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축약형의 거~의 모든 것 영어 축약어 만드는 방법 정리 보통 일상적인 회화에서는 일반적으로 I am, You are, do not 등의 경우, I'm, You're, don't 등으로 축약하여 한 단어로 발음하는 데, 물론 아무렇게나 축약하는 건 아니고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축약하는 이유는 말도 짧아지고, 발음도 쉬워지기 때문인 데 (우리도 이런 이유에서 국어를 줄여서 많이 말함) 물론, 축약할 때는 축약했다는 표시가 필요한 데, 바로 '생략부호'인 어퍼스트로피 (')를 써 줍니다. 영어 축약어는 ① 주어+동사의 축약형과 ② 부정문의 축약형, 이렇게 두가지로 크게 구분되는 데, 오늘은 먼저, 주어+ 동사의 축약형을 먼저 알아 본 후, 부정문의 축약을 다룰 생각입니다. 부정문의 축약이 ..
전치사 in과 after 차이 알아보기 전치사 in과 after로 시간표현할 때 전치사 in과 after가 시간을 나타낼 때에 대해 비교해 보려고 하는 데, 전치사 after는 뜻이 '-후에'로 참 쉽지만, 전치사 in은 뜻을 보통 '-안에'라고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 표현에 있어서는 저 또한 그렇고 헷갈릴 때가 종종 있습니다. 두 전치사는 둘 중, 바꿔 써도 말이 되는 그런 게 아니라 대개의 경우, 둘은 쓰임이 분명 다르고 또한, 일상에서 너무나 많이 쓰이는 말이기 때문에, 확실히 알아둬야 특히, 영어로 말할 때도 자신있게 쓸 수 있답니다^^ 전치사 in에 중점을 두고 글을 쓸 건데 (after는 쉬우니까), in 뒤에 '숫자'로 된 시간이 나오면 이 때만은 '뭐뭐 안에'가 아니라..
부사 out과 up의 또 다른 뜻은? 물론, 부사 up과 out의 기본적인 의미는 up은 '위로', out은 '밖으로'가 맞긴 하지만, 둘 다 공통적으로 '완전히'란 의미로도 쓰이는 데, 이걸 알아두면 영어 공부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특히, 동사+ up 또는 동사+ out으로 이루어진 영어숙어 공부할 적에 '완전히'란 의미도 있다는 걸 알아두면,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어 암기하는 데 무척 수월해집니다. 부사 up과 out이 갖고 있는 '완전히'란 뜻은 한 마디로 하면 앞의 말을 앞의 동사를 '강조'하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완전히' 대신에 '끝까지', '계속해서'라고 나와 있는 책도 있지만 제 생각에는 '완전히'라고 알아두는 게 더 편리합니다. □ 부사 up과 out의 또 다른 뜻은..
be동사 과거형+ going to 의미는? 핵심 : 후회를 나타내는 말이 아님 be동사 (현재형)+ going to+ 동사원형의 뜻은 우리말로 '-할 거야 (미래)' 란 건 대부분 알고 있을 거라 생각되지만, be 동사 (과거형)+ going to+ 동사원형은 분명 평소에 자주 쓰이는 말임에도 정확한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 데, 오늘은 이에 대해 최대한 간단히 정리하려 합니다^^ be동사 과거형+ going to 이므로 was going to나 were going to 형태가 되며 뜻은 '뭐뭐 하려고 했어' (근데, 안 했음)이 됩니다. 중요한 건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 아니라는 점이며, 영어에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은 따로 있는 데,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는데) 를 써..
영어 문장 형식 넘~ 쉽게 정리 영어 문장을 만드는 5가지 방식 영어로 글을 쓸 때나 말을 할 때, 모든 영어 문장은 우리가 알고 있는 딱 '5가지' 문장 형태 안에서만 문장이 만들어집니다. 물론, 영어는 외국어라서 우리한테 복잡하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지만, 문장 형태면에서는 아마 우리말과 비교할 때, 단순한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학교 다닐 때, 계속해서 들어왔던 '문장의 5형식'이란 글을 쓸 때나 말을 할 때 영어 문장을 만드는 5가지 방식 (형태)을 말하며, 먼저 영어 문장 만드는 데 있어서의 특징 몇 가지를 알아본 후, 1형식부터 5형식 문장까지 기본 개념을 가급적 쉽게 정리하겠습니다. ■ 영어 문장 만드는 데 있어서 특징 1. 영어는 주어, 동사를 먼저 말한 뒤, 필요한 말은 뒤에서 보..
had to와 had to 간단 비교 부정형도 포함해 비교 정리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며 뜻은 '해야 돼'라는 걸 영어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텐데, have to의 과거 형태인 had to에 대해서는 정확한 뜻을 잘 모르거나 매번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오늘 had to에 대해 가급적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일단, had to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독해할 때 해석을 매끄럽게 하는 것 외에도 일상에서 잘 쓰이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실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특히, have to와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음 (1) have to+ 동사원형 : -해야 돼 [현재형] - 부정문 : don't have to (안 해도 돼) ■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 1. ..
전치사 on의 두 번째 핵심 의미는? 전치사 on의 뜻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데, 하나는 '접촉'이고, 다른 하나는 '진행/계속' 입니다. * 참고: 각각의 예문을 하나씩만 보면 1. A fly was on the wall. : 파리가 벽에 붙어 있었어 (접촉) 2. I'll be nice to you from now on. 나 앞으로 네게 잘할게 - from now on : 지금부터 계속 첫 번째 뜻인 '접촉'은 꼭 '-위에'란 뜻이 아니라 무언가에 들러붙어 (접촉해) 있다는 개념이며, (위건, 아래건, 벽이건 상관 없음) 누구나 전치사 on이 접촉의 뜻이 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늘은 그 보다 생소한 전치사 on의 두 번째 뜻인 진행 (-중인) 또는 계속 (쭉)을 가급적 쉽..
가목적어, 진목적어 쉽게 풀어보기 기본개념 및 쉽게 해석하는 방법 예전에 가주어, 진주어 간단 해석법에 대해 블로그에 포스팅한 적이 있는 데, 오늘은 가목적어와 진목적에 대해 기본개념과 해석방법을 예문을 통해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 가주어, 진주어 해석법은 본문 하단 참고) ■ 가목적어, 진목적어 형태의 기본개념 영어 5형식 문장에서 진목적어가 긴 경우, 진목적어를 뒤로 빼두고 (가목적어) it을 쓰는 형태인 데, 이 때, 진목적어는 it을 뒤에서 보충 (부연설명) 해주게 됩니다 진목적어가 긴 경우란 to 부정사 뒤에 목적어나 부사 등이 딸려 나와 '목적어 뭉텅이'가 길어지는 걸 말함 여기서, 영어의 특징 두 가지가 나오는 데, 하나는 앞에 나오는 말을 가급적 짧게 하려 한다는 점과 또..
go to school vs. go to the school 차이 정관사 the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 go to 뒤에 나오는 특정 장소명사 앞에 정관사 the가 붙느냐, 붙지 않느냐에 따라 ① '다니다' (본래의 목적)의 의미가 되기도 하고 또는 ② (단지) 그 곳을 '가다'의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go to school, go to church, go to bed 등이 있으며, 이 때, 장소명사 앞에 the를 붙이면 의미가 약간 달라집니다. 물론, 예외적인 상황도 있긴는 하지만,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의미를 보다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the를 잘 맞추어 써주는 게 좋습니다. ■ 장소의 '본래'의 목적으로 쓰인 경우란? - 이 떄는 정관사 the를 쓸 필요 없음 1. 학..
usually, often, sometimes 쉽게 풀이 영어 빈도부사에 대해 간단 정리 저는 어릴 적 학교다닐 때부터 또, 대학생활을 하면서 까지도 영어단어 often 하면 '종종'이라고만 배워오고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often의 뜻은 한국말 종종이 아닙니다 ('자주'의 뜻) 몇 년 전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 데, 내용을 보충하여 보다 업그레이드 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참고] 빈도부사 위치 관련글 영어 빈도부사 위치/종류 넘~ 간단 정리 빈도부사 위치/종류 넘 간단 정리 영어 빈도부사에 대해 개념 정리 빈도부사란 횟수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들을 말하며, 물론, 영어에만 빈도부사가 있는 게 아니고, 모든 언어에 다 있을 겁 ilikeen.tistory.com ■ '종종'..
가주어, 진주어 쉽게 해석하는 법은? 영어는 한국말과 말하는 방식이 다른 점이 많은데, 특히, 두 언어 간의 차이가 큰 부분 (어순 등)들이 우리말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영어와 한국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문장의 맨 처음에 주어, 동사가 나온다는 점~ ※ 반면, 우리말은 서술어가 문장의 맨 끝에 나옴 또한, 영어의 또 다른 특징은 맨 앞에 나오는 주어를 되로록 짧게 하면서, 보충이 필요한 말은 바로 뒤에서 앞의 말을 보충해가는 특징이 있음 (뒤에서 앞으로) [관련글] 아래는 예시를 들어 자세히 나와 있는 글 영어의 말하는 방식 (우리말과 비교)영어의 말하는 방식 (우리말과 비교) ■ 먼저, 영어의 말하는 방식 ① 박지성은 축구 선수야,, 최고 잘 나가는,, ..
한정사 기본개념 쉽게 풀이 영어 문법 중, 특히, 한정사는 중/고등학교 다닐 때 또, 대학에 들어가서도 헷갈리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함 마냥 복잡해 보이기만 하는 한정사이긴 하지만, 한정사의 '기본개념을' 가급적 쉽게 정리하려 함 (1) 먼저, 영어 한정사란? 구체적으로 명사의 범위를 찝어(= 한정해) 주는 말입니다 (※ 한정사는 명사 앞에 위치함) 즉, 범위를 한정해 준다고 하여, 문법 용어로 한정사가 됨 (2) 한정사의 종류를 크게 구분하면 1. 관사 : 정관사 (the), 부정관사 (a/an) 2. 소유격 : my, your, their, Tom's 등 3. 지시사 : this, that, these, those 등 4. 수량표현 : many, m..
전치사 by와 until 구별해서 쓰는 법 시간표현에 쓰이는 두 전치사 비교 둘은 독해할 때는 헷갈릴 게 별로 없지만 말을 할 땐, 두 전치사 중, 뭐를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둘을 구별하여 적절하게 쓰는 법에 대해 정리 ■ 먼저, 우리말 뜻부터 보면.. - 둘의 뜻을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함 1. by + 시간 : -까지는 (전치사로만 쓰임)2. until + 시간 : -까지 (전치사 또는 접속사) - 특징 : '계속'의 의미를 나타냄 ■ '까지는' vs. '까지' 둘은 같은 말일까? 영어는 둘을 분명히 구분해서 쓰는데, 우리는 평소에 '까지는'을 쓸 자리인데도 '까지'를 쓸 때가 많음~※ 단, '까지'를 쓸 자리에 '까지는' 을 쓰지는 않음 즉, 우리는 대개 두 단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