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had to + 동사원형 쉽게 정리 특히, 우리말 뜻을 정확히 알아두기 영어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는 have to에 비해, 우리한테 덜 익숙해서, 좀 헷갈릴 때가 있는데, 오늘은 'had to 표현'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잘 알다시피, have to+ 동사원형은 '뭐뭐해야 돼' (의무)란 뜻이며, had to+ 동사원형은 have to의 과거형이므로, 그대로 뜻을 살리면, '뭐뭐해야 됐어' (의무)가 됨 한 가지 주의할 점은 'had to+ 동사원형'의 우리말 의미가 '-해야 됐어'여서, 과거에 대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단지, 과거에 '뭐뭐를 해야 됐어'고 하는 말 (후회가 아님) - 예) 우리는 비 때문에 경기를 취소해야 됐..
had to와 had to 간단 비교 부정형도 포함해 비교 정리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며 뜻은 '해야 돼'라는 걸 영어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텐데, have to의 과거 형태인 had to에 대해서는 정확한 뜻을 잘 모르거나 매번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오늘 had to에 대해 가급적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일단, had to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독해할 때 해석을 매끄럽게 하는 것 외에도 일상에서 잘 쓰이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실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특히, have to와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음 (1) have to+ 동사원형 : -해야 돼 [현재형] - 부정문 : don't have to (안 해도 돼) ■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 1. ..
had to의 뜻과 부정형 간단 정리 지난 번 포스팅에서 have to, should, must를 비교해 봤는 데, 그 때 have to의 뜻은 '-해야 돼'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그 과거형인 had to 에 대해서 알아볼 건 데, 이게 왜 좀 어렵게 느껴지느냐면, have to는 자주 보는 데, had to는 그 보다 가끔 보니까 나올 때마다 헷갈리는 것 같음 그렇다고 해서 had to가 잘 안 쓰이거나 그런 건 아닙니다! □ had to 관련 간단히 정리 * 의미 : -해야 됐었어.. 부정문 : didn't have to : 안 해도 됐었어 had to는 have to의 과거형이므로 'have to의 의미'를 활용하면 had to의 의미가 쉽게 나옵니다. h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