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d to 관련 3가지 표현 비교/정리
used to 동사원형, be used to 명사 등
동사 use의 뜻부터 보면 '사용하다' 또는 '이용하다'가 되며, 동사 use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둘 다 used인 데, used to가 포함된 영어표현이 무려 3가지나 있어서, 제대로 한 번 정리해 두지 않으면 진짜 나올 때 마다 누구나 헷갈릴 수 밖에 없습니다.
헷갈릴 수 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는 3가지 형태 중, 하나는 동사 use의 뜻을 살려 해석하면 되는 데, 나머지 두 형태는 use를 '사용하다' 라고만 알고 있으면 해석이 안 나옵니다. 만약, 폭 넓게 (?) 유추하면 가능할 수도 있긴 함
본문에서는 볼 때마다 헷갈리는 used to가 들어간 총 3가지 형태에 대해 최대한 쉽게 정리하려고 하며 참고로, used to의 연음된 발음은 발음의 편의상 [유스투]가 됩니다.
■ 일단, used to 관련 3가지를 간단히만 보면
- 무엇보다 각각의 '형태'를 주의해서 봐야 함
1. be used to + 동사원형 형태
- 동사 use의 수동태로 해석하면 되어 가장 쉬움
- 동사 use의 기본 뜻을 그대로 살리면 됨
2. used to + 동사원형 형태
- 뜻이 '-하곤 했어' 라고만 확실하게 알아두면 됩니다
- 이 때, used는 과거형 동사라서 '과거시제로'만 쓰임
- 현재는 그렇지 않음을, 굳이 말하려 할 때 쓰는 표현
3. be used to 명사나 동명사 (ing) 형태
- 뜻 : '-에 익숙해' 또는 '-하는 데 익숙해'
- 좀 생뚱맞은 (?) 뜻이 나오니 주의
[참고] 위에서 3번 형태의 경우, 동명사도 어차피 문장 내에서 '명사역할'을 하므로, be used to+ 명사나 동명사 보다는 그냥 be used to+ 명사라고 알아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또한, get used to와 비교하며 공부하면 효과적인 데,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함
used to가 포함된 표현 총정리
(1) 먼저, be used to+ 동사원형 형태
- 특징 : 동사 use의 뜻을 그대로 살려 해석하면 됨
- 뜻은 '-하는 데 사용되다' 또는 '-하는 데 쓰여지다'
-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는 동사 use의 수동태 형태
■ be used to do 예문 보기
1. This is used to make bread. : 이건 빵을 만드는 데 쓰여져
2. The money will be used to help the poor. : 그 돈은 가난한 사람을 돕는 데 쓰여질 거야
3. What is this used to do? : 이건 뭐 하는 데 사용되는 거야?
(2) 다음은 used to + 동사원형 형태
- 뜻만 '-하곤 했어' 라고 제대로 알아두면 됩니다.
- 유일하게 be 동사와 함께 쓰이지 않은 형태임
이 때, used는 use의 과거형이라서, used to do 형태는 다른 두 형태와 달리 오로지 '과거시제'로만 쓰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말 뜻인 '-하곤 했어'에서 느낄 수 있듯이 과거에는 그랬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걸 '굳이' 강조해서 말하고 싶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과거시제와는 차이 남)
■ 일반 과거시제와의 차이 보기
1. I was good at English before. 나 예전에 영어 잘했어.
- 단순히 대학 때 (과거에) 영어 잘 했다는 말이 됨
- 현재 잘하는 지, 못하는 지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2. I used to be good at English before : 나 예전엔 영어 잘하곤 했어
- 현재는 아니란 걸 '굳이' 말하려 할 때, 이런 식으로 말함
[참고] 문법책에서는 used to를 조동사로 분류하기도 하는 데, 제 생각에는 일반동사로 보는 것이 이해하기 수월하고, 일상회화에서 말할 적에도 말이 빨리 나옵니다
■ 다음은 used to do 예문 보기
언제나 과거형인 used to do의 기본 뜻은 '하곤 했어'이지만, used to 뒤에 일반동사가 아닌 be동사가 나올 때는 '있곤 했어'라고 해도 말이 됩니다.
1. I used to be popular in high school. : 난 고등학교 때 인기가 있곤 했어
- 단,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말
2. I didn't use to listen to my mom. : 나는 우리 엄마 말을 잘 안 듣곤 했어
- 단,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말
- used to의 부정형인 데, 일반동사이기에 조동사 did를 사용
3. My sister often used to pick on me. : 우리 언니는 날 자주 괴롭히곤 했어
-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말 (※ pick on : 괴롭히다, 못살게 굴다)
(3) 끝으로 be used to+ 명사나 동명사 (ing)
뜻은 정확히 구분해 보면, be used to 뒤에 '명사'가 나오면, '-에 익숙해'란 뜻이 되며, 뒤에 '동명사'가 오면 동사의 느낌을 살려 '-하는 데 익숙해' 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유의어로는 be accustomed to 명사 (동명사)가 있으며, 참고로 '습관이 됐어'도 충분히 말이 됩니다. 또, 뒤에 나오는 -ing가 현재분사가 아니고 동명사임에 주의하기
■ be used to do 명사나 -ing 예문
1. I'm used to getting up early. : 난 일찍 일어나는 데 익숙해
2. I'm used to keeping a diary every day. : 매일 일기 쓰는 데, 익숙해
3. I'm used to your complaints. : 나는 네 불평에 익숙해
[참고] get used to do와 비교
be동사는 특성상 '상태'를 나타내며, 동사 get은 특성상 '움직임'을 나타내므로 이 때, be동사 자리에 get을 쓰게 되면 지금 막 그렇게 됐다는 의미가 됩니다.
뜻은 이런 느낌을 살려 '-에 익숙해졌어' 또는 '-하는 데 익숙해졌어'로 알아두면 되며, 일반적으로는 be used to do를 쓰면 되지만, 지금 막 그렇게 됐다는 걸 '굳이' 말해주고 싶을 때, get used to do를 쓰면 됩니다. 단, 막 그렇게 된 거니까 현재형인 get 보다는 과거형인 got이 더 어울림 (예문 : I got used to getting alone. - 난 혼자인 게 (막) 익숙해졌어)
마무리하며, 3가지 표현을 정리하면
1. used to + 동사원형
- 뜻만 확실히 알고 있으면 됩니다 ('-하곤 했어')
- 특징 : 오직 과거시제로만 쓰인다는 점
- 지금은 그렇지 않음을 굳이 강조할 때 쓰는 말
2. be used to + 동사원형
- 동사 use의 뜻을 그대로 살려 수동태로 해석
- 뜻 : '-하는 데 사용되다', '-하는 데 쓰여지다'
3. be used to 명사나 동명사
- 뜻 : '-에 익숙해' 또는 '-하는 데 익숙해'
- 특히, get used to와 함께 알아두면 좋음
[참고] 중요한 동사 Get 관련
@ 관련글 정리
-
-
jake 2018.04.04 18:56
설명하신대로라면 예로 든 아래 문장은 잘못된거 아닌가요?
I didn’t use to listen to my mom.
~하곤했다로 해석하면 긍정문은
I used to listen to my mom. 일테고
(used to = 조동사, listen = 본동사)
부정문은 I used not to listen to my mom. 이 되어야 맞지않나요?
-
-
-
-
-
CLARA 2019.02.08 06:11
오늘 수업에서 배웠는데요 Canadian 선생님이 어떤 학생이 I was used to swimming 이라고 하니까 이 문장도 맞다도 하네요. Be used to ing 또는 noun 은 항상 현재형만 쓰는 줄 알았는데 아닌가봐요. 그리고 used to 동사원형의 부정문은 didn't use to 이고 부정의문문은 Didn't you use to -? 이며 의문문은 Did you use to ? 에요. 원어민들도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 used 와 use 중에 어느것을 써야 할지 헷갈려하고 연달아 발음할 때는 크게 차이나게 들리지 않기 때문에 너무 신경쓰지 말고 막 쓰고 시도해봐라 그러셨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