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uld have pp 간단히 정리 둘로 구분해 알아두면 쉬움 영어 should have pp는 지난 일을 후회하거나 남을 탓할 때 자주 쓰는 영어표현입니다. 뜻은 '~했어야 했어' 또는 '~했어야 했는데' 정도가 됨 ■ 중요 : 둘로 구별해 알아두기 문장의 주어가 'I (나)' 또는 'We (우리)'라면 지난 일을 후회하는 표현이 되며, 주어가 남일 때는 지난 일을 탓하는 듯한 느낌이 됩니다. 다만, 두 가지 경우 모두 우리말 뜻만 보면 '~했어야 했어' 또는 '~했어야 했는데'로 같음 [참고] 부정형태 관련 부정형인 shouldn't have pp는 뜻이 반대가 되어 지난 일에 대해 '~하지 않았어야 했어..' 정도가 됩니다.마찬가지로 문장의 주어가 I 또는 We라면 지난 일을 후회하는 표..
should have pp 넘~ 쉽게 정리 반대말인 should not have pp 포함 영어를 공부할 때 문장 내에 '조동사+ have pp' 형태가 나오면, 정확한 해석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아, 그냥 대충 해석하고서 넘어가는 일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조동사+ have p.p 형태 중 제대로 해석을 안 할 경우,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가장 타격이 클 수 있는 should have pp에 대해 가급적 쉽게 정리하려고 함 한 마디로, should have pp는 '후회'하는 표현을 할 때 쓰는 형태인 데, 우리는 생각보다 일상생활에서 과거에 한 일을 후회하는 말을 많이 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should have p.p는 독해에서도 중요하지만, 일상회화에서도 무척 중요한 ..
be동사 과거형+ going to 의미는? 핵심 : 후회를 나타내는 말이 아님 be동사 (현재형)+ going to+ 동사원형의 뜻은 우리말로 '-할 거야 (미래)' 란 건 대부분 알고 있을 거라 생각되지만, be 동사 (과거형)+ going to+ 동사원형은 분명 평소에 자주 쓰이는 말임에도 정확한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 데, 오늘은 이에 대해 최대한 간단히 정리하려 합니다^^ be동사 과거형+ going to 이므로 was going to나 were going to 형태가 되며 뜻은 '뭐뭐 하려고 했어' (근데, 안 했음)이 됩니다. 중요한 건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 아니라는 점이며, 영어에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은 따로 있는 데,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는데) 를 써..
had to와 had to 간단 비교 부정형도 포함해 비교 정리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며 뜻은 '해야 돼'라는 걸 영어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텐데, have to의 과거 형태인 had to에 대해서는 정확한 뜻을 잘 모르거나 매번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오늘 had to에 대해 가급적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일단, had to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독해할 때 해석을 매끄럽게 하는 것 외에도 일상에서 잘 쓰이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실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특히, have to와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음 have to do : ~해야 돼 [현재] 부정문 : don't have to (안 해도 돼) ■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 1. You have t..
should have pp와 shouldn't have pp 둘의 비교를 통해, 뜻 쉽게 알아보기 영어공부 하면서, 문장 내에 조동사 have pp 형태가 나오면, 해석을 두루뭉실하게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이는 평소에 조동사 have p.p의 기본 개념이 잘 안 잡혀서, 그런 거라 생각되며, 오늘은 그 중에서도 제일 헷갈릴 만한 should have pp와 그 부정형인 should not have pp에 대해, 되도록 이해하기 쉽게끔, 간단히 정리하려고 함 (^^) ※ 다른 조동사 have+ 과거분사 관련글은 본문 하단 참고 또, should have pp는 평소 말할 때도 매우 많이 쓰이므로, 제대로 아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부정형도 마찬가지) 단, 기본형태 자체가 길기 ..
should have pp 3가지 뜻 should have p.p는 3가지 뜻으로 나누어져요. 1. ..했어야 했어 Because of heavy snow, my car should have got stuck in the snow. 폭설로 인해, 내 차는 눈 속에 갇혀 있어야 했어. 2. ..했어야 했는데 못했어 You should have gone already. 너 벌써 갔어야 했는데 (안갔네) 3. ..했을 거야 (추측) Tom should have got home by now. 탐은 지금쯤 집에 도착했을 거야. -> 이 의미는 'by + 특정 시간' 과 함께 곧잘 쓰여요. 관련글 더 보기should의 모든 뜻&용법 정리 조동사 should의 모든 뜻과 용법조동사 shoul..
헷갈리는.. 조동사 + have pp could have pp, would have pp, might have pp, should have pp, may have pp must have pp 등의 헷갈리는 '조동사 과거형 + have pp'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 다음은 표로 정리한 내용 그건 탐일 수 있다. 탐일지 모른다. 그건 탐이었을 수 있다. 가정문에서…. That could be Tom. That could have been Tom. If you had asked me, I could have helped you. That might be Tom. That might have been Tom. 네가 요청했다면, 도와줬을 수 있는데.(못했음) That may be ..
should not have pp 뜻은? 예문을 들어 간단히 설명 should not have pp 또는 줄여서 shouldn't have pp라고 하는 데, 영어에서 과거의 일을 후회할 때 쓰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 shouldn't have pp 의미 - 뭐뭐 안 했어야 했는 데.. - (즉, 해서 후회된다는 말) 먼저, should have p.p 글을 읽어보면 좋은 데, should have pp는 이와 반대로 '뭐뭐했어야 했는 데', 안 해서 현재 후회된다는 말입니다. 먼저, 보다 기본이 되는 should have pp를 알면, shouldn't have pp는 공부하기 쉬움 [관련글] should have pp 간단히 정리 should have pp 넘~ 쉽게 정리 [발음 포함] shoul..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