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ke up과 get up의 차이는? 우리말 '일어나다'는 영어로 하면, get up이 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wake up이 될 수도 있는 데, 둘은 비슷한 말이긴 하나 상황에 따라 느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둘 다 우리말로 하면 '일어나다'가 되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 헷갈린 건데, 지금부터 둘의 개념을 알아 본 뒤, 예문을 통해 가급적 쉽게 정리하려고 함 ■ 먼저, get up과 wake up 뜻 정리 - 공통적으로 둘 다 '일어나다'라는 말 1. get up : 일어나다가 맞지만, 주로 (잠자리에서) 일어나다란 의미로 쓰임 물론, get up은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말고도 그냥 ' (자리에서) 일어나다'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 이 경우는 stand up과 비슷한 의미..
strange와 weird 뜻과 느낌 차이 한국말 '이상하다'는 영어로 크게 두 가지 영어로 '이상하다'는 말을 할 때, 우리는 보통 친숙한 단어인 strange를 많이 쓰지만, weird라는 단어도 있으며 둘은 느낌의 차이가 납니다 물론, 우리말로 했을 때는 둘 다 대표적인 뜻은 '이상한'이 맞기는 합니다 ■ 두 단어의 기본개념과 의미를 보면 1. strange는 낯설어서 (익숙치 않아서) 이상한 걸 말함 2. weird는 그냥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이상한'이란 의미 - '별나다', '특이하다' 정도의 뜻이라고 봐도 됨 - 단, 무섭거나 기분 나쁜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 다음은 예문을 통해 느낌을 보기1. Never follow strangers. : 절대 이상한 사람 따라가지 마 ..
단어 lie와 cheating 느낌의 차이는? 다른 사람을 속이거나 거짓말하는 것과 관련된 '명사'로는 대표적으로 lie와 cheating이 있는 데, 둘은 남을 속인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분명 느낌상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lie는 동사형도 lie로 같으며, cheating의 동사형은 cheat가 됨 lie는 단지 거짓말 (=뻥)이라는 뜻만 지니고 있다면, cheating은 속이거나 반칙하는 걸 말합니다. cheating의 기본개념을 '부정행위'라고 알아두면 둘을 구분하기 쉬움 따라서, cheating은 lie와 달리 단순히 '거짓말' 보다는 남을 속여 무언가 '이익'을 얻어내려는 느낌이 포함됩니다. ※ '부정행위'라는 개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참고로, '컨닝'은 우리한테 너무도 익숙한 말이지..
ignore와 look down on 차이는? 우리말 '무시하다'는 영어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데 (ignore와 look down on), 둘 다 우리말로 하면 '무시하다'가 분명 맞지만, 두 표현은 느낌이 좀 차이가 납니다. 즉, 둘 다 누군가를 무시하는 건 맞으나, '어떤 방식으로' 무시하느냐에 따라, 상황에 따라 ignore를 쓰기도 하고, look down on을 쓰기도 합니다. 단, 둘 중 뭘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꽤 많음 먼저, ignore는 타동사로 '무시하다'는 뜻이긴 한 데, 정확한 느낌은 누군가를 '무시하거나 모른 척 피하는' (생까는) 걸 말합니다. 형태는 ignore+ A : A를 무시하다 (생까다)가 됨 look down on도 ignore와 마찬가지로 '무시하다'라는 ..
marry와 get married 느낌의 차이 '결혼하다'는 영어로 두 가지 영어로 '결혼하다'하면 우리는 marry를 가장 먼저 떠올리지만, 사실, marry와 get married to 두 가지 표현이 있으며, 둘 다 많이 쓰입니다 (두 표현은 느낌이 약~간 다름) 특히, 동사 marry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단어이지만, get married는 그리 익숙치 않아, 실제 회화에서 말할 때, 쓰기가 확실히 알아두지 않으면 쉽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익숙해지면 됨^^) 참고로,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의 영어제목은 'We got married.'인데, 우리 결혼해서 한 데 합쳤어야 하는 느낌이 듭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 □ 둘의 느낌의 차이 간단 정리..
sign과 autograph 구별해서 쓰기 우리는 보통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 보고 '싸인'해 달라고 말하는 데, 실제 싸인 (sign)은 우리들끼리만 통하는 대표적인 '콩글리시' 중 하나이고, 이 때의 적절한 말은 sign이 아닌 autograph [오로그랲]입니다. 만약, 외국에 나가서 어쩌다 외국 연예인을 보게 됐는 데, 그 때 싸인 (sign)해 달라고 말하면 분위기가 좀 이상해 집니다. 왜냐하면 SIGN이란 건 계약서나 문서 등에 하는 것인 데, 처음 본 사람이, 다짜고짜 (계약서 등에) '서명' 해달라고 하는 것이 됨..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보통 sign은 그에 따른 책임이 따른다고 보면 되며, autograph는 단순히 친필서명이나 친필싸인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out of order와 not working 차이 무언가가 고장났다거나 작동이 안 된다고 할 때, 영어로는 out of order 또는 not working을 쓸 수 있는데, 둘의 최고 차이점은 out of order는 좀 거창한 표현이고, not working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 둘의 뜻을 보면 차이점이 바로 드러남 1. out of order의 뜻은 '작동이 안 되는'이 더 적절 2. not working의 뜻은 '안 되는', '고장난'이 적절함 @ 우리말도 보면 '내 휴대폰이 안 돼'나 '내 휴대폰 고장났어' 보다는 '내 휴대폰 작동이 안 돼'가 좀 더 거창한 표현이고, 더 예를 들면, 'TV가 안 돼'나 'TV가 고장났어' 보다는 'TV가 작동이 안 돼'가 좀 더 거창..
U.S.A와 America는 어떻게 다를까? 우리는 미국을 보통 America라고 많이 부르지만, 또 U.S.A라고도 부르는 데, 물론 둘 다 미국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U.S.A는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미합중국)의 줄일말로, 미국이 여러 주가 한데 모여 (연합하여) 이루어진 국가란 의미에서 나온 말이며, the United States of America가 바로 미국의 공식적인 명칭입니다. ※ 국제사회에서는 각 나라의 공식적인 명칭을 사용 참고로, 한국의 공식적인 명칭은 'the Republic of Korea'로 대한 민주주의 공화국 (ROK)입니다. 다만, 우리도 평소에 이처럼 부르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 같고, 줄여서 '대한민국' 또는 '한국'으로 부..
problem과 trouble 차이는? 문제는 영어로 크게 두 가지 우리말로 하면 두 단어 모두 '문제'가 맞기 때문에, 어느 때, problem을 쓰고 또, 어느 때 trouble을 써야 하는 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비슷하지만 분명히 쓰임이 다른 problem과 trouble의 각각의 정확한 뜻과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 먼저, 두 단어의 기본개념 1. problem :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2. trouble : 문제로 인해 생기는 '골치 아픔'이나 '어려움' - 즉, trouble은 정신적으로 괴롭히는 문제라는 느낌이 듬 [참고사항]또 다른 둘의 차이점은 problem은 셀 수 있는 명사라서 a problem과 같이 쓸 수 있는 반..
neighbor와 neighborhood 차이 형태는 비슷하지만, 의미는 좀 다름 neighbor는 '이웃'을 말하며, neighborhood는 '이웃', '이웃관계'의 뜻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neighbor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이웃, 이웃사람이 맞지만, neighborhood는 '이웃'보다는 보통 '이웃관계' (이웃간의 교제) 또는 '동네'의 뜻으로 쓰입니다. 특히, neighborhood가 동네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 알아두기 ■ 두 단어의 정확한 뜻을 보면 1. neighbor : '이웃사람' 또는 '동네사람' - 우리는 '이웃사람'을 줄여서, 그냥 '이웃'이라고 많이 함 - 발음 [네이벌] 2. neighborhood : '동네', '이웃관계' - 즉, 살고 있는 ..
글래머 (glamour)의 적절한 영어표현 영어로 몸매 표현하는 법 간단히 정리 우리는 평소에 허리는 비교적 날씬하면서, 가슴이 큰 여성을 '글래머' (glamour)라고 부르는 데, 실제 glamour란 단어는 몸매과 별로 관계 없이 쓰이는 말입니다 (또한, '풍만한'이란 뜻도 없음) 글래머란 말은 우리가 자주 쓰는 대표적인 콩글리시 중, 하나이며, 실제 의미를 보면 글래머 (glamour)는 '명사'로 '화려한 매력' 또는 럭셔리한 매력' 정도의 뜻을 지니며, 형용사형인 글래머러스 (glamorous) 또한 '화려한 매력이 있는' 또는 '럭셔리한 매력이 있는' 정도의 의미가 됨 □ 다시 정리하면 몸매와는 별 상관 없는 말이며, 뭔가 화려하거나 또는 럭셔리한 매력 같은 걸 말할 때 쓰는 단어입..
customer vs. client 차이는? 영어단어 customer와 client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둘다 '고객' 또는 '손님'이란 건 맞습니다. 다만 두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꽤 있기 때문에, 영어로 말할 때는 영어권 사람들처럼 구별해서 써줘야 합니다. 둘을 구별해서 쓰지 않고, 영어로 '고객'이나 '손님'을 말할 때, 둘이 비슷한 말이라고 아무 단어나 쓰게 되면, 상황에 따라 상당히 어색하게 들릴 수 있답니다. 학교 다닐 때 보며, cutomer는 '고객', client는 '의뢰인'이라고 배웠던 기억이 나는 데, 물론, 그게 틀린 말은 아니나, 다음과 같이 알아두는 게 특히, 영어회화에서 좋습니다. 단어 client 역시 curtomer와 마찬가지로 '고객'이나 '손님'의 뜻이 맞지만,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