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분수&소수 읽기 (분수 영어로?) 영어 공부를 하다 보면, 영어로 숫자 읽는 방법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다는 걸 점차 느끼게 됩니다^^:: 물론, 원어민들은 넘 당연하게 느껴지므로 쉽겠지만, 남의 나라 말을 배우는 입장에서는 많이 헷갈림 오늘은 그 중에서 수학 용어인 분수/소수 읽는 방법과 관련해,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 분수 읽는 법이 소수에 비해 조금 더 복잡함 본문 맨 하단의 수학 관련 영어표현 (사칙연산, 부등호) 및 숫자 읽는 법을 표로 정리한 글도 참고 바랍니다. (1) 먼저, 영어로 분수 읽기 - 서수가 쓰여서, 좀 헷갈림 분자는 기수로, 분모는 서수로 읽으며, 분자를 먼저 읽고, 분모를 나중에 읽음 (분자가 2 이상일 땐, 분모에 s 붙임) ※ 보통 1/2은 on..
영어로 사칙연산 표현하는 법 오늘은 수학식을 영어로 표현하는 법을 정리하려 하는데, (솔직히, 이 부분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함), 가장 기본이 되는 곱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사칙연산과 부등호 (이상, 이하, 초과, 미만) 표현을 알아보려 합니다. ■ 특히, 사칙연산는 이것부터 알아두면 쉬워짐 * 더하기 : plus * 빼기 : minus * 곱하기 : times * 나누기 : divided by @ 곱하기와 나누기 표현에 주의하기 곱하기에서의 times는 몇 배 할 때, '배' 라는 뜻이며, 나누기에서의 divided는 '나뉘어진' 이란 뜻이 되는데, 동사 divide (나뉘다) 의 과거분사로 쓰인 경우입니다. ■ 부등호는 두 가지만 알면 쉬워집니다. - 보다 작은 : less than - 보다 ..
현재분사, 동명사 참 쉬운 구분법은? 동명사, 현재분사 구분은 블로그에 3년 전에 작성한 적 있는데, 오늘은 기본 개념과 예문을 업그레이드 한 버전이 되겠습니다. 두 가지를 구분하는 방법이 많이 헷갈려 보일 수는 있는데, 실제는 생각보다 간단하며, 한 번만 제대로 알아두면 됩니다.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형태가 같기 때문에 (동사원형+ ing),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것인데, 사실 둘을 구분을 안하고, 뭉뚱그려 -ing 로 알아두는 게 젤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학교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고 또, 공부하다 보면, 둘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도 생길 수 있긴 합니다. □ 영어 동명사와 현재분사 구분하기 (1) 먼저, 동명사, 현재분사의 공통점 1. 둘은 형태가 같습니다 (동사원형 뒤에 in..
영어 부분부정 넘 쉽게 정리 영어 부분부정을 공부할 땐, 특히 다음의 네 가지를 중점으로 보시면 됩니다. (all, both, every, always) 아니, 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말할 때나 독해할 때, 부분부정을 제대로 이해못하면, 대충은 알아들을 수는 있겠지만, 정말 말하고자 하는 디테일한 부분을 놓칠 수 있기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부분부정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공통점을 알아본 뒤, 부분부정과 전체부정을 간단하게 비교해 보고 나서, 각각의 예문을 통해 가급적 쉽게 알아보려고 함 all, both, every, always @ 위의 네 단어들의 공통점은? - 전부 '전체'를 나타내는 말이라는 점 both도 둘 중에, '둘 다' 라는 뜻이므로 전체를 뜻한다고 볼 수 있고, al..
'분사'는 팔방미인 (현재분사, 과거분사) 영어 준동사 중, 하나인 '분사' 간단 정리 또 다른 준동사인 to 부정사, 동명사 관련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놓은 글은 본문 맨 하단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분사는 준동사 중의 하나로,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는데, to 부정사처럼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서, 오히려 공부하기 편할 수도 있지만,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둘로 나눠지기 때문에 그리 수월하지는 않음ㅠ ■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분사는 둘로 구분이 됨 -> 1. 현재분사, 2. 과거분사 (둘 다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됩니다.) * 각각의 형태를 보면.. 현재분사 : 동사원형 + ing (능동의 느낌을 지님) 관거분사 : 동사원형 + ed (수동의 느낌을 지님) 분사는 위와..
영어 동명사 쉽게 정리~ to부정사와 비교를 통해 준동사 중, 하나인 동명사에 대해 쉽게 정리하려 합니다. 동명사는 다른 준동사인 to 부정사, 분사와 마찬가지로, 동사에서 나온 '동사출신' 이기에, 동사의 성격도 띕니다 @ 각각의 형태를 봐도 다들 동사원형이 들어감 동명사 : 동사원형 + ing, to 부정사 : to + 동사원형 현재분사 : 동사원형+ ing, 과거분사 : 동사원형+ ed ■ 준동사별 문장 내에서 하는 역할 1. 동명사 : 오직 명사 역할만 함 2. to부정사 :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 (팔방미인) 3. 분사 : 오직 형용사 역할 (현재분사, 과거분사) 먼저, 동명사의 기본개념에 대해 알아본 후, 동명사를 to 부정사 및 분사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본문 중간에 ..
영어 명사의 복수형 (s/es) 만들기 또, -s와 -es의 발음 관련 내용 포함 영어에서 제일 기본 가운데 하나인, 명사의 복수형 만드는 법 (명사 뒤에 -s나 -es 붙이는 법)에 대해 먼저 간단히 정리하고 나서, 명사 복수형 뒤에 붙는 -s나 -es의 발음과 관해서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참고사항]명사의 복수형 뿐 아니라, 동사의 경우,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며, 문장이 현재형일 때도 동사원형에 s나 -es를 붙이는데, 둘은 만드는 방식이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됩니다. @ 다시 한 번 말씀드리면 명사나 동사의 복수형 만들기는 영어공부를 하는 데 있어, 기본 가운데 정말 기본이지만, 머리 속에 제대로 정리해두지 않고, 대충 넘어가면, 앞으로 공부하는데, 걸리적거려 효과성이 떨어지게 됨~ 또한, ..
not more than, not less than 영어 공부하면서 머리에 쏙 안 들어오고, 나올 때마다, 헷갈리는 대표적인 부분 중 하나인 not more than과 not less than을 간단히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ore와 less가 반대말이 듯이 not more than과 not less than 또한 서로 반대말이 됨 ■ 먼저, 느낌의 차이를 간단히 보면, not more than은 뭔가 좀 적다는 의미이며,(more 앞에 부정어 not이 있으므로) not less than은 뭔가 좀 많다는 말이 됩니다. (less 앞에 부정어 not이 있으므로) 미리 말씀드리는 건, 이 내용은 외우려고 하는 것 보다, 이번 기회를 통해 확실히 이해를 해놓으면 오래 갑니다. 또한, 같이 헷..
no more than과 no less than 둘의 차이를 가급적 쉽게 비교 @ 먼저, 알아둘 점은? more와 less가 반대말인 것처럼, no more than과 no less than 또한 서로 반대 말이라는 점입니다~ 본문에서 둘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no more than과 no less than의 의미를 직역과 의역으로 풀어놨는데, 우리말로 정확히 알아두셔야 나중에 헷갈리지 않음 두 가지는 볼 때마다 많이 헷갈리고, 각종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데, 오늘 확실히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특히, 뉘앙스의 차이를 느끼는게 무엇보다 중요함 no more than 은 뭔가 좀 적다는 의미이며, no less than은 뭔가 좀 많다는 의미인데, 예문을 통해서 확인해보세요^^ □ no more th..
should have pp와 shouldn't have pp 둘의 비교를 통해, 뜻 쉽게 알아보기 영어공부 하면서, 문장 내에 조동사 have pp 형태가 나오면, 해석을 두루뭉실하게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이는 평소에 조동사 have p.p의 기본 개념이 잘 안 잡혀서, 그런 거라 생각되며, 오늘은 그 중에서도 제일 헷갈릴 만한 should have pp와 그 부정형인 should not have pp에 대해, 되도록 이해하기 쉽게끔, 간단히 정리하려고 함 (^^) ※ 다른 조동사 have+ 과거분사 관련글은 본문 하단 참고 또, should have pp는 평소 말할 때도 매우 많이 쓰이므로, 제대로 아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부정형도 마찬가지) 단, 기본형태 자체가 길기 ..
by the + 단위 : 뜻과 예문 정리 by the dozen, by the day, by the hour 등 평소에 영어 문장을 읽다가, 아래처럼 'by the + 단위'의 형태가 나오는 경우를, 아마도 가끔씩 보셨을 거예요 (^^) ■ 예를 들어 보면, by the hour by the dayby the week by the month by the dozen 이렇게 'by the + 단위' 는 보통 측정단위로 사용이 되며, 이 때, by the의 뜻은 each 또는 per의 의미를 가집니다. ■ 다음은 예문을 통해서 정리 나는 시간 당 지불을 받아. (난 시급으로 일해)I am paid by the hour. (= by each hour) 이 집은 월 단위로 임대가 돼. (나 월세 살..
can과 be able to 뜻과 차이는? 둘을 가급적 쉽게 비교/정리 위의 두 가지의 차이는 많은 분들이 영어 공부하면서 많이 헷갈려하는데, 한 번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 저는 학교다닐 때, 영어 선생님께 can과 be able to는 똑같아서, 둘은 언제든 바꿔쓸 수 있다고 배웠음 하지만, 나중에 영어공부를 더 많이 하면서 알게 된 건 둘은 교집합이 큰 건 맞지만, 아무때나 바꿔 쓸 수가 없다는 겁니다 (즉, 둘은 완전히 똑같지는 않기에) □ 먼저, can의 정확한 뜻을 보면.. -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음 1번. 할 수 있어 (능력) : 가장 일반적인 뜻예) 나 많이 먹을 수 있어2번. 할 줄 알어 (가능) : 1번 뜻과 엇비슷함단, 약간의 늬앙스 차이가 남예) 나 테니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