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d to의 뜻은? (부정: didn't have to)
- 문법 간단 정리
- 2012. 10. 3.
had to의 뜻은?
지난 번 포스팅에서 have to, should, must를 비교해 봤는 데, 그 때 have to의 뜻은 '-해야 돼'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그 과거형인 had to 에 대해서 알아볼 건 데, 이게 왜 좀 어렵게 느껴지느냐면, have to는 자주 보는 데, had to는 그 보다 가끔 보니까 나올 때마다 헷갈리는 것 같음
그렇다고 해서 had to가 잘 안 쓰이거나 그런 건 아닙니다!
□ had to 관련 간단히 정리
* 의미 : -해야 됐었어..
부정문 : didn't have to : 안 해도 됐었어
had to는 have to의 과거형이므로 'have to의 의미'를 활용하면 had to의 의미가 쉽게 나옵니다.
have to는 '-해야 돼'니까 had to는 '-해야 됐었어'가 되며,
have to의 부정형태인 don't have to는 '-안 해도 돼'니까, didn't have to는 '-안 해도 됐었어'가 됩니다.
■ 다시 정리하고 넘어가면..
have to는 해야 돼, don't have to : 안 해도 돼
had to는 (과거니까) 해야 됐었어
didn't have to 는 안 해도 됐었어
주의 : didn't have to의 경우, 조동사 did가 있어서 동사원형인 have를 씀
* 헷갈릴 수 있는 부분
didn't have to는 꼭 후회를 표현하는 말이 아니라는 점
후회가 아니라, 단지 그냥 그렇다는 말이 됩니다.
과거에 대한 후회는 should have pp란 표현이 따로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에 있는 링크 중, 마지막 것을 보면..
should는 가정법에도 쓰이는데, 이 때는 설령 or 혹시라도란 뜻으로 쓰임
[관련글]
※ have to 예문은 아래글 참고
① 먼저, had to 예문을 통해 간단 정리
너 여기 일찍 왔어야 됐었어 : You had to come here early.
너 싸이한테 먼저 말해야 됐었어: You had to tell 싸이 first.
어릴 때, 내가 돈을 벌어야 됐었어: I had to make money when young.
내가 누굴 좀 만나야 됐었어 : I had to meet someone.
② 다음은 didn't have to 간단 정리
너 수지 말 안들어도 됐었어: You didn't have to listen to 수지.
너 그거 돈 안내도 됐었어 : You didn't have to pay for that.
너 그 얘한테 선물 안줘도 됐었어: You didn't have to give her the present.
● 관련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