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ve to와 had to 간단 비교 (부정형 포함)

 

had to와 had to 간단 비교 (부정형 포함)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며 뜻은 '해야 돼'라는 걸 영어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텐데, have to의 과거 형태인 had to에 대해서는 정확한 뜻을 잘 모르거나 매번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오늘 had to에 대해 가급적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일단, had to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독해할 때 해석을 매끄럽게 하는 것 외에도 일상에서 잘 쓰이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실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특히, have to와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음

 

 

(1) have to+ 동사원형 : -해야 돼 [현재형]

 - 부정문 : don't have to (안 해도 돼)

 

■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

1. You have to try more than now. 너 지금보다 더 노력해야 돼

 

2. I don't have to come back home : 나 집에 안 들어가도 돼

 

3. You have to listen ti your mom. : 너네 엄마 말 잘 들어야 돼

 

4. I don't have to go to work today : 나 오늘 출근 안 해도 돼

 


 

(2) had to+ 동사원형 : -했어야 됐어 [과거형]

  - 부정문 : didn't have to : -안 했어도 됐어

 

[참고사항]

had to의 부정문을 만들 때 주의할 점은 조동사 did가 있어 동사원형인 have가 되는 데 이 경우, 현재형인 have to와 헷갈리지 않기

 

그리고, had to의 뜻은 have to의 과거형임을 감안하면 왜 '-했어야 됐어'가 나왔는 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  다음은 예문을 통해 간단 정리

 * had to : -했어야 됐어, didn't have to : -안 했어도 됐어

 

1. We had to get up early today. : 우리 오늘 일찍 일어났어야 됐어

 

2. I had to tell my parents first. : 나 부모님한테 먼저 말했어야 됐어.

 

 

3. We had to take part in the meeting. : 우리 그 모임에 참여했어야 됐어

 

4. You didn't have to do that. : 너 그러지 않았어도 됐어

 

 

5. You didn't have to study so hard. : 너 그렇게 열심히 공부 안했어도 됐어 

 

6. I didn't have to be nice to her. : 나 그녀한테 잘해주지 않았어도 됐어

 

 

@  간단히, 마무리하면

 

Have to와 Don't have to는 많이 봐왔기 때문에 익숙해서 뜻이 쉽지만, 그 과거형인 had to '-했어야 됐어'와 didn't have to '-안 했어도 됐어'의 경우, 금방 까먹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단, 그럴 때마다 현재형인 have to를 통해 과거형을 유추해 보면, 오늘 정리한 둘의 의미가 쉽게 나오니, 안심해도 됩니다^^

 

 

● 관련글 더 보기

복잡한 GET의 뜻을 쉽게 정리

 

hard와 difficult 차이는 뭘까?

 

동사 TAKE의 다양한 뜻 정리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