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와 job 차이 알아보기 직업/일 영어로? 쉽게 정리 영어로 '일', '직업'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work나 job이 떠오르는 데, 오늘은 두 단어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물론, 둘은 공통된 부분도 있음) job은 주로 '일자리', '직업'이란 뜻으로 쓰이며, work는 보통 '일', '직장'이란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work의 경우, 온갖 종류의 일을 나타낼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단어입니다. [참고사항]다만, job의 경우도 특정한 '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 두 단어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헷갈릴 수 있어, 그냥 참고로만 알아두기 □ 두 단어의 뜻을 자세히 보면 [먼저, 알아둘 점]job은 '셀 수 있는 명사'로 앞에 관사가 붙거나, 복수형을 쓸 수 있고..
trip, travel, tour, journey 간단 비교 여행은 영어로 크게 네 가지로 구분 영어에서 '여행'이란 뜻을 지닌 단어는 trip, travel, tour, journey 등이 있는 데, 각기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모두 여행을 뜻하는 단어이지만, 느낌의 차이를 잘 구분해 알아두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쓸 수가 있음 네 가지 중, 일상에서는 travel과 trip이 더 많이 쓰이는 단어이고, 단 '특정 상황'에서는 tour나 journey를 쓴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단, travel과 trip은 의미가 겹치는 부분이 있어,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에 비해 tour와 journey는 뜻이 보다 분명한 편 □ travel, trip, tour, jour..
have, have got 쉽게 정리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일상회화에서는 have를 쓸 자리에, have got을 쓰는 경우가 많은 데, 다만 모든 경우, 다 바꿔 쓸 수 있는 건 아니고, have가 '가지다' (소유)의 뜻일 때만 가능합니다. 만약, have got이 have 대신 쓰인다는 걸 모른다면, 뭔 말인 지 꽤 당황할 수 있고, 현재완료 형태를 띄나, 현재완료가 아닌 현재형이라는 점 알아두기 물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며, 현재형 문장일 때는 has got 형태가 됩니다. 단, have got은 보통 일상적인 회화에서 쓰이는 표현이며, 특히, '영국식 영어'에서는 have보다 have got을 더 많이 사용 [참고사항]동사 get의 과거분사형은 got과 gotten 두 가지이지만, hav..
on sale, for slae 간단 비교 세일 (할인판매)은 영어로? on sale과 for sale은 공통적으로 '판매 (sale)'라는 뜻이 들어 있어,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상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앞에 붙은 전치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며, 영어 공부하면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 명사 sale은 '판매'란 뜻도 있지만, 우리가 보통 말하는 '세일' (=할인판매)이란 뜻도 있어서 그러함 다만, sales라고 '복수형' 형태일 때는 대부분 '판매'나 '매출'이란 뜻이 됩니다. (* 할인판매 아님) [참고] SALE 관련 콩글리시 1. A/S는 대표적인 콩글리시우린 평소에 A/S란 말을 많이 쓰지만, 영어식 표현은 after-sales service이며, 풀어 보면, '판매 후, 서비..
대표적인 콩글리시의 영어식 표현 원 플러스 원, 콘센트, 에어컨 등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콩글리시를 꽤 많이 쓰는 데, 물론 맞는 영어는 아니지만, 우리끼리는 너무나 잘 통하는 말입니다^^ 물론, 우리 뿐 아니라, 비영어권 나라들의 경우, 일부 영어를 현지화하면서, 자기들끼리만 통하는 말이 역시 많지 않을까 생각함 콩글리시 (Konglish)는 한국어 (Korean)와 영어 (English)가 합쳐진 말로, 실제 영어도 아니고, 한국말도 아닌 말이며, 우리끼리만 통하는 '한국식 영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이와 같이 잘못 사용되는 (즉, 진짜 영어는 아닌) 영어적 표현들을 가리켜, broken English (엉터리 영어, 잘못된 영어)라고 함 마치, 우리말처럼 자주 쓰이는 콩글리쉬가 ..
know, know of, know about 비교 뒤에 '사람'이 올 때, 느낌의 차이는? 동사 know는 뒤에 목적어로, 사람/사물이 올 수 있는 타동사이지만, know about나 know of와 같이 '전치사'와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보통은 '알다'라고 할 때, know를 쓰면 되지만, 뒤에 '사람'이 올 땐, 구별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괜한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 @ 한 가지 TIP전부 우리말로 하면, '알다'로 뜻이 같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는 헷갈리기 쉽고, 한 가지 팁은 know의 뜻을 '알다' 뿐 아니라, '알고 있다'로도 알아두면, 회화나 독해에서 말이 보다 매끄러워짐 ■ 누군가를 '알다'라는 표현에 대해 정리 - know, know about, know o..
hear of와 hear about 간단 비교 두 표현은 미묘한 차이가 있음 hear는 '듣다', '들리다'의 뜻으로 타동사로 쓰일 땐, 뒤에 목적어가 바로 오지만, hear about나 hear of와 같이 전치사와 함께 쓰여, 뒤에 전치사의 목적어가 오기도 합니다. 보통 hear about가 우리한테 더 익숙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hear of를 써야 할 때가 있고, 또 우리말로 하면, 둘은 별 차이가 안 느껴져서, 영어 공부하면서 자주 헷갈림 물론,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상황에서는 구별해 쓰지 않으면, 말이 어색해지니, 차이를 잘 구별해 알아두면 좋습니다 (디테일의 차이가 영어실력의 차이) ■ 둘을 구별하는 팁 [중요]전치사의 기본개념에 따라 알아두면 쉬운 데, 전..
marriage와 wedding 간단한 차이 결혼, 결혼식, 결혼기념일 영어로? '결혼'을 영어로 하면, marriage나 wedding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 같은 데, 사실 두 단어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단어입니다. 단, 문제는 우리는 평소에 두 단어를 뭉뚱그려 '결혼'이라고 똑같이 표현하는 경우가 꽤 있어서, 가끔씩 헷갈릴 때가 있음 먼저, marriage는 '결혼' 또는 '결혼생활'이란 뜻이고, wedding은 '결혼식' (= 결혼하는 예식 자체)이란 뜻으로 의미상 차이는 분명합니다. ■ 두 단어의 의미 다시 정리 (1) marriage : '결혼' 또는 '결혼생활' - 개념 : 결혼한 상태를 말한다는 점! [참고] marriage 어원 풀이marriage는 어근 marri (결혼하다)+ ..
empty와 vacant 간단히 비교 우리말 '빈', '텅 빈'은 영어로? 영어 단어 empty와 vacant는 둘 다 '비어 있는'이란 뜻을 갖고 있어, 비슷한 말이긴 하지만, 분명 느낌의 차이가 있습니다. 잘 구별해서 알아두어야, 상황에 맞는 적절한 단어를 쓸 수 있음 단어 vacant가 '(잠시) 빈', ' (잠시) 비어 있는'의 뜻이라면, empty의 경우, '텅 빈', '텅 비어 있는'이란 뜻이 더 잘 어울립니다 (즉, empty는 완전히 비어 있다는 말) 두 단어의 차이를 각각의 '반대말'로 알아두면 더 이해가 쉬운 데, vacant의 반대말은 occupied (사용중인, 사용되는 중인)이며, empty의 반대말은 full (가득한, 가득 차 있는)이 됨 ※ 따라서, empty와 vacant..
embarrassed, ashamed 차이 창피하다, 부끄럽다 영어로? 보통, 두 단어 모두 '창피한', '부끄러운'의 뜻으로 잘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두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커서, 상황에 맞게 구별해서 써줘야 합니다. 특히, 우리가 헷갈리는 이유는 두 단어를 우리말로 할 경우, 별 차이가 안 느껴질 때가 종종 있어서 그러함 형용사 ashamed는 '부끄러운', '수치스러운'의 뜻으로, '죄책감'이 단어 안에 포함돼 있다고 보면 되며 (바로 이 부분이 핵심), 반면 embarrassed는 '창피한', '쪽팔린'이란 뜻으로 죄책감과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참고]쪽팔리다의 정확한 뜻은 (속어로) 부끄러워, 체면이 깎이다 (표준국어 대사전) ■ 두 단어의 차이를 자세히 보면 ..
economic과 economical 차이 (쉽게 정리) 두 형용사는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가 다름 두 단어 모두 '경제'와 관련된 단어이며, 명사 economy [이카너미]의 형용사형입니다. economy는 '경제'란 뜻과 '절약'이란 뜻이 있는 데, 특징은 뒤에 붙는 접미사에 따라, 형용사형의 의미가 달라짐 economy가 '경제'의 뜻일 때의 형용사형은 뒤의 접미사 -ic가 붙어 'economic' (뜻 : 경제의)이 되고, economy가 '절약'의 뜻일 때의 형용사형은 뒤에 접미사 -ical이 붙어 'economical' (뜻 : 경제적인, 절약하는)이 됨 두 단어는 모양이 비슷해 헷갈리는 것도 있지만, 우리말로 하면, 뜻이 뭉뚱그려져 둘 다 가능할 때가 있어서, 헷갈리기도 합니다. 따라서..
like와 would like 비교 정리 둘은 뜻과 쓰임이 크게 다름 동사 like는 우리한테 너무나 익숙한 단어이고, '좋아하다'란 뜻이지만, 앞에 조동사 would가 붙은 'would like'는 좋아하다가 아닌 '원하다' (want)란 뜻이 됩니다. 특히, would like 표현에 'like'가 들어가기에, would like를 '좋아하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 또, 이 때의 would는 will의 과거형으로 쓰인 게 아니라서, would like는 과거를 나타내는 표현이 아닙니다. (* 과거와는 전혀 상관 없는 표현) ※ 조동사 would는 will의 과거형으로 쓰이기도 하나, 생각보다 여러 뜻이 있음 물론, 좋아하니까, 원하게 될 수도 있겠지만, '좋아하는 것'과 '원하는 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