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king과 climbing 차이는? 하이킹과 클라이밍의 차이 보통 '등산'하면 먼저 떠오르는 영어단어가 hiking과 climbing이 있는 데, 두 단어는 똑같은 '등산'이 아니라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잘 못 쓰게 되면 말이 이상해져 상대방이 오해할 수도 있답니다. 우리가 학교다닐 때, climb을 그냥 '오르다'라고만 배워서, 두 단어가 헷갈리는 건 데, 둘의 차이는 한국말로 알아두면 의외로 정말 쉽습니다. 참고로, climb에서 b는 묵음이라 발음은 [클라임]이 됨 ■ hiking과 climbing 뜻과 기본개념 1. hiking : '등산'이라고 알아두면 적절합니다 - 일반인들이 취미로 산을 가볍게 오르는 걸 말함 (특별한 장비 없이) - 특히, 비교적 평탄한 산을 오르는 걸 말함 - 등산..
mistake vs. fault 비교 정리 우리말로 '실수'나 '잘못'이 영어로는 어떻게 되는 지, 이따금 헷갈릴 때가 있는데, mistake와 fault의 우리말 뜻을 정확히 알아두면, 앞으로 까먹지 않을 만큼 구별은 쉽습니다. ■ mistake vs. fault 뜻과 기본개념 정리 1. mistake : 단지 '실수'라고 알아두면 됩니다 - 따라서, 내 실수를 말할 때 my mistake라고 함 2. fault : '잘못' 또는 '탓'이라고 알아두면 됨 - 따라서, 내 잘못이나 내 탓을 my fault 라고 함 - fault는 '실수' 그 이상의 것 (?)을 말함 위와 같이 두 단어의 한국말 뜻을 정확히 이해하면, 차이가 분명히 납니다. 단지 '실수한 것'과 '잘못한 것'은 느낌이 많이 다르며, 특히..
smile, laugh, chuckle 차이 우리말 '웃다'는 영어로? 영어로 웃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smile아니면 laugh라고 생각하는 데, 우리나 영어권 사람들이나 웃는 방식은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입니다. 또한, 나도 모르게 문득 나오는 웃음도 있겠지만, 개인별 취향에 따라 웃는 방식도 다르리라 생각함 웃는 방식은 보통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데, 1. 은근히 미소짓는 것과 2. 하하하 소리내어 웃는 것 그리고, 3. 킥킥거리며 웃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smile, laugh, chuckle는 '웃다'라는 표현은 맞긴 하지만, 웃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기에, 느낌이 조금씩 다릅니다. 앞으로는 각각의 단어의 차이를 확실히 알아고 나서, 상황에 따라 구분해 ..
look, sound, seem 차이와 간단 해석 동사별 용법을 간단히 비교, 정리 동사 look, sound, seem이 쓰인 문장을 각 동사들의 원래 뜻대로 '-보여', '-들려', '-느껴'로 해석하게 되면, 말이 좀 어색해 지는 경우가 많은데, 위의 3가지 동사의 해석을 '통일하여' 뭐뭐인 것 같아'라고 해석할 경우, 간단해지고 말이 무척 매끄러워 집니다. 말이 매끄러워 지게 되면, 당연히 말을 들을 때도 이해가 잘하고, 영어로 말을 할 때도 말이 빨리 나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동사 look, sound, seem은 해석은 '뭐뭐인 것 같아'로 똑같이 간단히 하되, 하지만 느낌은 분명 차이가 있는 데, 오늘은 각 동사들의 늬앙스 (느낌)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함 ■ 동사들의..
breast와 chest 간단히 비교 둘을 적절하게 구별해 쓰기 영어단어 breast와 chest는 공통적으로 '가슴'을 표현하는 말은 맞지만, 둘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둘을 구분해서 써줘야 하는 데, breast는 보통 여자의 가슴을 말할 때 쓰는 단어이며, chest는 남자의 가슴 또는 한자어로 하면 '흉부' 정도의 의미로 쓰이는 말입니다. breast는 정확히 표현하면 '젖가슴'이나 '유방'이 의미상으로는 더 어울리는 말이며 따라서, 여자들은 두 개의 breast를 갖고 있지만, 남자들은 chest는 있을지라도 breast는 없습니다. 단, chest가 흉부의 의미로 쓰일 때는 남녀 구분 없음 ■ 의학용어에서도 둘의 차이가 느껴짐 - breast cancer : 유방암 - ch..
go는 가다가 맞지만, come은 꼭 오다는 아님~ 너무 쉬운 동사이나, 우리가 아는 것이 다는 아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말로 가다는 go, 오다는 come 이라고만 생각하실 수 있는 데, go는 가다라는 뜻만 있는 건 맞지만, come의 경우, 물론, 일반적인 뜻은 '오다'가 맞긴 하지만, 특정 상황에 한내 정 반대말인 '가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이 부분이 좀 충격적 (?)이었고, 많이 헷갈렸음^^;; 이 부분을 확실히 정리해 놓지 않으면 특히, 일상생활에서 말할 적에 실수할 확률이 매우 높고, 매번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come의 '기본개념'을 잘 정리해 두셨으면 합니다. ■ 먼저, go와 come의 기본개념 정리 1. go '가다'는 (딴 데로) 간다는 ..
bored와 boring, tired와 tiring의 큰 차이 감정표현에 쓰이는 현재분사, 과거분사 영어로 감정을 표현하는 말을 할 때, tire, bore, excite, surprise 등의 동사를 직접 쓸 수도 있겠지만, 대부부은 be동사+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에 -ing나 -ed를 붙여 많이 씁니다. 따라서, be동사+ ing 또는 be동사+ ed 형태로 많이 쓰임 [참고사항] 영어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들은 대부분의 경우, 그 뜻 자체가 '-하게 하다'란 의미로 타동사인 경우가 많다는 점도 함께 알아두기 ■ 우리에게는 영어 감정표현이 많이 헷갈림 원어민들은 분명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ing와 ed 둘을 구분해 쓰지만, 이를 한국말로 했을 때는 형용사에 -ing를 붙인 것과 형용사에 -ed를..
personality vs. character 차이는? '성격'은 영어로 크게 2가지 '성격'이란 단어는 일상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기본적인 단어 중 하나지만, 영어로는 personality와 character로 둘로 나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맞춰 쓰기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두 단어 모두 '성격'을 뜻하는 건 분명 맞지만, 그 느낌 (늬앙스)은 약간 차이가 있는 데,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우리도 말할 때는 당연히 구별해서 말해줘야 합니다. ※ 단, 상황에 따라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있음 ■ 성격을 나타내는 두 단어의 뜻은? - 무엇보다 한국말 뜻을 정확히 알아두면 쉬움 1. personality : (일반적인) 성격 - 또한, '개성'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
Why? (왜?)보다 느낌이 쎈 두 가지 How come?과 What for? 간단 정리 영어로 이유를 물어볼 때 가장 많이 쓰는 말은 Why? (왜?)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영어권 사람들이 언제나 Why?로만 물어보지는 않습니다. 영어로 이유를 묻는 대표적인 말로는 How come?과 What for?도 있는 데,단, 둘 다 Why? 보다는 쬐금 더 딱딱할 수 있고, 쬐금 더 쎈 느낌이 드는 말입니다. 본문에 나오는 각각의 우리말 뜻을 보면 이해가 쉬움 말하는 사람의 취향이나, 특정 상황에 따라 How come?이나 What for?도 회화에서 때때로 들을 수 있는 말이므로, 영어로 이유를 묻는 3가지 방법을 다 알고 있는 게 좋습니다. □ Why?보다 좀 더 느낌이 쎈 이유를 묻는 말 - 다시..
쓰레기는 영어로? 각각의 차이 정리 trash, garbage, rubbish, waste 비교 영어로 쓰레기를 표현하는 단어는 크게 trash, garbage, rubbish, waste가 있으며, 각각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 단, 매주 특정 요일에 하는 분리수거를 생각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구분할 수 있음 참고로, 저의 경우, 학교 다닐 적에 trash와 garbage를 똑같은 말이기 때문에 둘 중, 아무거나 쓰면 된다고 배운 기억이 있는 데, 절대 같은 말이 아니라는 점.. 따라서, 영어로 말할 때 둘을 구분해서 써줘야 합니다. 일단, 쓰레기를 표현하는 단어 네 가지 중, trash와 garbage를 구분하는 게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특히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시면 되..
cook과 chef 차이 정리 요리, 요리사는 영어로? 한국말 '요리'와 '요리사'를 영어로 하면, 의외로 헷갈린 부분이 있고, 또 요리사는 둘로 구분해 볼 수 있는 데, 이와 관련해서도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언뜻 생각하기엔 '요리'하면 영어로 cook일 것 같지만, 요리는 cooking이란 단어를 씀.. 요즘은 TV를 보다 보면 요리사분들이 예능에도 많이 출연하고, 광고도 많이 찍는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어 그런 지, 학생들이 상당히 선호하는 직업이 되었다고 합니다. (1) 먼저, 요리와 요리사는 영어로? 1. cooking : 요리 (명사) - 주의 : 요리는 cook이 아니라는 점 2. cook : 요리사 (명사), 요리하다 (동사) - 주의 : cook은 두 가지 뜻이 ..
I think와 I don't think 간단 정리 회화에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평소에 말할 때, 무언가가 확실하지 않은 데, 마치 확실한 것 처럼 말을 하면, 나중에 그게 아닐 경우에 괜히 욕을 먹거나 비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보통 우리는 딱 부러지게 말하기 보단 '난 뭐뭐인 것 같아, 난 뭐뭐인 것 같은 데'라고 '같아'를 붙여서 어쩌면 아닐 수도 있다는 여지를 살~짝 남겨 놓는 식으로 많이들 말을 합니다. 물론, '난 뭐뭐인 것 같아'라는 표현도 아무때나 쓰는 건 아니고, 자신의 말에 어느 정도는 확신이 있을 때 쓰는 말인 건 맞음 아마도 이 부분은 영어와 우리말 뿐 아니라, 이 세상의 다른 언어들도 많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데, 물론, 말하는 사람의 '성향'이나 말하는 습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