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청약저축 (청약통장) 소득공제 공제요건, 한도 및 유의사항 정리 [2023년 1월 연말정산 반영 내용] 주택마련 저축은 직장인들이 내 집 마련을 위해 가입하는 필수적인 상품이며 (적금 형태이고, 청약 기능을 함), 또 일정 요건을 만족하면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원래 주택마련 저축은 주택 보유나 세대주 여부 등과 관계 없이, 누구나 가입은 가능하지만,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은 무주택 세대주인 직장인만 가능합니다. (부양가족이 없는 무주택 단독 세대주 포함) 단, 총 급여액 7천만원 이하 직장인만 받을 수 있는 항목이며, 지난 한 해 동안 납입한 금액에 대해, 정해진 한도 내에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다른 공제 항목들보다 혜택이 꽤 큼) ▶ 참고 : 주택마련 저축이란? 주택마..
연말정산 청약저축, 월세공제 정리 공제요건, 공제방식, 유의할 점 등 연말정산 공제항목 중, 주택 관련된 항목들은 크게 네 가지가 있으며, 오늘은 월세 세액공제와 청약저축 소득공제에 대해, 자세히 다루려고 합니다. 나머지 두 항목인 주택 담보대출 상환액과 전세자금대출 상환액 공제 관련 내용은 맨 하단 참고 주택 공제 항목들은 직장인의 주택 마련을 돕고, 주거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항목들로, 각 항목별 정해진 요건을 만족하면, 연말에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무주택 직장인들의 최대 고민은 주택마련이 될 것 같음) 단, 주택 관련 공제항목들은 항목의 취지상, 공제받을 수 있는 '자격요건'에 여러가지 제한을 두고 있어서, 좀 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음 ▶ 올해 내용으로 다시 작성한 글 [202..
연말정산 때, 혜택 있는 금융상품 정리 소득공제 장기펀드, 주택청약 종합저축 오늘은 연말정산 금융상품 제 1편으로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인 주택청약과 소장펀드에 대해 꼼꼼히 알아보려 합니다. (전부 소득공제 항목) 다음번 금융상품 제 2편에서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 보험료 등의 공제 항목에 대해 정리하려고 함 (전부 세액공제 항목) [참고로 알아두기] '소득공제'는 실제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을 줄여주는 방식으로 혜택을 주며, '세액공제'는 연말정산 계산 시, 마지막 단계에서 세액공제 받는 금액을 직접 빼줍니다. 둘 중, 어떤 방식이 유리한 지는 개인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고소득 근로자의 경우, 소득공제를 많이 받는 것이, 더 유리함 (소득세는 누진세율이라) ■ 올해 개정된 내용으로..
연말정산 주택관련 공제항목 상세정리 주택자금, 청약저축 소득공제 등 (제출서류 포함) 오늘은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중, '주택자금 공제' (주택담보대출 상환액 공제, 전세자금 대출 상환액 공제, 월세 공제)와 '주택 마련저축' (청약저축) 소득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 이야기 순서 1. 특별공제 (주택자금)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등 └월세액 소득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2. 그 밖의 소득공제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 청약저축 - 주택청약종합저축 - 근로자주택마련저축 └목돈 안드는 전세 이자상환액 공제 3. 세액공제 : └주택차입금 이자상환액 세액공제 ▶ 개정된 내용을 반영해 작성한 글입니다 [2023년 1월 연말정산시 적용되는 내용] 1. 주택자금대출 공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