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타다와 get on 타다 차이 두 표현은 구별하여 써줘야 함 동사 take와 get on은 둘 다 (교통수단 등을) '타다'란 뜻을 갖고 있지만, 그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구별하여 써줘야 합니다. 일단, take 타다가 '(타는) 상태'를 나타낸다면, 'get on' 타다는 '(타는) 동작'을 나타냄 무엇보다 핵심은 take (타다, 타고 가다)는 교통수단을 이용한다란 개념이며, get on (타다)는 단지 교통수단에 올라타는 걸 의미합니다. ■ 참고로 알아둘 내용 동사 get의 의미 중에는 '동작 (움직임)'이란 뜻이 있고, on은 '-위에/ 접촉'이란 뜻이므로, 합치면 움직여 위로 올라타다가 되며,반대말인 get off는 get (동작)과 off (분리, 떨어진)가 결합해..
take는 이렇게 알아두면 영어가 쉬워짐 많이 쓰이는 뜻 6가지로 나누어 정리 동사 take는 영어사전을 찾아보면, 뜻이 너무 많이 나열되어 있어, 다 공부하기도 어렵고, 또 다 공부한다고 해도, 오히려 더 헷갈릴 수 있습니다. 또, take는 정말 많이 쓰이는 동사이므로, 분명 제대로 알아둘 필요는 느끼는 데, 영어 공부를 오래해도, 동사 take에 대해, 감을 잡기가 쉽지 않음 오늘은 take의 주로 많이 쓰이는 뜻을 6가지로 나누어 정리할 건 데, 이 정도만 알아두면, 나머지 뜻은 충분히 응용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즉, 충분함) 단, 본문에서 정리하는 6가지 뜻은 정말 제대로 알아두기!! [참고사항]동사 get 역시, take와 마찬가지로 정말 많이 쓰이나, 감을 잡기 쉽지 않은 동사인 데, ..
약속은 영어로 크게 3가지로 구분 우리말 '약속'을 영어로 하면,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promise와 appointment 차이부터 알아두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우리가 '약속'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promise일 것 같은 데, promise만 알고 있다면, 약속이란 말을 상황에 따라, 제대로 표현할 수가 없음 ▶ 먼저, 두 단어의 개념을 정리 (1) promise : 약속 또는 약속하다 - [핵심] 새끼 손가락 걸고 하는 약속을 떠올리면 쉬움! - 즉, 뭔가를 다짐하는 약속 - 주의 : 단한히 '(시간) 약속'에는 promise를 쓰지 않음 @ 참고로 알아두기약속하다라고 할 때는 promise나 make a promise를 쓸 수 있고, '약속을 지키다'는 k..
영단어 tall, big, short, small 관계 단어들의 의미 차이를 잘 알아두기 영어공부를 하다보면, 크다, 작다를 나타내는 tall, big, short, small의 관계가 헷갈릴 때가 있는 데, 간단히 말하면 tall의 반대말은 short이고, big의 반대말은 small입니다. 단, short의 경우, '짧은'이란 의미일 때는 long이 반대말 모두 정말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며, 네 단어의 관계를 잘 알아둔다면, 무엇보다 영어로 말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 참고 : 둘 다 크다란 뜻인 big과 large의 차이를 정리한 글은 맨 하단 참고 □ 먼저, 단어들의 뜻부터 정리 (1) tall : (사람이) 키가 큰, (사물이) 높은 [알아둘 내용]보통, 사물의 높이를 말할 ..
형용사 big, large 차이 간단 정리 두 단어는 쓰임에서 차이가 남~ 우리말 '큰'이라는 뜻은 영어로는 대표적으로 big과 large가 있으며, 참고로 big의 반대말은 small이란 것도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일단, lagre가 big보다 격식적인 단어이며, 따라서 일상회화에서는 big을 많이 쓰고, large는 대부분 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단, 두 단어 모두 분명 '크다'는 말인 건 맞지만, 단어의 쓰임에서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문장에 따라,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바꿔 쓰게 되면, 말이 어색해지는 경우도 있음 일상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단어이니 만큼, 잘 구별해서 알아두면 좋습니다. ▶ 참고로 알아두기big과 large는 주로 형용사로 쓰이며, '큰'..
allow와 permit 차이 간단 정리 허가하다, 허락하다 영어로? 단어 permit과 allow는 둘 다 '허락하다', '허가하다'란 뜻을 지니기 때문에, 서로 바꿔 써도 말이 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둘은 느낌의 차이가 있음) 동사 allow는 보통 일상적인 허락 (허가)을 말할 때 쓰이며, permit은 특히 법, 규칙 등에 의한 공적인 허락 (허가)를 나타낼 때 주로 쓰이는 말 따라서, permit은 allow보다 격식을 갖춘 표현이라 할 수 있고 (중요), 일상대화에서는 allow를 쓸 일이 훨씬 더 많습니다. 두 단어 모두 사전을 찾아보면, '허락하다'와 '허가하다'란 뜻이 있지만, permit은 우리말 '허가하다'에 좀 더 가깝고, allow는 '허락하다'에 좀 더 가깝다고 볼..
update와 upgrade 차이는?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비교 영어 단어 update (업데이트)와 upgrade(업그레이드)는 우리한테 정말 익숙한 용어로, 일상생활에서 우리말처럼 자주 쓰이는 말입니다. 특히, 컴퓨터나 기계, 전자제품 등과 관련해 많이 쓰임 우리는 평소에 두 단어를 혼용해 쓸 때가 많은 데, 둘은 의미가 비슷한 부분이 있는 건 맞지만, 실제 의미 차이가 꽤 있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 (update)와 업그레이드 (upgrade)는 같은 의미가 아니므로, 두 단어를 잘 구별해서 알아두기 ■ 먼저, 간단한 예를 들면 윈도우 (Windows)의 경우, 제품 출시 후,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거나 또는 보안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할 때마다, 최신 내용 (최신 버전..
It depends on 관련 표현 쉽게 정리 It depend on 표현 제대로 활용하기 동사 depend는 의존하다, 의지하다, 믿다, 신뢰하다란 뜻 외에도, '-에 달려 있다', '-에 좌우되다'란 뜻도 있습니다. depend의 가장 기본 뜻인 '-에 의존하다'에서 나머지 뜻들이 파생되어 나온 걸로 보면 될 것 같음 무슨 뜻으로 쓰이든 지, 공통적으로 depnd는 전치사 on과 잘 어울려 쓰입니다. (depend는 자동사) ■ 참고로 알아두기 전치사 on과 잘 어울려 쓰이는 이유는 전치사 on의 기본개념은 '접촉하여', '딱 들러 붙어'란 의미를 지녀, 'depend on A'라는 표현은, A에 (딱 들러 붙어) 의존하다, A에 (딱 들어 붙어) 신뢰하다, A에 달려 있다 (→ A에 딱 들러붙어..
accident와 incident 차이는? 우리말 사건, 사고는 영어로? 영어 단어 accident와 incident는 사전을 찾아 보면, 둘 다 '사건', '사고'라는 뜻이 있지만 (* 모양부터 많이 비슷함), 두 단어는는 쓰임에서 차이가 큽니다. 둘을 구분하는 간단한 법은 accident는 우리말 '사고'가 더 잘 어울리며, incident의 경우, 우리말 '사건'이 더 잘 어울린다는 점 ※ 사고와 사건은 언뜻 보면 비슷해 보이기도 하지만, 곰곰이 생각하면, 결코 같지 않음 두 단어는 사고나 사건을 뜻한다는 점에서 보통은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이지만, incident는 항상 그런 건 아니라는 점도 알아두기 accident는 미리 계획되거나 의도된 게 아닌, '우연히', '우발적으로' 발생한..
전치사 until과 by 느낌의 차이 뒤에 '시간' 관련 단어가 올 때 전시사 by와 until 모두 '-까지'라고 해석이 되지만, 두 전치사는 쓰이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잘 구분해서 알아두어야 합니다. 또한, 우리는 보통 '-까지'라는 표현을 할 때, 일단 until을 먼저 떠올리는 경향이 있지만, 이 때 우리말 '-까지'의 숨은 의미를 잘 파악한 후, until과 by 중에서 적절한 걸로 써주면 됨 두 전치사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바꿔 쓰게 되면, 말이 뭔가 좀 부족해 보일 수 있음 (단, 뜻이 비슷할 경우도 있긴 함) 다시 정리하면, 영어는 until과 by를 상황에 따라 구별해 쓰는 반면, 우리는 두 전치사 모두 '-까지'라고 해도, 충분히 알아듣기 때문에, 영어 공부할 때, 이 ..
practice, exercise, drill 비교 '연습하다', '연습'은 영어로? 우리말 연습하다, 훈련하다를 영어로 하면, 크게 practice, exercise, drill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부 유의어 관계이며, 일단 위의 단어들을 우리말로 하면, ① practice는 '연습'이란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단어이며, ② exercise는 연습과 훈련의 중간 쯤이고 (단, '운동'의 뜻으로도 많이 쓰임), ③ drill은 이 중, '훈련'이란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단어입니다. (맹훈련) 우리말 '연습'과 '훈련'은 비슷한 말이기는 하지만, 둘은 느낌의 차이가 있습니다. 연습과 비교해, '훈련'은 좀 더 체계적이고, 빡쎈것 같은 느낌이 듬 단, '연습'과 '훈련'은 모두 규칙적, ..
동사 close와 shut 차이 우리말 '닫다'는 영어로? 동사 close와 shut은 유의어로 둘 다 '(문 등을) 닫다 [닫히다]', '(눈을) 감다', '(상점 등이) 문을 닫다' 등의 뜻을 지닙니다. (공통적으로 전부 '닫다'라는 말) 참고 : (문 등을) 닫다란 '타동사'의 뜻도 있고, '닫히다'란 자동사의 뜻도 있음 ▶ 둘의 가장 큰 차이라면? 동사 close는 '(뭔가를) 닫다 [닫히다]'라고 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말이며 (* '닫다'라고 하면, close를 가장 먼저 떠올리면 됨), 동사 shut의 경우, 역시 뜻이 닫다 [닫히다]가 맞지만, 동작이 빠르고, 갑자기 닫는 [닫히는] 느낌이 듭니다. 단, shut이 항상 이런 느낌으로 쓰이는 건 아니고, close와 별 차이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