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분사 넘~ 쉽게 정리 종류 : 현재분사, 과거분사 오늘 다룰 내용은 영어 준동사 중, 하나인 '분사'에 대한 내용인 데, 분사는 to 부정사와 동명사 함께 '문법용어'로 준동사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공통적으로 '동사원형'을 기본으로 해서 각각의 '형태'를 만들며, 물론 문장 내 동사로 쓰일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동사의 성질 (서술어 기능)도 어느 정도 갖고 있습니다. @ 따라서, 동사에 준한다는 의미에서 준동사라고 함 참고로, '분사'는 문장 내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며,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하고, to 부정사는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역할을 합니다. (to부정사만 다양한 역할) 본격적으로 영어 분사에 대해 정리해 보면, 일단 분사는 현재분사과 과거분사 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동사와 명사에 -s/-es 붙이는 법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 (영문법) 영어에서 '명사'의 복수형을 만들 때, 명사 뒤에 -s나 -es를 붙이고, 또 '동사'의 경우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며+ 문장이 현재시제일 때에 한해 동사원형에 -s나 -es를 붙입니다. 두 경우 모두 원래 기본규칙은 명사나 동사 뒤에 '-s'를 붙이는 게 맞지만, -es를 붙이는 때는 발음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됨 명사나 동사에 -s나 -es를 붙이는 규칙은 딱 한 가지 외에는 전부 같으며, 규칙으로 설명이 안 되는 단어들 (불규칙)도 분문에서 같이 정리하겠습니다. (다행히 몇 가지 없음) 명사의 복수형이나 주어가 '3인칭 단수'+ 문장이 현재형일 때에 한해 동사에 s 또는 es를 붙이는 건 기본적인 내용이나, 제..
현재분사와 동명사 형태 만들기 동사 뒤에 ing 붙이는 법 (영문법) 영어 동명사와 현재분사의 형태는 같은 데, 둘 다 동사 뒤에 -ing가 붙는 형태입니다. 만약 동사 뒤에 ing 붙이는 규칙이 달랐으면 많이 헷갈렸을 텐데, 다행히도 똑같음^^ 물론, 둘은 형태는 같지만, 문장 내에서 역할은 완전히 다릅니다. 동명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 역할 (즉, 주어나 목적어나 보어 역할)을 하는 반면, 현재분사는 문장 내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 즉, 명사를 수식하거나 be동사 뒤에 쓰여 보어 역할 참고 : 영어 분사는 2가지 앞서 말씀드린 동명사와 형태와 같은 현재분사 (-ING)가 있고, 보통 동사 뒤에 -ed가 붙는 형태인 과거분사가 있습니다. 참고 : 동사의 과거형 또한 뒤에 -ed가 ..
영어 동명사와 현재분사 차이는? 동명사, 현재분사 구분하는 방법 영어에서 동명사와 현재분사를 구분하는 방법은 많이 헷갈려 보일 수는 있지만, 실제는 생각보다 간단해서 한번만 확실히 알아두면 됩니다. 동명사와 현재분사는 형태가 (동사원형+ ing) 같기 때문에 헷갈리는 건 데, 물론 둘을 구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문장을 만들 수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학교 시험에 자주 출제되기도 하고, 영어 공부를 하다보면 둘을 구분해서 보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도 분명 있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유용하기는 함 먼저, 동명사와 현재분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 후, 둘을 쉽게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동명사, 현재분사 구분하는 방법 (1) 동명사와 현재분사..
전치사 at 기본개념 쉽게 풀이 장소,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전치사 at은 보통 '장소'나 '시간' 앞에 쓰이는 전치사로 '~에' 또는 '~에서'의 의미를 지니지만, 전치사 at의 기본개념을 한 번 제대로 알아둘 경우, 영어 전반에 걸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영어 독해를 할 때 뿐 아니라, 영어로 말을 할때도 뭔가 (?) 알고 쓸 수 있으며, 기본개념을 통해 전치사 at이 가지는 의미가 보다 더 잘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전치사 at의 '기본개념'을 한 마디로 하면, 뒤에 나오는 대상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옴)에 대해 분명하게 콕 콕 집어주는 (딱 정해주는 느낌) 역할을 합니다. 예전에 블로그에 전치사 at에 대해 한 번 다룬 적이 있지만,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다시 한 번 정리..
영어 비교급 만드는 법 정리 비교급 강조 관련 내용 포함 영어 비교급은 말 그대로 둘을 '비교'할 때 쓰는 표현이며, 형용사나 부사를 가지고 비교급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비교급을 만드는 법은 크게 둘로 구분되는 데, 하나는 형용사나 부사 뒤에 -er을 붙이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형용사나 부사 앞에 more를 써주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tall의 비교급 형태는 taller이며, interesting의 비교급 형태는 more interesting인 데, 이 때 tall 뒤에 붙은 -er과 interesting 앞에 붙은 more는 둘 다 우리말로 '더'라는 뜻으로 알아두면 쉬움 따라서, taller는 '더' 키가 큰'이 되며, more interesting은 '더' 흥미로운' tall은 1음절..
영어 한정사 all, both 정리 다른 한정사와 차이나는 점 영어문법 내용 중, '한정사' 파트는 볼 때마다 웬지 복잡하며, 머리속에 명확하게 정리가 안 되는 분들이 꽤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한정사는 종류도 다양하고, 다른 문법파트에 비해 딱 딱 떨어지는 느낌 (?)이 없어서,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단, 한정사를 공부할 때 문법적으로 디테일한 내용까지 파고 들어 가면 영어가 힘들어지며, 우리는 한정사의 기본개념만 제대로 알아두어도 영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아마 외국인도 우리나라 말을 배울 때 문법적으로 디테일하게 파고 들지는 않을 겁니다? 먼저, 한정사의 간단한 개념을 다룬 후, 다른 한정사와 쓰임이 다른 한정사 all과 both에 대해 정리하려..
헷갈리는 forget, remember 간단 정리 목적어로 to do와 -ing 올 때 차이는? 영어 준동사 중, to부정사와 동명사는 둘 다 '명사' 역할을 할 수 있어서 문장 내에서 주어나 목적어, 보어로 쓰일 수가 있습니다. [먼저, 알아둘 내용] 정확히 말하면 to부정사는 문장 내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할 수 있고, 동명사는 오직 명사 역할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둘 다 명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이 점이 겹치게 됨 (오늘의 핵심적인 부분)[참고]또 다른 준동사인 '분사'는 문장 내에서 오직 '형용사'역할만 하면,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구분이 됩니다. 동사 forget과 remember는 우리가 to 부정사와 동명사를 공부할 때, 많이 헷갈리는 데, 그 이유는 뒤에 '..
영어 부정의문문 간단 정리 Yes, No 대답하는 방법은? 일단, 부정 형태로 물어보는 말은 영어나 우리말이나 마찬가지로 내가 맞게 대답하고 있는 건지 좀 애매한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내가 말을 해 놓고도 과연 상대방이 내 말을 맞게 알아들었는 지 궁금하기도 한 데, 이런 경우 상대방의 표정이나 제스쳐를 보고 의미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 부정의문문에서 특히 헷갈리는 부분 부정 의문문으로 물어봐도 Yes, No 없이 '문장 형태'로 답을 할 때는 괜찮은 데, Yes (예)나 No (아니오)로 답할 때는 영어나 우리말이나 똑같이 헷갈립니다. YES, NO 대답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상대방의 오해의 소지가 있음 따라서, 부정의문문의 대답은 Yes나 No 대답하는 법만 잘 정리해 두면 됩니다. 지금부터는 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해석방법은? 영어관계사 보다 쉽게 해석하는 방법 영어에서 관계사는 두 종류로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가 있는 데, 영어로 말을 할 때는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를 써서 문장을 만드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수 있지만, 다만, 영어독해 중에 관계사를 해석하는 건 생각보다 매우 간단합니다. [참고사항] '관계사'란 문법용어가 많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데, 이 때, 관계란 말은 '접속사'를 뜻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고 따라서, 문장 내에서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대명사' 역할을 하며, 관계부사는 '접속사+ 부사' 역할을 한다고 알아두면 됩니다.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문장 내에서 공통된 역할을 하는 데, 둘 다 앞의 문장에 의미를 더해주는 (즉 말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a few, few와 a little과 little 관계 단지, 보는 관점의 차이다 (?)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a few와 a little이 나오고 또, few와 little이 나오는 데, 우리말로 하면 뜻 ('조금', '약간')은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실제 느낌 (늬앙스)의 차이는 크게 납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걸로 적절하게 골라서 써야 함 한 쪽은 긍정적인 관점에서 쓰는 말이며, 다른 한 쪽은 부정적인 관점에서 쓰는 말이라서, 단지 뜻이 비슷하다고 해서 아무거나 골라 쓰면 느낌이 잘못 전달될 수 있습니다. 모든 언어가 다 그러하겠지만 물론, 말은 뜻도 중요하지만, 숨은 의미가 더 중요한 데, 다행히도 위의 네 가지를 구분하는 건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습니다 ▣ 먼저, 비슷한 성격을 가..
비인칭주어 it은 어느 때 쓸까? 기본개념 및 예문을 통해 쉽게 정리 영어에서 It은 대부분 '그것'이라고 해석하면 되는 데 (이 때의 it은 대명사입니다) 다만, 영어 문장을 보다 보면 보통 때처럼 '그것'이라고 해석할 경우, 문장이 어색한 경우가 생길 때가 있습니다. 이 때의 it을 문볍용어로 하면 '비인칭주어 it'이라고 하는 데, 위에서 말한 대명사 it과 구별해서 알아두면 됩니다. 둘의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대명사 it은 '그것'이라는 분명한 뜻이 있지만, 비인칭 주어 it은 별 다른 뜻은 없으며, 단지 문장에서 '주어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인칭주어 it은 말 그대로 '주어'로만 쓰인다는 점 알아두기 ■ 비인칭주어 it은 어느 때 쓸까? 물론, 아무때나 쓰는 건 절대 아니고, ..
영어 과거와, 현재완료 (have pp) 비교 두 시제의 느낌의 차이 쉽게 알아보기..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과거형'과 '현재완료'간의 차이가 분명히 와 닿지 않아, 어느 때 뭘 써야 적절한 건 지 헷갈릴 때가 분명 생길 때가 있는데, 오늘은 두 시제의 기본개념과 느낌 (늬앙스)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가급적이면 쉽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먼저, 둘의 공통점은 둘 다 '과거'에 일어난 일이라는 점이며, 주의할 건 '현재완료'라고 해서 현재에 일어난 일이 아니라는 점 두 시제의 차이점은 일단 형태가 다르다는 건데, 과거형은 동사의 과거형 (즉, be동사나 일반동사의 과거형)을 쓰면 되며, 현재완료의 경우, 동사 자리에 have+ pp (pp : 과거분사) 형태를 써 줍니다. (이 때의 have는 조동..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