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청약저축 (청약통장) 소득공제 공제요건, 한도 및 유의사항 정리 [2023년 1월 연말정산 반영 내용] 주택마련 저축은 직장인들이 내 집 마련을 위해 가입하는 필수적인 상품이며 (적금 형태이고, 청약 기능을 함), 또 일정 요건을 만족하면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원래 주택마련 저축은 주택 보유나 세대주 여부 등과 관계 없이, 누구나 가입은 가능하지만,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은 무주택 세대주인 직장인만 가능합니다. (부양가족이 없는 무주택 단독 세대주 포함) 단, 총 급여액 7천만원 이하 직장인만 받을 수 있는 항목이며, 지난 한 해 동안 납입한 금액에 대해, 정해진 한도 내에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다른 공제 항목들보다 혜택이 꽤 큼) ▶ 참고 : 주택마련 저축이란? 주택마..
월세 세액공제, 주택청약 소득공제 연말정산 공제항목 중, '주택 (주거)' 관련 항목은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오늘은 '월세 세액공제'와 '주택마련 저축 소득공제'에 대해 다루고, '전세자금 대출'과 '주택담보 대출'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는 글 맨 하단 관련글을 참고 바랍니다. 주택마련 저축이란 '청약저축'과 '주택청약 종합저축'을 통틀어 말하며, 둘 다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은 같고, 단 현재는 주택청약 종합저축 상품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 올해 내용으로 다시 작성한 글 [2023년 1월 연말정산시 적용] 1. 청약저축 소득공제 자세히 정리 주택 청약저축 소득공제 요건, 한도, 유의사항은? 주택 청약저축 (청약통장) 소득공제 공제요건, 한도 및 유의사항 정리 주택마련 저축은 직장인들이 내 집 마련을..
연말정산 주택 관련 공제 쉽게 풀이 주택자금, 주택청약 소득공제, 월세 세액공제 연말정산의 다양한 공제항목 중, 오늘은 '주택'과 관련된 공제항목들만 한 데 모아 총정리하려 합니다. 연말정산에서 주택과 관련된 항목으로는 총 네 가지가 있는 데, ①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공제 ② 주택담보 대출에 대한 공제 ③ 주택마련 저축 (주택청약 저축) 공제 ④ 월세 세액공제가 있음 주택에 대한 항목들은 정부에서 근로자가 주택 마련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에 대해 '일정 조건' 만족 시, 연말에 공제 혜택을 주는 건 데 위의 4가지 항목 중, 월세공제만 세액공제 항목이며, 나머지는 전부 소득공제 항목에 해당 □ 올해 개정된 내용으로 다시 작성 [2023년 1월 연말정산 적용 내용] 1. 월세 공제를 받기 위한 요건 (유의..
연말정산 주택 관련 공제 쉽게 정리 월세 세액공제, 주택청약&주택자금 소득공제 연말정산의 다양한 항목 중, 주택과 관련된 공제항목들만 전부 모아 정리하려는 데, 주택관련 항목으로는 전세자금이나 주택 담보로 해서 빌린 자금에 대한 공제와 주택마련 저축공제, 월세공제가 있습니다 일반 서민들의 생활비에서 주거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떄문에 연말정산에서 특히, 주택과 관련된 공제항목들이 많은 것 같음 주택 관련 네 가지 항목 중, 월세 공제만 세액공제 항목이며, 나머지는 모두 소득공제 항목입니다. (즉, 공제방식에서 차이 남) 소득공제란 공제받은 금액만큼 과세표준 (세금을 매기는 기준)을 줄여주어, 내야 할 세금이 줄어들며, 세액공제란 공제받은 금액을 내야 할 세금에서 직접적으로 차감해주는 방식 ■ 올해 개정 ..
국세청 연말정산 간단히 정리 주택청약, 소장펀드, 재형저축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주택청약과 소장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 후,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이 있는 건 아니지만, 절세상품 중 하나인 '재형저축' (예금/펀드)과 관련해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 주택청약, 소장펀드, 재형저축의 특징 1. 공통적으로 의무 가입기간이 있다는 점 - 주택청약, 소장펀드: 5년, 재형저축 : 7년 2. 의무 가입기간을 못 채우면 추징금을 내 함 - 즉, 그 동안 받은 혜택을 돌려줘야 함 3. 각 금융상품별 가입 가능한 자격조건이 각기 다름 4. 주택청약과 소장펀드는 소득공제 혜택이 있음 - 반면, 재형펀드는 세제 혜택이 있음 (비과세) 연말정산 금융상품 소득공제 (소장 펀드, 주택청약 상품) (1)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