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 being pp, on being told 정리
우리말 자체가 수동태형이 익숙하지 않다 보니..
being 형식의 문장이 나올 때, 해석에 애를 먹곤 하는데요..
오늘은 그 표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진행형 being (해석: -하는 중)
a. He is selfish. 그는 이기적이다 (일반적으로)
b. He is being selfish
: 그는 이기적인 중이다 (그는 지금 이기적이다)
b는 원래는 그런 사람이 아닌데, 그 순간에 이기적이란 의미
이 문장은 현재진행형 관련글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My story is not being told
사람들이 지금 내 이야기를 듣고있지 않다
be told 의 해석
told가 '말하다'이고, be told가 '말해지다' 란 뜻이므로,
거꾸로 해석하면,, '듣다' 라는 뜻이 됩니다.
여기에 being이 붙어, 내 이야기는 들어지고 있는 중이 아니다.
즉, 사람들이 지금 내 이야기를 듣고 있지 않다가 됨
2. 이번엔 좀 더 복잡한 표현을 볼게요
- On being told, I screamed.
이 문장은 분사구문인데, 원래 문장을 복원하면 이렇습니다.
-> As soon as I was told, I screamed.
주어가 같으므로 생략 됐고, 시제가 과거시제로 동일해서 being이 쓰였으며
접속사는 on -ing 구문은 as soon as 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관련글 : 분사구문 쉽게 정리
3. 이번에는 능동태와 수동태의 차이
Someone was cleaning the room when I arrived.
내가 도착했을 때, 누군가 방을 청소하는 중이었다.
The room was being cleaned when I arrived.
내가 도착했을 때, 방을 누군가 청소하고 있었다.
영어에서 '수동태'는 보통 주어가 불분명할 때 또는 주어를 밝히기를 꺼려할 때.. 흔히 사용됩니다.
4. 동사원형+ -ing
- 이미 존재하거나, 존재했던 상황. 해석 : -하는 것
여기서 being은 be +ing로 동명사. 윗 문장과는 다르죠
(예. Do you like swimming?)
Do you like being a student?
지금 학생인 것을 좋아하니? = 지금 학생인 게 좋니?
I don't like being told : 나는 얘기듣는 것을 안 좋아한다
참고: 동사를 동명사로 만드는 법은 동사에 -ing : swim->swimming
동명사의 수동형은 being pp : be told -> being told.
[추천글]
-
-
안녕하세요? 2015.02.15 19:42
안녕하세요? 질문할게있는데요
It squeezes through the follicle rather like toothpaste being squeezed from a tube. 에서요 저기 being squeezed 는 도대체 뭐인가요? 수동태로 쓰인건알겠는데(짜여진거니까) being이 왜나오는지모르겠어요ㅠㅠ 그냥 짜여져 나오는으로 해석하면 되나요??
그리고 rather 는 다소,오히려 라는 뜻인데 책에는 rather like 합쳐서 똑같이라 나와있네요
rater like는 네이버에 쳐도 안나오는데 무슨뜻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