영어에서, 한 문장에 동사 딱 하나밖에 못 씁니다. 단, 동작 또는 상태 (be) 의미를 추가로 말해주고 싶을 때, 동사에 약간만 변화 (to do, -ing, -ed) 를 주어 표현하면, 문장이 보다 간단하면서도, 표현 또한 풍부해집니..
동명사 vs. 현재분사 (간단 구분)사실 동명사와 현재분사의 구분을 하지 않고, 자연스레 아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냥 [ing] 라고 생각하는 것이 제일 좋음 단, 시험에도 자주 나오고, 공부하다 보면, 구분이 필요할 때도 있니 구분법 간단히 알아보기 1. 둘의 공통점은? 2가지 ① 둘은 형태가 같아요 ☞ 동사원형 뒤에 ing 붙음. ② 둘 다 동사 출신예요 ☞ 준동사 중 하나! 때문에, 동사의 성질도 어느 정도 갖고 있습니다. [참고] 준동사 간단 정리한 글 -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알기 쉽게 정리 [준동사]to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영어 준동사 알기 쉽게 정리 영어 공부하면서, '준동사'를 제대로 정리해두지 않으면, 영어가 계속해서 어렵게만..
영어 분사 간단 정리 종류 : 현재분사, 과거분사 1. 먼저, 분사란? '분사' 역시 다른 준동사인 to 부정사나 동명사와 같이 '동사 출신'이라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음 쓰임 :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참고로, '분사구문' 역시 분사구문 전체가 주절의 명사를 꾸며주므로,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2. 분사의 종류는? (2가지) 현재분사 : 동사원형 +ing ☞ 진행, 능동의 느낌 과거분사 : 동사원형 +ed ☞ 완료, 수동의 느낌 3. 그럼, 형용사의 역할이란? - 둘로 구분해서 보면 ①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 일반적으로 분사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분사가 뒤에 목적어나 수식어구 등을 달고 나올 때는..
영어 준동사 간단히 정리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 1. 먼저, 준동사란? - 말 그대로, 동사에 준한다는 의미 2. 영어에 준동사는 3가지 -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가 있으며,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구분 3. 준동사는 어떤 경우에 쓸까? 영어의 기본원칙은 한 문장에 동사가 하나만 있어야 하지만, 동사 말고도 '동작'이 들어가는 표현을 더 하고 싶은 경우, 동사의 형태를 살짝 바꿔줘야 합니다.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이거나, 동사원형에 ing를 붙여주면 되는 데, 이럴 경우 결국 문장 내 '동사'는 하나가 되어 문법상 맞는 표현이 됩니다. 준동사는 동사에서 나온 건 맞지만, 그렇다고 동사는 아님 다만 타동사인 경우 목적어를 써줘야 하는 등의 '동사의 성질'은 일부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