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와 translate 차이 정리 번역하다, 통역하다 영어로 하면? 동사 interpret와 translate는 공통적으로 '언어를 옮기다 (=해석하다)'라는 뜻이 있지만, 두 단어는 쓰임의 차이가 있습니다 (※ 단, 교집합이 크기는 함) 두 단어는 영어사전을 보면, 뜻이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구별이 헷갈릴 수 있는 데, 일단 두 단어의 '기본개념'을 잘 잡아둔다면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 둘 다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긴다는 말이지만, interpret는 '말을 통해'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긴다는 말이 되며 (뜻 : 통역하다, 해석하다), translate는 '글/문서를 통해' 하나의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긴다는 말이 됩니다. (뜻 : 번역하다, 해석하다) 또 다른 ..
단어 clean과 clear 비교 정리 영어단어 clean (클린)과 clear (클리어)는 의미도 비슷하고, 형태 또한 비슷하지만 둘은 느낌의 차이가 생각보다 큽니다. 두 단어 모두 우리한테 많이 낯익은 단어이며, 공통적으로 문장에서 '동사'로 쓰이기도 하고, '형용사'로 쓰이기도 함.. 두 단어를 서로 바꿔 써도 말이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바꿔 쓸 경우, 말이 어색해지므로, 확실히 알아두어야 실수 없게 쓸 수 있습니다. ▶ 둘의 '기본개념'만 잘 잡으면 어렵지 않음 먼저, clean의 기본개념은 '깨끗하게 하다'라는 뜻이며, clear의 기본개념은 (뭔가 방해물 같은 걸) '치우다', '해치우다' 입니다. 동사 clean은 '깨끗하게 하다'란 개념에서 청소하다 또는 정리하다라..
동사 fall과 drop 차이점 정리 우리말 '떨어지다'는 영어로? 영어에서 '떨어지다'라는 표현을 할 때는 주로 fall과 drop을 쓰는 데, 상황에 따라 둘 중 뭐를 써야 적절한 지 헷갈릴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일단, 두 동사의 정확한 뜻을 알아두면, 구분하는 데 어느 정도 감이 오는 데, 동사 fall은 '떨어지다'와 '넘어지다'란 뜻이 있고, 동사 drop은 '떨어지다'와 '떨어뜨리다'란 뜻이 있습니다. 즉, 두 단어는 공통적으로 '떨어지다'란 뜻이 있지만, 이 외에도 fall은 '넘어지다'라는 고유한 뜻이 있고, drop은 '떨어뜨리다'라는 고유한 뜻이 있음 특히, drop에만 '떨어뜨리다'란 뜻이 있다는 걸 알아두는 게 중요함 우리말을 들여다 보면, '떨어진다'는 자연적 또는 우연히 ..
mistake, fault, error 차이 정리 실수 또는 잘못을 영어로 하면? 영어 단어 mistake, fault, error는 전부 '실수'나 '잘못'과 관련된 의미를 지니지만, 각각은 쓰임에 차이가 있으며, 무엇보다 단어가 주는 느낌이 많이 다릅니다. 먼저, mistake는 부주의나 지식의 부족 등으로 발생한 '실수'를 말하는 데, 일단 실수라고 하면 mistake를 가장 우선적으로 떠올리면 됨 단, fault는 실수보다는 '잘못'이나 '탓' 정도로 알아둔다면, mistake와 구별이 훨씬 쉬어지며, 우리말 '잘못'이나 '탓'은 그냥 실수보다는 좀 더 무겁게 느껴집니다. (우리말 느낌을 잘 알아두기) 잘못 (탓)은 웬지 책임과 연관이 되는 느낌이 있어서, 그냥 실수 (mistake)와는 단..
sensible vs. sensitive 간단히 비교 의미 차이가 크므로, 잘 알아두기 두 단어는 단어 sense에서 나온 형용사로 형태는 비슷하지만, 뜻은 차이가 많이 나므로, 둘을 잘 구별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sensible은 sense에서 끝에 -e가 빠지고 형용사형 접미사 '-ible'이 붙은 형태이며, sensitive는 sense에서 끝에 -e가 빠진 후, 형용사형 접미사 '-itive'가 붙은 형태여서, 둘 다 형용사가 되고 형용사형 접미사만 다름 ■ 먼저, sense의 의미부터 - 뜻은 크게 둘로 구분 먼저, sense는 '감각'이라는 뜻이 있고 (예. sense of direction : 방향감각) 또, '분별력'이나 '이치'의 뜻이 있는데 (예. common sense: 상..
learn과 study 구별해서 쓰기 동사 study와 learn은 공통적으로 학문이나 기술 등을 배우고 익힌다는 의미가 있지만, 두 단어가 주는 느낌은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 문장에서 study를 쓰면 좀 더 '적극적인' 노력을 동반하는 느낌이 들고 (즉, 적극적으로 학습), 물론 learn 역시 (수업이나 연습 등을 통해) 배운다라는 뜻이긴 하지만, study 처럼 적극적인 느낌을 주는 것보다는 learn을 쓰면 누군가로부터 배움을 받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물론, 우리말로 하면, 둘 다 '공부하다', '배우다'란 뜻이 될 수 있지만, 알기 쉽게 구분해 보면, study는 적극성이 포함된 단어라는 점에서 '공부하다'나 '연구하다'가 더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고, learn은 '배우다', '..
see, look, watch 느낌의 차이 '보다'를 영어로 하면 크게 3가지 영어에서 '보다'라는 뜻을 가진 대표적인 단어로는 see, look, watch가 있는 데, 우리말로 하면 전부 '보다'가 맞긴 하지만, 각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말 또한 마찬가지로 '보다'라고 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쳐다보다나 지켜보다 등 어떻게 보는 냐에 따라 여러가지의 '보다'가 있음.. 우리가 '보다'라는 말을 일상에서 워낙 많이 쓰기 때문에 see, look, watch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제대로 알아둔다면, 영어로 말할 때, 말이 훨씬 쉽게 나올 수 있습니다. 위의 동사들을 둘로 구분해 보면, see는 수동적으로 보는 느낌인 반면, look과 watch는 의도적 (의식적)으로 보는 느낌이..
everyday vs. every day 차이는? 둘의 의미와 용법 차이 알아보기 everyday와 every day는 '형태'를 보면 중간에 띄어쓰기를 하고, 안 하고의 차이지만, 실제 의미 차이는 생각보가 큽니다. (따라서,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은 아님) 특히, 영어로 문장을 만들 때 헷갈릴 수 있으며, 두 표현은 의미도 다르고, 용법 (쓰임)도 다르기 때문에, 잘 구분해서 알아두면 좋음 또, 듣기에서 둘의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발음은 같은 데, 뜻이 다르다는 점에서 더 헷갈릴 수 있음 (이 때는 문맥을 통해 뜻을 파악해야 함) 둘을 '별개의' 단어로 생각하는 편이, 공부하는 데 더 편하며, 일단 everyday는 하나의 단어이며, every day는 두 단어로 이루어진 '구'..
cook, cooking, cooker 간단 비교 우리말 '요리'나 '요리사'를 영어로 할 때, 의외로 헷갈리기 쉬운 데, 일단 cook과 cooker의 형태 때문에 그러합니다. 보통 단어 뒤에 접미사 -er이 붙어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가 많은 데 (writer, singer, manager 등), cook은 좀 예외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음 바로 cook이 명사로 '요리사'라는 뜻과 동사로 '요리하다'란 뜻 둘 다로 쓰이며, cooker는 '조리 도구'란 뜻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동사 cook은 음식을 (불에) 요리하는 걸 말함 [참고사항]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 요리사가 너무 많으면 수프를 망친다 (한국 속담은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이..
envious와 jealous 느낌의 차이 질투하다, 부러워하다 영어로? 형용사 envious와 jealous는 둘 다 (누군가를/ 뭔가를) 부러워하거나 질투할 때 쓰는 말이라는 점이서 비슷한 점이 많지만, 두 단어는 느낌의 차이가 있어, 상황에 따라 구별해서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envious는 우리말로 '부러운'에 더 가까운 말이고, jealous는 '질투하는'에 더 가까운 데, 실제 부러움과 질투심의 '감정'은 둘의 경계가 모호할 때도 꽤 있기는 함 [참고사항]envy는 '부러워하다' (동사), '부러움' (명사)이란 뜻으로 쓰이며, 형용사인 jealous의 명사형인 jealousy는 '질투'라는 의미.. □ 두 단어의 의미 차이을 보면 1. envious : 상대방이 가진 뭔가를 ..
대표적인 콩글리쉬의 영어식 표현 여러가지 예시를 들어 간단히 정리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콩글리쉬' (Konglish)를 꽤 많이 쓰는 데, 사실 우리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 영어권이 아닌 대부분의 나라들도 영어를 자기 나라 언어화하여 물론 맞는 영어는 아니지만, 자신들끼리만 통하는 말이 꽤 있을 겁니다. 콩글리시 (Konglish)라는 말은 Korean (한국어)와 English (영어)가 결합해 만들어진 말로 실제는 영어도 아니고, 한국어도 아님.. 한국화 된 (한국식) 영어 (?) 정도로 보면 될 것 같기도 한 데 물론, 영어권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합니다. 그들은 우리가 쓰는 콩글리시와 같이 잘못된 영어적 표현들을 통틀어서 Broken English (엉터리 영어)라고 표현 함 참고로, 우리..
take와 bring 뜻과 차이는? 둘의 헷갈리는 부분 정리 우리가 영어를 배우면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은 일단 영어 어순이 그렇고, 또 우리말에서는 한 단어로 뭉뚱그려 표현하는 (즉, 한 단어로 둘 다 통하는 표현) 말이지만, 영어에서는 둘을 확실히 구분해 말해줘야 하는 경우가 특히 헷갈리게 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사 take는 우리말로 '가져가다' 또는 '데리러 가다'로 알고 있고, 또 bring은 '가져오다' 또는 '데리고 오다' 라고 알고 있으며 물론, 대부분의 경우에는 실제 이와 같은 의미로 쓰임 [참고사항] 공통적으로 take는 가다의 뜻을 지니며, bring은 오다의 뜻을 지님 동사 take는 언제나 '가져가다 (=가져다 주다)'나 '데리러 가다'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bring은 ..