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문과 Let's, Let's not (간단 정리)

 

명령문과 Let's, Let's not

 

명령문과 권유할 때 쓰이는 Let's

 

먼저, 명령문은 형태가 워낙 명확해서, 명령문이란 걸, 금방 알아챌 수 있습니다.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문장이 시작되고 뜻이 '뭐뭐해'이며, '부정 명령문'은 Don't+ 동사원형으로 시작하고 '뭐뭐하지 마'란 뜻이 됩니다.

 

 

@ 한 가지 알아둘 점

 

명령문이라고 해서, 꼭 위압적이고 그런 게 아니라, 말하는 어투에 따라 느낌은 얼마든지 달라집니다.

 

또, 명령문을 please와 같이 쓴다고 하면, 보다 공손해지기도 함 

 

영어 뿐 아니라, 모든 언어는 말투나 억양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들리는 느낌은 천차만별일 겁니다.

 

 

[명령문 예문]

아침에 좀 일찍 일어나 : Get up early in the morning.

 

저기 가서 손들고 있어 : Go there and put your hands up.

 

 

@ 끝이 '-(하지) 마'로 끝나면, 부정 명령문

 

제발 그러지 좀  : Don't do that, please!

 

누워서 TV 보지 : Don't watch TV, lying.

 

 

부정명령문을 더 세게 말할 땐 Don't 대신 Never를 쓸 수 있음

 

예) Never watch TV, lying. : 절대 누워서 TV 보지마

 

뜻은 '절대 하지마' 또는 '다시는 하지마' 정도라고 보면 됨 

 

 

■  권유를 나타내는 Let's와 Let's not

 

먼저, Let's는 Let us의 줄임말 (is가 아님)

 

따라서, '우리'란 의미가 이미 포함돼 있음..

 

하지만, 우리는 한국말로 '권유 표현'을 할 때, 우리란 말을 쓰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합니다.

 

 

■ 각각의 뜻을 보면..

* Let's : ..하자 - Let's not : ..하지 말자

 

 

@ 예문을 통해 정리

우리 그냥 딴 데 가자 : Let's just go somewhere else.

 

나중에 어벤져스2 보자 : Let's watch 어벤져스2 later.

 

 

* '-(하지) 말자'로 끝나면, 보통 Let's not으로 시작

 

이제 거기 가지 말자 : Let's not go there from now.

 

우리 더 이상 싸우지 말자 : Let's not fight anymore.

 

 

■  관련글 더 보기

영어독해 잘하는 방법 추천

 

수동태 간단히 해석하는 팁

 

gonna, wanna, gotta 정리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