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과 pick up 구분해 뜻 쉽게 정리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동사 중, 하나인 pick에 대해 알아보려 하는 데, 일단 pick의 기본개념은 '집다'나 '찝다' 정도라고 알아두면 이해하는 데 많이 수월합니다. 특히, 우린 평소에 pick up이란 말을 많이 쓰는 데, 픽업은 누군가를 '데리고 오거나' 또는 '데리러 갈 때' 쓰는 말이며, 풀어보면, pick (집다)+ up (위로) - 즉, 집어서 올린다는 말이 됨 얼마전에 인기를 많이 얻었던, Pick me up이란 노래도 나를 집어 (찝어) 올려달라는 말이므로 결국은 날 뽑아달라는 말이 됩니다. 동사 pick과 관련해 가급적 쉽게 정리하려고 하는 데, pick의 '기본개념'을 항상 떠올리면서 읽어 보시는 게 좋습니다. (좀 복잡할 수 ..
우리가 자주 쓰는 콩글리시 제 2편 지난번 1편에 이어 오늘 2편까지 해서 평소에 우리말처럼 많이 쓰는 콩글리쉬 총 30개를 정리하는 데, 1편에 이어 다시 한 번 말씀드리면, 콩글리시 (Konglish)는 Korean (한국어)과 English (영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이며, 가끔은 의사소통하는 데 콩글리시를 쓰면 더 편한 점도 있긴 하나, 이는 영어도 아니고, 한국말도 아닙니다. 콩글리쉬의 영어식 표현은 'broken English' 인데, 쉽게 말해 실제 영어식 표현이 아닌 잘 못 알고서 사용하는 그런 말들을 가리킵니다. (즉, 맞는 영어가 아님) 너무나 우리말처럼 쓰이는 콩글리시가 워낙 많고 또한 우리끼리는 너무 잘 통용되기에, 갑자기 안 쓸 수는 없지만, 만약 외국에 유학을 간다거나 또는 ..
우리가 흔히 쓰는 콩글리쉬 표현 (1편) 흔히 말하는 콩글리쉬 (Konglish)는 Korean (한국어)과 English (영어)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이지만, 이는 영어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국말도 아닙니다. 콩글리쉬 (Konglish) 대신 'broken English' 라고 해야 영어권 사람들이 뭔 말인 지 알아들을 수 있는데, broken English란 쉽게 말해 잘 못 알고 사용하는 영어적 표현들이 아닌 말들을 가리킴 즉, 브로큰 잉글리쉬란 올바른 영어가 아닌 걸 말함.. 물론, 우리 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 다른 나라들도 자기들끼리만 통용되는 broken English가 셀 수 없이 많으리라 봅니다. 단, 때에 따라서는 콩글리시를 쓰는 게, 의미를 보다 정확히 표현해 줄 때도 있고, 실제..
Come on의 또 다른 유용한 뜻은? Come on은 '이리로 와'만 있을까? 영어권 사람들 보면 Come on! 이란 말을 평소에 많이 사용하는 데, 의미상으로만 보면, 대충 일로 (=이리로) 오라는 뜻인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Come on은 일로 오라는 말 외에도 다른 의미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함 Come on의 기본 뜻 이외에 나머지 두 가지 뜻도 평소에 많이 쓰이는 말이므로, 이번 기회에 Come의 3가지 중요한 의미를 확실히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 Come on은 크게 3가지 뜻이 있음 1. '일로 와' 또는 일로 와봐' - come on의 가장 기본적인 뜻2. '어서!' 또는 '힘 내!' - '어서!'는 뭔가 재촉하는 말 (= 서둘러!) - '힘 내'는 '기운 내'와 같..
조동사 might 쉽게 풀어보기 조동사 may와 차이점 포함 우리는 평소에 (잘은 모르겠지만) '뭐뭐 일지도 몰라'라는 표현을 정말 많이 쓰는 데, 이렇 듯 평소에도 많이 쓰는 말이기 때문에 조동사 might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다른 조동사에 비해 일반적으로 might를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전혀 어렵지 않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물론, might는 may의 과거형으로 쓰일 수도 있긴 하나, 추측의 의미 '-일지도 몰라'란 뜻으로 '현재시제'처럼 상당히 많이 쓰이는 데, 이 때는 조동사 may와 바꿔써도 될 만큼 의미 차이가 거의 같음 따라서, '-일지도 몰라' 라는 말을 할 땐, 둘 중에 아무거나 써도 의미에 별 차이 없는 데, 일반적으로는 might를 조금 더 많이 ..
헷갈리는 term과 terms 구분해 정리 term, terms 들어가는 숙어 포함 우리는 평소에 'term이 있다'는 말을 가끔 쓰는 데, 단어 term은 ' (정해진) 기간'이란 뜻 말고도 의미가 생각보다 많은 데, 중요한 건 각각의 의미가 잘 연관이 안 되어 외우기가 쉽지 않다는 점 term은 일상회화 보다는 독해할 때 더 많이 볼 수 있는 단어인 데, 나올 때 마다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보다 확실히 알아두려면 term과 terms를 마치 다른 단어처럼 구분해 정리하는 게 낫다고 봅니다. term과 terms는 다른 명사와 달리 각각의 의미가 다른 점이 많아, 나누어서 보는 게, 복잡함을 덜 수 있고, 다시 말하면 다른 단어라고 생각하면 보는 게 나음 또한, te..
I'm sorry는 또 다른 뜻이 있다? sorry to와 sorry for 비교 포함 물론, I'm sorry의 가장 기본이 되는 뜻은 '미안해'가 맞지만, I'm sorry는 '미안해' 말고도 또 다른 두 가지 뜻이 더 있는 데, 이 두 가지 뜻이 분명 일상회화에서 많이 쓰이는 말임에도 대개의 경우, 대충은 알고 있어도 정확히는 모르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본문에서 정리할 I'm sorry의 의미 총 3가지를 알아둔다면 전부 회화에서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는 표현이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셨으면 함 [참고사항]'미안해' 이외의 다른 두 가지 뜻도 겉보기에는 완전 다른 뜻 같아 보여도, 가만히 생각해 보면, 어찌 보면 '미안해'로부터 나온 말 (?)이라..
fare와 fee, price와 cost 간단 비교 요금, 가격 관련 단어 차이점 정리 위의 단어들은 운임이나 뭔가에 대한 요금, 비용을 말할 때 쓰는 단어인데, 의미가 비슷비슷해서 영어 공부하는 입장에서 나올 때마다 많이 헷갈립니다. 물론, 영어에서는 이를 구별해서 쓰기 때문에, 우리도 영어할 때만은 구별해 줘야 한는 데, 실은 영어 뿐 아니라 우리 역시 요금, 가격, 비용, 수수료 등 다양한 표현을 쓰고 있답니다. □ 단어들의 차이를 비교하면서 정리 - 공통점 : 무언가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이라는 점 먼저, fare와 fee의 차이점을 비교한 뒤, price와 cost를 비교할 건 데, 네 가지를 한꺼번에 알아두기 보다는 관련성 있는 것끼리 묶어서 알아두는 게 훨씬 낫다고 봅니다. @ 먼저..
Have 또 다른 뜻 네 가지 (쉽게 정리) 오늘은 have 동사 2편으로 1편에서 다룬, 기본 뜻인 '(갖고) 있어' 외에 먹다, 마시다, 보내다, -하게 하다 (사역동사)에 대해 예문과 함께 정리한 후, have 관련 '주요 숙어표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참고 : have가 사역동사로 쓰인 경우도 생각만큼 어렵지 않음 ■ 먼저, 지난 1편 내용을 잠깐 보면 1편에서는 동사 have의 가장 기본 뜻인 '가지다'에 대해 알아봤는 데, 핵심내용은 have를 '가지다' 라고만 알고 있으면 한국말을 영어로 옮길 때에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따라서, have의 뜻을 '(갖고) 있어'라고 알아둬야 특히 회화에서 아주 유용함 단, 우리는 보통 '갖고 있어'란 의미를 말할 때, '갖고'..
finish와 end '끝나다'가 맞을까? 두 단어의 차이와 실제 뜻 정리 동사 finish와 end는 우리말로는 둘 다 '끝나다'가 맞는 데, 우리는 보통 '끝나다'란 말로 다 표현이 되나, 영어는 둘을 구별해서 쓰기 떄문에,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당연히 우리도 둘을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단, 두 단어 역시 비슷한 점이 많아 상황에 따라 둘 다 말이 되는 경우도 있고, 안 되는 경우가 있는 데, 본문에서는 안 되는 경우 위주로 정리하려고 함 단, 의미가 같다면 회화에서는 finish를 더 많이 쓰는 편이며 참고로, finish와 end는 둘 다 동사로도 쓰이고 명사로도 쓰입니다 ■ 먼저, finish와 end 뜻&기본개념 [알아둘 점] 1. 보통 finish는 주어로 사람이 나오며, end는..
동사 start와 begin 쉽게 비교 시작하다 영어로? (둘의 차이) 영어로 '시작하다' 또는 '출발하다'란 말을 할 때는 동사 start나 begin을 쓰면 되는 데, 둘은 거~의 같은 의미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두 단어를 바꿔써도 충분히 말이 됩니다. 단, 특정 상황에 있어서만 차이점이 약간 있음 [참고사항] start가 회화에서 더 많이 쓰이는 편이며, start와 begin은 모두 다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명사 (-ing) 모두 올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두 단어의 차이점을 알고서, 그 것만 잘 주의해서 쓰면 되는 데, 딱 한 가지만 주의하면 됩니다. (정지상태에서) 갑자기 움직이는 느낌일 때는 동사 start를 쓰는 것이 적절함 ■ 갑자기 움직이는 경우란? -..
travel vs trip vs tour 비교 영어단어 travel, trip, tour는 공통적으로 '여행'이란 뜻을 지니지만, 각기 느낌이 약간씩 달라서 말을 할 때 구별해 쓰는 것이 좋습니다. 단, travel이 일반적으로 '여행'을 통칭하는 단어이므로, 뭘 써야할 지 만약 헷갈릴 경우, travel을 쓰는 게 나음 (물론, 구별해 쓰는 것이 젤 좋습니다) (1) 먼저, travel과 trip부터 비교하면 이해가 쉬움 - 기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둘을 구분해 씁니다 1. travel : 일반적인 여행을 총칭하는 말이며, 비교적 긴 여행 - 개념 :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움직이는 걸 말함 - travel agency : 여행사, travel book : 여행 관련 책2. trip : 잠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