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help와 assist 구별해 쓰기 '돕다'는 영어로 크게 둘로 구분 우리말 '돕다'나 '도와주다'를 영어로 하면, 여러 단어가 있겠지만 크게 help와 assist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둘 중, help가 일반적으로 훨씬 자주 쓰이는 말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help 대신 assist가 더 어울릴 때도 있음 (※ 단, assist는 좀 더 딱딱한 느낌이 들기는 함) 물론, 두 단어의 의미가 큰 차이가 있는 건 아니라서, 상황에 따라서는 바꿔써도 말이 될 수 있지만, 각 단어가 주는 느낌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① help는 일반적인 의미의 돕다, 도와주다의 뜻이라면 (좀 더 포괄적인 느낌), ② assist는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약간은 있는 상태에서 이..
I don't mind와 I don't care 차이 둘의 차이를 가급적 쉽게 정리 I don't care와 I don't mind는 둘 다 우리말로 할 경우, '상관 없어'라는 의미를 가지고는 있지만, 둘은 분명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한테는 I don't care가 더 익숙한 표현일 것 같음 다시 말하면, 우리는 I don't care와 I don't mind 둘 다 '상관 없어'라는 말로 뭉뚱그려 해석해도 뜻이 통하지만, 영어는 둘을 상황에 따라 분명히 구별해서 써줘야 합니다. ■ 먼저, 말씀드리면 I don't care.라고 하면 '난 신경 안써', '난 상관 없어'라는 의미이고, I don't mind는 '난 괜찮아' (싫지 않아), '난 상관 없어'란 뜻입니다. 공통적으로 둘 다 ..
전치사 in과 after 간단히 비교하기 두 전치사가 시간/기간을 나타낼 때 전치사 in과 after를 써서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방법에 간단히 비교하려 하는 데, 일단 전치사 after는 우리가 잘 알다시피 뜻이 '-후에', '-하고 나서'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지만, 전치사 in의 경우는 in의 가장 기본적인 뜻인 '-안에', '-내에'라고만 알고 있다면 in이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에 있어서는 많이 헷갈릴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전치사 in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안에, -내에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in 뒤에 '숫자로 된 명사'가 나올 때에 한해, 전치사 after와 엇비슷한 의미가 되는 데, 비슷하기는 해도 의미나 용법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둘을 구별해서 알아둬야 함 ■ 둘의 가장 ..
think of와 think about의 차이 (둘을 쉽게 구별하는 팁 포함) 우리는 보통 think about의 의미는 잘 알고 있지만, think of에 대해서는 정확히 무슨 의미인 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 데, 물론 둘 다 똑같이 '생각하다'에 의미를 지니나,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동사 THINK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로 쓰이지만, think of나 think about와 같이 동사+ 전치사가 '한 덩어리' 가 되어 뒤에 목적어를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먼저, 둘의 의미를 보면, think about A라고 하면 'A에 대해 생각하다' 또는 'A를 생각하다' 라는 뜻이며, think of A의 경우, 'A 생각이 나', 'A 생각이 들어', 'A가 떠올라'라는 뜻이 됩니다. 물..
단어 hard의 넘~ 다양한 의미 hardly는 hard의 부사형이다(?) 영어단어 hardly는 'hard+ ly'의 형태라서, 형태만 보면 hard의 부사형으로 착각하기 쉬운 데, 둘은 전혀 다른 뜻의 단어입니다. (둘은 대표적인 헷갈리는 단어) 단어 hard는 같은 형태로 '형용사'도 되고, '부사'도 되는 독특한 (?) 영어단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hardly는 hard의 부사형이 결코 아님) 특히, hard는 뜻이 여러가지가 있는 데, 전부 다 일상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라서, 제대로 한 번 알아두면 영어로 말할 때, 정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단어.. Hard는 형용사, 부사 둘 다 되기 때문에 뜻이 다음과 같이 나오는 데, '열심인' (형)/'열심히 (부)', '힘든 (형)'/..
힘들다, 어렵다는 말 구분해 쓰기 hard와 difficult 간단히 비교 정리 우리말 힘들다, 어렵다를 영어로 옮길 적에 hard와 difficult 중, 뭘 써야 적절할 지 이따금 헷갈리는 경우가 생기는 데, 오늘은 두 단어의 기본개념 및 의미에 대해 쉽게 비교하려고 합니다. 두 단어 모두 '공통적'으로 '뭔가 곤란하다는 말'이기 때문에 둘 다 힘들다, 어렵다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각 단어가 주는 느낌 (늬앙스)은 좀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일상회화에서 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표현을 하려면, 두 단어를 잘 구분해서 알아두어야 함 (※ 느낌의 차이가 있으므로) □ 먼저, 두 단어의 기본개념부터 - 공통점 : 무언가 곤란하다는 말 둘 다 공통적으로 '힘든'이나 '어려운'이라는 뜻이 있지만, di..
blame과 criticize는 비난하다가 아님? 보통 우리는 '비난하다' 또는 '비평하다'란 말을 영어로 옮길 때, 동사 blame이나 criticize를 먼저 떠올리는 데, 사실 두 단어는 우리말 비난하다, 비평하다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 blame은 비난하다보다는 '-를 탓하다'가 적절한 뜻이며, criticize는 비난하다, 비판하다보다는 '-를지적하다', -'를 흠잡다'라는 의미가 더 어울립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바꿔쓸 수 있는 말이 아니며 또, 둘 다 단순히 비난하다란 뜻이 아니라는 점을 잘 기억해두면 영어 공부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의미상 미묘한 차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실제 독해나 회화에서는 위와 같이 실제 뜻을 알고 있어야 해석이 매..
collect vs. gather 느낌의 차이 우리말 '모으다'를 영어로 하면? 동사 collect와 gather은 둘 다 '모으다'라는 공통된 의미가 있지만, 두 단어가 주는 느낌은 꽤 차이가 납니다. (즉, 문장을 만들 때, 구분해서 써줘야 함) 만약, 회화에서 '모으다'라는 표현을 할 때, 단어 collect를 쓸 경우, 원하는 걸 선별해서 모았다는 느낌이 든다면, 만약 gather를 쓸 경우는 선별해 모았다는 느낌보단 흩어져 있는 걸 한 데 '긁어 모으다' 또는 끌어 모으다 정도의 느낌을 준다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수집하다'라는 말을 할 때는 수집이란 원하는 것만 선별하여 모은다는 의미를 지니므로 gather가 아닌 collect를 쓰는 것이 더 적절 [다시 정리하면] gathe..
동사 tell과 say 간단히 비교 둘의 용법 차이 위주로 정리 tell과 say는 우리말로 하면 둘 다 '말하다가 맞지만, 두 동사는 문장을 만드는 용법에서 차이가 많이 나서 바꿔 쓸 수 있는 단어는 아닙니다. (구별해 써야 함) 일단, 큰 특징이라면 say는 바로 뒤에 '사람 목적어'가 나올 필요가 없지만, tell은 누구한테 말하는 지 '듣는 상대방'이 반드시 나와야 합니다. 따라서, 동사 say 뒤에 '사람 목적어'가 오면, 문법상 틀린 문장이 되는 데 다만, 듣는 대상이 누구인 지를 '굳이' 표현해 주려고 한다면 say 뒤에 'to+ 목적격' 형태를 붙여주면 가능합니다 (이 때는 전치사 to가 꼭 필요) 따라서, say me는 문법상 틀린 문장이고, say to me는 가능 반면, tell..
mustache, beard, sideburns 비교 영어로 '수염'은 대개 3가지로 구분 우리도 마찬가지지만 '수염'이 얼굴의 어느 부분에 또, 어떤 식으로 났느냐에 따라 보통 3가지 단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염의 종류로는 mustache (콧수염)과 beard (턱수염), sideburns (구레나룻)이 있으며, 전부 수염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단 수염이 자라는 위치가 다를 뿐입니다. 이 중,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염은 '턱수염'이나 '콧수염'이 됧 것 같고, 구레나룻은 약간 특별한 (?) 형태의 수염이라고 볼 수 있음.. ■ 영어로 수염은 3종류로 구분할 수 있음 (1) mustache : 콧수염 [발음 : 머s태쉬] - 우리가 가장 흔히 말하는 수염 - 종종 복수형인 mus..
town과 village는 비슷한 말? 마을은 영어로? 우리는 보통 'town'과 'village'를 잘 구분하지 않고, 그냥 '마을'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사실 두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town이 일반적인 '마을'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고 번화한)을 가리키는 말이라면, village는 적은 수의 가구들이 모여 사는 한적한 '작은 마을'을 가리킵니다. 특히, village는 도시와는 (어느 정도) 단절되어 있다는 느낌이 있기 때문에, town과는 확실히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특히 village는 우리말 '촌'(村)'과 의미가 잘 어울림 예) 민속촌 (folk village), 고시촌, 쪽방촌 등 □ town, village, city 간단히 비교 (1) tow..
work out과 exercise 차이점 우리가 흔히 말하는 헬스는? 단어 work out과 exercise는 우리말로 하면, 둘 다 운동하다가 맞지만, 영어에서 '운동하다'라고 할 때는 두 단어를 구별해서 씁니다. 다른 말로 하면, 우리가 말하는 운동하다는 영어로 표현할 때, work out이 되기도 하고, exercicse가 되기도 함 (때문에 헷갈릴 수 밖에 없음) 영어는 어떤 종류의 운동이냐에 따라 work out 또는 exercise를 쓰는 데, 우리는 영어를 공부하는 입장이기에 당연히 구별해서 알아둬야 합니다 (단, 둘의 구별은 간단함) ■ work out과 exercise의 차이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말로 옮기면 두 단어 모두 '운동하다'가 되지만, 둘은 조금 다른 의미를 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