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형과 현재진행형 간단 비교 @ 먼저, 둘의 뜻부터 알아볼게요 현재 시제 : ..해 (평소에) 현재진행형 : ..하고 있어 (지금) * 형태 : be+ ing 현재진행형의 해석을 '..하는 중이야' 라고만 해석하면, 말이 어색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 현재진행형에 '지금'이란 의미가 들어가 있어서, 만약, now를 덧붙여 준다면, 좀 더 강조의 뜻이라고 보면 됩니다. [참고] Be+ Ing :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음 [Be+ Ing] 미래 표현의 현재진행형 □ 둘을 비교하는 예문을 통해 정리 I watch 무한도전 : 나 '무한도전' 봐 (평소에)I'm watching 무한도전 : 나 '무한도전'보고 있어 (지금) I don't wash my hair. : 나 머리 안 감어 (평소에)I..
분사구문 간단 정리 2편 (해석편) 분사구문에 대해 간단히 풀어보겠습니다. 지난번 분사구문 기본편 1편에서는 분사구문의 기본개념, 형태, 특징 등을 정리했고, 1편부터 보시면 더 좋습니다. [참고] 분사구문 간단 정리 제 1편 □ 분사구문 2편은 뜻과 해석법 - 분사구문의 뜻은 크게 5가지 1. ..하다가 / ..하면서 (개념 : 동시에) - 분사구문의 가장 기본적인 뜻입니다. 2. ..해서 / ..때문에 (because 뜻) 3. ..할 때 / ..하면 (if 또는 when의 뜻) 4. ..인데도 / ..지만 (though의 뜻) 5. 상대과거 표현일 때, 의미상 after의 뜻이 많음 - 형태 : having done으로 시작 - 뜻 : ..한 후 / ..하고 나서 @ 참고 : 분사구문의 상대과거 표..
분사구문 넘~ 간단 정리 분사구문은 영어에서 만만치 않은 부분인 데, 오늘은 되도록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다음은 '분사'에 관한 글인 데, 분사 부분이 헷갈리는 분들은 먼저 읽어보시는 걸 권합니다. 분사구문의 기본은 당연히 분사가 됨 [관련글]영어 '분사' 간단 정리한 글 영어 분사 넘~ 쉽게 정리 (현재분사/과거분사)영어 분사 넘~ 쉽게 정리 종류 : 현재분사, 과거분사 오늘 다룰 내용은 영어 준동사 중, 하나인 '분사'에 대한 내용인 데, 분사는 to 부정사와 동명사 함께 '문법용어'로 준동사라고 합니다. 왜냐하ilikeen.tistory.com 오늘 제 1편에서는 분사구문의 개념, 형태, 특징 등에 대해 정리하고, 다음번 제 2편에서는 분사구문의 뜻과 해석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관계대명사 넘 간단히 풀어보기 (제2편) 지난번 관계대명사 제1편에서는 더 기본 적인 내용을 다뤘습니다. * 간단히만 보면 관계대명사 기본 3가지 : who / which / that 소유격 관계대명사 : whose 목적격 관계대명사 : whom (좀 딱딱한 표현) 때문에 whom 쓸 자리에 대신 who가 많이 쓰임 [관련글]관계대명사 간단 정리 1편! 오늘 다룰 관계대명사 2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이한 관계대명사 what 정리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이란? -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 '전치사+ 관계대명사' 형태 ■ 관계대명사 쉽게 풀어보기 (제2편) 1. 먼저, 특이한 관계대명사 what 다른 관계대명사는 모두 형용사절을 만들어서 앞에 말 (선행사)를 보충해..
관계대명사 간단 정리 who, which, that, whom, whose 영어에서 '관계사'는 두 가지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가 있습니다. 둘 다 쓰임은 공통적으로 앞에 말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 1. 먼저, 영어의 특징부터 보면.. 일단 주어, 동사를 먼저 말한 후, 앞의 말을 보충해 나가는 방식인 데, 바로 '관계사'가 이러한 영어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음 이 때, '관계'란 말은 '연결' 이라고 이해하면 되며, 역할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는 접속사로 보면 됩니다. 대명사는 말 그대로 '대명사' (앞의 선행사를 받아 주는 역할) 따라서, 관계대명사의 역할은 [접속사+ 대명사]의 역할이 됨.. 2. 관계대명사 다음에 (뒤에) 오는 문장은? 관계대명사는 대명사의 ..
be동사 뜻과 종류 (넘 간단 정리) 영어의 동사는? 크게 둘로 구분 (상태 vs 동작) 1. be 동사 :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2. 일반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be동사부터 어떤 경우에 쓰이는지 확실히 알고 난 후 일반동사를 정리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고 봅니다.. 일단, be 동사의 쓰임을 확실히 알게되면 영어는 쉬워지는 데 단, be 동사는 우리 생각만큼 쉽지는 않습니다. (독해는 쉬움) 영어로 어떤 말을 하려 할 때, 서술어로 be동사를 써야되는지, 아니면 일반동사를 쓰는 게 적절한 지 헷갈릴 때가 참 많은 데 바로 be 동사의 뜻에 답이 있답니다! be 동사는 총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무엇보다 be동사의 뜻이 정말 중요함 현재형은 am, are, is가 있으며, 뜻은 '이야' 또는..
영어의 기초 (영어어순, 품사) 오늘은 영어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을 다뤄 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먼저, 알아둘 점은? 영어의 어순은 우리말과 다르다는 점 우리말 어순 영어 어순 한 소녀가 학교에 가고 있어 나는 개가 한 마리가 있어. A girl is going to school. I have a dog. 우리말은 이렇게 동사가 맨 마지막에 오는데, 영어는 주어+ 동사 가 가장 기본적인 구조예요 그래서, 이 주어+ 동사 구조를 토대로 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문장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1. 주어 + 동사 A girl is walking. 소녀가 걷고 있어 2. 주어+ 동사+ 주격보어 He is kind. 그는 친절해 3. 주어 + 동사 + 목적어 She has a dog. 그녀는 개가 있어 4. 주어+..
관계대명사 간단 해석법 who, which, that 정리 영어 관계대명사는 문법적으로나 말할 때는 쓰기에 그리 쉽지는 않지만, 해석할 때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관계부사의 해석도 마찬가지 저의 경우, 중/고등학교 다닐 때는 이러한 쉬운 해석법을 배우지 못했지만, 요즘에는 아마 학교에서도 대부분 이런 식으로 관계사를 해석할 겁니다. @ 먼저, 관계대명사에 대해 간단히 보면 관계대명사는 기본적으로 who, which, that이 있으며, 또 관대 who의 목적격으로는 whom이 있는데, 일상에서는 whom 대신 who를 많이 씁니다. 또, 소유격으로는 사람, 사물 둘 다 whose 를 많이 씀 (of which는 좀 딱딱한 표현) 관계대명사 what의 경우는 이와 성격이 많이 다른 데 (특징 : 관대..
to 부정사 용법 정리 (넘 간단) 블로그 글 중, 그 동안 추천을 많이 받은 글을 고르라면 단연, to 부정사 용법을 정리한 글을 꼽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예전에 작성한 글을 더 보충하여 정리해봤습니다 문장 내에서 to 부정사는 딱 이 용법으로 쓰인 거라고, 말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이 용법이라 해도 말이 되고, 저 용법이라 해도 말이 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즉, to 부정사는 보다 유연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음 문법책에는 보통 to 부정사 용법은 크게 3가지로, 부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명사적 용법이 있는 데, 사실, to 부정사가 있는 영어 문장을 말할 때 가장 좋은 건, 무슨 용법인지 의식하지 않고 말하는 것^^ □ 여기서는 용법을 5가지로 나눠 봄 1. ..하는 것 (명사 ): 주..
영어 준동사 : 넘 간단 정리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 정리 또, 많이 헷갈려하는 분사구문 포함 @ 먼저, 준동사의 중요성 동사부터 보면, 영어에서 동사는 무진장 중요합니다. 들을 때도 잘 들어야 되고, 말할 때, 역시 매우 중요함 말하는 중요 내용을 담고 있어서, 동사를 허투로 들어버리면, 결국, 뭔 말인지, 못 알아들음 물론, 우리말도 서술어가 중요한 건 마찬가지입니다. @ 이제, 준동사를 보면.. 영어에서, 한 문장에 동사 딱 하나밖에 못 씁니다. 단, 동작 또는 상태 (be) 의미를 추가로 말해주고 싶을 때, 동사에 약간만 변화 (to do, -ing, -ed) 를 주어 표현하면, 문장이 보다 간단하면서도, 표현 또한 풍부해집니..
의문사+ to 부정사 용법 (간단 정리) 먼저, 예를 하나 들면 I don't know what to do. : 내가 뭘해야 될지 모르겠어 위의 문장은.. I don't know what I should do와 거의 같은 의미가 됩니다. 여기서, what to do의 뜻은 => '뭘해야 될지..' 주의 할 점은 '뭘 해야 됐는지'가 아니라는 점, 왜냐하면, to 부정사는 기본적으로 미래성를 지니고 있습니다 참고 : 동명사 (ing)는 과거성을 지님 [참고로 알아두기] should, have to의 뜻은 '뭐뭐해야 돼' 라고 알아두면 좋고, 이 둘 역시 '미래성'을 지니고 있답니다. 그러한 이유로 조동사 will과 같이 안 쓰임 둘 다 조동사라서 그렇다고 볼 수도 있지만, 둘을 같이 쓰면 의미가..
간접의문문 (의문사+주어+동사) 정리 ■ 간접 의문문이란? 예를 들어 의문문인 What time is it?이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더 긴 문장의 일부로 쓰일 때 (보통 목적어로 많이 쓰임), 바로 이 때의 what time it is를 간접의문문이라 합니다. 어순은 의문사(what time)+ 주어(it)+ 동사(is) 순서가 됨.. Do you know what time it is? : 너 알어? 지금이 몇 시인지? @ 중요한 건, 말할 때 만만치가 않다는 점 - 순식간에 어순을 만들어, 중간에 끼어 넣어야 함. @ 가장 주의해야 건 바로 '동사'의 처리! 동사는 현재, 과거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또,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땐, 동사에 -s나 -es를 붙이기 때문에, 간접의문문 어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