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와 ETN 간단히 비교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그 동안 블로그에 ETF 관련해서는 글을 많이 작성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본문 맨 하단을 참고 바랍니다. ETF (상장지수펀드)는 출시된 지, 벌써 수년 이 되었지만, ETN은 작년 11월 17일에 10개 상품이 첫 상장되었습니다. ※ 국내 증권사 총 6군데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장지수 펀드는 레버리지, 인버스를 바탕으로 거래량이 엄청나지만, ETN은 아직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지는 않음 [참고] 용어 정리 1. ETF :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 핵심 : '펀드'의 일종이라는 점 - 따라서, 펀드의 특징을 가짐 2. ETN : 상장지수증권 (Exchange traded Note) - 핵심 : '파생상품'의 일종이라..
ETF 간단 정리 특징과 세금 인덱스 펀드와 비교 포함 오늘은 ETF (상장지수 펀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ETF란 말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서,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가 되는 펀드를 말함 다른 말로, 상장지수펀드 또는 ETF 펀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ETF는 특정 지수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만들어진 상품으로 인덱스 펀드의 일종이라고 할 수도 있음 @ 위의 두 가지를 종합해 보면 : ①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② 인덱스 펀드라고 보면 됩니다. - 따라서, 주식과 인덱스 펀드의 성격을 둘 다 갖고 있음 [참고] ETF 의 특징 몇 가지를 보면 1. 주식의 성격 : 시장에서 자유롭게 매매가 가능하다 2. 인덱스 펀드의 성격 : 특정 지수를 따라 움직인다 - 개..
삼성그룹 ETF 비교 및 정리 코덱스 (KODEX ) 삼성그룹 등 4가지 현재, 삼성그룹 핵심 계열사에 투자하는 ETF 펀드는 총 3군데 자산운용사의 네 가지 ETF 상품이 있습니다. ※ KINDEX 삼성그룹은 두 가지 상품이 있음 @ 이들의 최고 특징은? 저렴한 비용으로 삼성그룹주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점 ETF는 KODEX 200처럼 시장지수 ETF, TIGER 원유선물처럼..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 , 업종 ETF 등.. 그 종류가 다양한데.. 삼성그룹주 ETF 는 대표적인 테마 ETF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 ETF의 장점 펀드 대비 저렴한 비중으로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 일반 주식과 똑같이 실시간으로 사고 팔 수 있다. 아직은 주식과 달리 거래세가 부과되지 않고 있다 ※ 이 부분은 향..
대표적인 채권 ETF 4가지 ETF로 손쉽게 채권에 투자 가능 그 동안 ETF 관련 글을 많이 썼는 데, 오늘은 채권 ETF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참고] ETF란? ETF 특징 및 세금/장단점은? □ 주요 채권 ETF 4가지 KOSEF 국고채 KOSEF 단기자금 KODEX 단기채권 TIGER 유동자금 채권 ETF별 투자하는 채권 종류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면, 주식형 ETF보다 안정적인 상품 특히, 투자처를 찾지 못한 단기적 운용에 편리하며, 채권 ETF를 활용하면, 그 동안 채권 투자가 쉽지 않았던, 개인 투자자들도 채권투자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채권 ETF 과세 관련 * 매매차익과 과세표준 증가분 중, 적은 금액에 대해 배당소득세가 부과됨 - 매매차익 = 매도가격- 매수가격 - 과표증분 ..
ETF 뜻과 세금 및 장단점 (ETF란?) 1. 먼저, 용어 정리부터~ ETF는 Exchang Traded Fund의 약자로 ETF 펀드라고도 하고, 상장지수펀드라고도 함 '상장지수펀드'는 말이 좀 어렵게 느껴지는 데^^:: 말 그대로, ① 주식시장에 상장된, ② 지수(=인덱스) 펀드란 뜻입니다. @ 즉, ETF란? 인덱스펀드와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갖춘 상품입니다. 먼저, 인덱스 펀드에 대해 잠깐 보면, ※ 인덱스 펀드란? (Index Fund) : - 이 때, INDEX는 '지수'란 의미 인덱스 펀드란 개별 종목이 아닌, '특정 지수'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주식을 적절히 편입한 펀드이며, 엑티브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함 펀드별 기초지수는 각기 다릅니다. [참고] 액티브 펀드란? 인덱스 펀드에 반..
ETF 세금 간단 정리 (수수료, 거래세) 무엇보다 ETF (상장지수 펀드)의 큰 장점은 현재 증권 거래세가 없다는 점입니다. 반면 일반주식의 경우는 매도할 때, 매도금액의 0.3%를 거래세로 내야 함 꽤 오래전부터 ETF에 대해 거래세 부과를 추진 중이라는 말은 있지만, 그 시가가 언제가 될 지는 모릅니다. (언젠가는 부과될 것 같기는 함) 만약 거래세가 부과된다면, 주식형 ETF 에만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다른 유형의 ETF의 경우 거래세 마저 부과된다면 이중과세의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 주식형 ETF vs. 나머지 ETF의 구분 ① 주식형 ETF : 대부분의 자산을 주식 현물에 투자 ② 나머지 ETF : 주식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상품 - 해외지수, 상품, 외환, 채권, 인버스, 레버리지..
코스닥 ETF 4인방 비교 요즘 특히, 코스피랑 코스닥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코스닥 ETF를 활용하면 분산 투자 측면에서 약간의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코스닥 주식은 간혹 가다 상장폐지의 위험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코스닥 ETF 네 가지 모두 코스닥 시장의 대형주, 우량주 중심으로.. 종목을 편입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정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코스닥 ETF: 총 4개 FIRST 스타우량 (동양 자산운용) KStar 코스닥엘리트30 (KB 자산운용) TIGER 코스닥프리미어 (미래에셋 자산운용) KINDEX 코스닥스타 (한국투자 운용) 1. FIRST 스타우량 설정일: 2009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