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r와 time 쉽게 구별해 쓰는 법 '시간'을 의미하는 두 단어의 차이점 두 단어는 우리말로 하면 분명 '시간'이라고 해석되는 데, 영어에서는 둘을 상황에 맞춰 구별하여 써주기 때문에, 가끔 헷갈릴 때가 생김니다. 우리도 영어로 말할 때는 두 단어를 적절하게 구분하여 써줘야 하며, 다만 둘을 한 번만 잘 구분하여 정리해 두면 잘 까먹지 않기 때문에, 오늘은 hour와 time를 간단히 구별해 쓰는 법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 먼저, 각각의 뜻을 보면 1. hour : 한 시간, 두 시간 세는 시간을 말함 2. time : 일반적인 '시간'을 말합니다 - 가끔은 '때'라는 말이 더 어울릴 때도 있음 [다시 정리하면] hour는 1시간, 2시간 '세는 시간'을 말할 때 쓰이는 반면 tim..
battle과 war 차이 및 또 다른 의미 '전쟁' 또는 '전투'를 영어로 하면? 단어 battle과 war는 둘 다 공통적으로 '전쟁'이란 뜻을 가지고 있지만, 분명 두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납니다. 핵심부터 간단히 말하면 battle은 '전투', war는 '전쟁'이라고 구분해 알아두면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쉬움 다만, 두 단어는 전투나 전쟁 이외의 다른 뜻도 있는 데, 이것도 함께 알아두어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답니다. 먼저, 두 단어의 기본개념을 간단히 비교한 뒤, 예문을 통해 정리하려고 하며, 또한, 우리가 응원이나 격려 등을 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나 대표적인 콩글리시인 'Fighting!'과 관련해서도 본문 하단에 참고 삼아 알아볼 생각입니다. ■ 두 단어의 뜻 & 기본개념 비교..
exam과 test 차이는? (간단 비교) 우리말 '시험'은 영어로 하면 크게 세 가지로 구분이 되는 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맞춰 써줘야 하므로 우리도 구분해서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일단, 단어 exam과 test부터 보면, 우리는 둘을 구별하지 쓰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둘 중 아무거나 써도 되는 그런 건 절대 아니고, exam은 주로 학생들의 '정규시험 (=정식시험)'인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에 쓰는 말이며 단어 test는 eaxm과 비교할 때 훨씬 폭 넓게 쓰이는 말이며, 큰 특징은 '시험' 이외에도 '검사'란 뜻이 있습니다. '시험'을 말할 떄는 중간, 기말고사와 달리 덜 형식적인 시험에 주로 쓰이며 단어 test가 '검사'의 뜻으로 쓰일 적에는 피검사 (blood test)와 같이 병원에서..
동사 admit와 recognize 비교 우리말 '인정하다'는 영어로 하면 두 가지로 구분되는 데, 한국말을 영어로 빠르게 옮길 적에 우리말 '인정하다'의 '정확한' 의미가 둘 중에 무엇인지를 재빨리 파악해 적절한 단어로 표현해줘야 합니다. 예를 들면, 보통 우리는 '내 잘못을 인정할게 (시인한다는 말)'라고 말할 때 뿐 아니라, 우리 부장님은 날 인정해 (인정해 주신다는 말) 라는 말을 할 때, 둘 다 '인정하다'라는 말을 씀 단, 우리말과는 달리 영어로 말할 때는 두 가지 경우를 분명히 구분하여 말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는 약간 헷갈린 면은 있지만, 단어가 가지고 있는 기본개념만 잘 잡으면 쉽게 해결됩니다. 보통 우리가 영어공부하면서 헷갈리는 단어들의 공통점은 우리는 뭉뚱그려 한 단..
우리말 편안해는 편안한도 되고 편리한도 됨 comfortable과 convenient 구별하여 알아두기 우리말 '편해'는 말하는 상황에 따라 '편안해'가 될 수도 있고 '편리해'가 될 수도 있는 데 (즉, '편해'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가 될 수 있음), 단, 영어에서는 둘을 분명히 구분해서 표현을 하는 반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한 데 뭉뚱그려 그냥 '편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아서, 한국말을 영어로 옮길 때는 '편해'라는 말이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구분하여 문장을 만들어야 합니다 물론, 우리끼리 말할 때는 전~혀 상관이 없지만,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둘을 구분하여 말해줘야 함, 단, 우리는 한국말 네이티브인 관계로 편안해인지, 편리해인지 의미를 구분하는 건 너무도 쉬운 일이지만, 중요한 건 재빨리..
home과 house 차이 간단 정리 '집'은 영어로 둘로 구분 두 단어 모두 우리말 해석은 '집'이 맞긴 하지만, 두 단어는 경우에 따라 느낌의 차이가 있을 때가 꽤 있습니다. 단, 큰 차이가 안 나서 둘 다 말이 될 때도 있음 두 단어의 개념을 잡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며, 본문의 예시를 보면, 원어민들은 home과 house를 꼭 구분해 쓰는 경우가 있는 데, 특히 그러한 경우를 잘 알아둬야 함 ■ 먼저, 두 단어의 기본개념 1. house는 대개 '건물 개념'의 집을 의미합니다. - 즉, '건물'로서의 집이라서 물리적인 개념임 - 우리말 뜻은 '집' 2. home은 건물 이상의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뜻은 '집'이 될 수도 있지만 '가정'이 될 수도 있음 - 단지, 거주공간 그 이상의..
wake up과 get up의 차이는? 우리말 '일어나다'는 영어로 하면, get up이 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wake up이 될 수도 있는 데, 둘은 비슷한 말이긴 하나 상황에 따라 느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둘 다 우리말로 하면 '일어나다'가 되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 헷갈린 건데, 지금부터 둘의 개념을 알아 본 뒤, 예문을 통해 가급적 쉽게 정리하려고 함 ■ 먼저, get up과 wake up 뜻 정리 - 공통적으로 둘 다 '일어나다'라는 말 1. get up : 일어나다가 맞지만, 주로 (잠자리에서) 일어나다란 의미로 쓰임 물론, get up은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말고도 그냥 ' (자리에서) 일어나다'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 이 경우는 stand up과 비슷한 의미..
strange와 weird 뜻과 느낌 차이 한국말 '이상하다'는 영어로 크게 두 가지 영어로 '이상하다'는 말을 할 때, 우리는 보통 친숙한 단어인 strange를 많이 쓰지만, weird라는 단어도 있으며 둘은 느낌의 차이가 납니다 물론, 우리말로 했을 때는 둘 다 대표적인 뜻은 '이상한'이 맞기는 합니다 ■ 두 단어의 기본개념과 의미를 보면 1. strange는 낯설어서 (익숙치 않아서) 이상한 걸 말함 2. weird는 그냥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이상한'이란 의미 - '별나다', '특이하다' 정도의 뜻이라고 봐도 됨 - 단, 무섭거나 기분 나쁜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 다음은 예문을 통해 느낌을 보기1. Never follow strangers. : 절대 이상한 사람 따라가지 마 ..
단어 lie와 cheating 느낌의 차이는? 다른 사람을 속이거나 거짓말하는 것과 관련된 '명사'로는 대표적으로 lie와 cheating이 있는 데, 둘은 남을 속인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분명 느낌상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lie는 동사형도 lie로 같으며, cheating의 동사형은 cheat가 됨 lie는 단지 거짓말 (=뻥)이라는 뜻만 지니고 있다면, cheating은 속이거나 반칙하는 걸 말합니다. cheating의 기본개념을 '부정행위'라고 알아두면 둘을 구분하기 쉬움 따라서, cheating은 lie와 달리 단순히 '거짓말' 보다는 남을 속여 무언가 '이익'을 얻어내려는 느낌이 포함됩니다. ※ '부정행위'라는 개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참고로, '컨닝'은 우리한테 너무도 익숙한 말이지..
ignore와 look down on 차이는? 우리말 '무시하다'는 영어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데 (ignore와 look down on), 둘 다 우리말로 하면 '무시하다'가 분명 맞지만, 두 표현은 느낌이 좀 차이가 납니다. 즉, 둘 다 누군가를 무시하는 건 맞으나, '어떤 방식으로' 무시하느냐에 따라, 상황에 따라 ignore를 쓰기도 하고, look down on을 쓰기도 합니다. 단,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꽤 많음 먼저, ignore는 타동사로 '무시하다'는 뜻이긴 한 데, 정확한 느낌은 누군가를 '무시하거나 모른 척 피하는' (생까는) 걸 말합니다. 형태는 ignore+ A : A를 무시하다 (생까다)가 됨 look down on도 ignore와 마찬가지로 '무시하다'라는 ..
marry와 get married 느낌의 차이 '결혼하다'는 영어로 두 가지 영어로 '결혼하다'하면 우리는 marry를 가장 먼저 떠올리지만, 사실, marry와 get married to 두 가지 표현이 있으며, 둘 다 많이 쓰입니다 (두 표현은 느낌이 약~간 다름) 특히, 동사 marry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단어이지만, get married는 그리 익숙치 않아, 실제 회화에서 말할 때, 쓰기가 확실히 알아두지 않으면 쉽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익숙해지면 됨^^) 참고로,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의 영어제목은 'We got married.'인데, 우리 결혼해서 한 데 합쳤어야 하는 느낌이 듭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 □ 둘의 느낌의 차이 간단 정리..
sign과 autograph 구별해서 쓰기 우리는 보통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 보고 '싸인'해 달라고 말하는 데, 실제 싸인 (sign)은 우리들끼리만 통하는 대표적인 '콩글리시' 중 하나이고, 이 때의 적절한 말은 sign이 아닌 autograph [오로그랲]입니다. 만약, 외국에 나가서 어쩌다 외국 연예인을 보게 됐는 데, 그 때 싸인 (sign)해 달라고 말하면 분위기가 좀 이상해 집니다. 왜냐하면 SIGN이란 건 계약서나 문서 등에 하는 것인 데, 처음 본 사람이, 다짜고짜 (계약서 등에) '서명' 해달라고 하는 것이 됨..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보통 sign은 그에 따른 책임이 따른다고 보면 되며, autograph는 단순히 친필서명이나 친필싸인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out of order와 not working 차이 무언가가 고장났다거나 작동이 안 된다고 할 때, 영어로는 out of order 또는 not working을 쓸 수 있는데, 둘의 최고 차이점은 out of order는 좀 거창한 표현이고, not working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 둘의 뜻을 보면 차이점이 바로 드러남 1. out of order의 뜻은 '작동이 안 되는'이 더 적절 2. not working의 뜻은 '안 되는', '고장난'이 적절함 @ 우리말도 보면 '내 휴대폰이 안 돼'나 '내 휴대폰 고장났어' 보다는 '내 휴대폰 작동이 안 돼'가 좀 더 거창한 표현이고, 더 예를 들면, 'TV가 안 돼'나 'TV가 고장났어' 보다는 'TV가 작동이 안 돼'가 좀 더 거창..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